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Europe's energy transition : insights for policy making
유럽의 에너지전환의 정책수립에 대한 통찰력에 대해 설명한다.
•
Climate and clean energy policy : state institutions and economic implications
기후 및 청정에너지 정책에 대한 내용 중 국가기관과 경제적 영향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건물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창호 관련 정책 개정 방안 및 창호설계 가이드라인/프로그램 개발
국가적인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정책에 부합하도록 건축물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창호 관련 국내 법규·기준 개정 방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창호 설계 대안에 따른 건축물의 사용 용도별 에너지(난방, 냉방 조명) 및 쾌적성을 비교‧분석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육상풍력 발전사업의 현황과 추진방향
본 자료는 에너지 바우처 제도가 당초 입법 취지에 따라 저소득층이 에너지 사용을 확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향후 개별 가구의 상황과 특성에 기인한 문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정부의 세밀한 정책 집행이 요구된다.
•
Empowering the Great Energy Transition : Policy for a Low-Carbon Future
본 도서는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을 빠르게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될 개발과 전략을 모색한다. 그들은 시민, 조직 지도자, 정책 입안자들이 지속가능성에 대한 약속을 실천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달성 가능한 단계에 대한 전문가 분석을 제공한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A pathway for citizen science data to inform policy: A case study using eBird data for defining low‐risk collision areas for wind energy development
CS 데이터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넘어 USFWS(Fish and Wildlife Service)가 풍력 에너지 개발을 위한 충돌 위험에 대한 노출 수준을 알리기 위해 무제한 CS 프로그램(eBird)의 정보를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한 사례 연구를 제시한다.
•
Russian Energy Policy Toward Neighboring Countries. Updated March 22, 2010
러시아 에너지 정책에 대한 내용을 발간하는 학술지이다.
•
State support policy for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emerging economies: the case of Ukraine
본 논문은 대규모 재생에너지 보급을 가로막는 장벽을 탐색하고 국가 지원 메커니즘의 변화 필요성을 포함하여 개선을 위한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
국내 기업의 베트남 에너지 시장 진출 기회 탐색: 다층적 관점에 기반한 전력시장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본 논문에서는 다층적 관점(Multi-level perspective)을 기반으로 베트남의 에너지 규제·정책을 거시적, 중장기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흐름을 파악하여 기업의 세부 전략 수립과 함께 미래의 유망한 신규 사업으로의 진출 기회 발굴을 돕는다.
•
개발도상국의 통합에너지 정책분석
본 학술지의 연구는 특히 한국 정부의 석유 의존도 저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기반 에너지 I/O 통합 시스템을 활용한 한국 에너지 부문의 장기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사전·편람
+더보기
•
자원용어사전(Glossary of mineral resource & mining engineering)
한국광물자원공사에서 발행한 자원용어사전이다.
•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용어사전
광산개발로 인해 국민건강생활에 미치는 피해요인 분석·제거·예방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색생활권 보장 및 친환경적 광산개발 도모하기 위해 관련 용어 정보를 제공한다.
•
Guide to mineral administration
인도 지역 광물자원 관련 규정과 규칙을 안내한 자료이다.
•
필리핀 광물자원 개발/투자가이드 : 필리핀 광물자원 개발 투자 실무
필리핀의 광산개발을 위한 관련 법규와 정책을 소개하고, 인허가 당국 및 관련 기관, 인허가 취득, 주요 규제 및 인허가 사항을 집중적으로 다룬 안내서이다.
•
Dictionary of Mining, Mineral, and Related Terms
이 사전은 28,500개의 광물 용어가 수록한 사전으로 표준 광업 관련 용어 뿐만 아니라 환경, 해양 광업, 오염 등과 관련된 주제도 포함되어 있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Low-carbon aviation: how far can we go? – UCL Energy Seminar
글로벌 항공 시스템 모델 AIM을 사용하여 저탄소 항공 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는지 여부와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에너지경제연구원 개원 33주년 기념 세미나 : 지속가능 에너지시스템으로의 혁신과 미래 에너지 사회
본 세미나에서는 글로벌 에너지 안보 환경변화와 영향에 대한 특별좌담이 이뤄졌고 미래 에너지 사회로의 이행과 전략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
탄소 및 에너지 중립적 유기성자원순환 열화학시스템 원천기술개발 = Development of a thermochemical process to recycle organic resources to achieve carbon and energy neutrality : 환경정책기반공공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본 Next-generation WWTP에 따라 제안된 고효율 응집-침전 ATP 및 MD Hybrid 미세조류 배양에 따른 에너지 회수율 20% 증가, 미세조류 및 바이오차 생산에 따른 부가가치를 활용한 운영비용 20% 절감, 그리고 최종 유출수 Membrane distillation 처리에 따른 잔류 부산물 1% 이내 제어를 통해 새로운 하수처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2017-2018 산업통상자원백서: 에너지편
원자력 산업,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정책, 신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신산업, 해외자원개발로 구성되었다.
•
광물자원 선진화 심포지움(Future base & eco mine)
광물자원산업의 육성 및 지속적인 친환경 광산 개발과 북한광물자원 개발에 대한 이해를 위한 심포지움 자료이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2021년 스페인의 에너지 정책 검토 (Spain 2021: Energy Policy Review)
IEA는 에너지 정책에 대한 심층적인 동료 검토를 실시한다. 이 프로세스는 에너지 정책 개발을 지원하고 국제적 모범 사례 및 경험의 교환을 장려한다.
•
Best policy practices for promoting energy efficiency : a structured framework of best practices in policies to promote energy efficiency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기후변화 완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에너지 효율화 정책 우수사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Spain 2021: Energy Policy Review
이 보고서에서 IEA는 스페인이 에너지 부문의 이러한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에너지 정책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
Japan 2021: Energy Policy Review
이 보고서에서 IEA는 일본이 에너지 전환을 원활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에너지 정책 권장 사항을 제공한다.
•
에너지 정책 : 아태지역 저탄소 전환 지원
이 정책보고서는 독립평가부(Independent Evaluation Department, IED) 평가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전 세계적 공감대, 역내 및 전 세계 경제개발, 혁신 및 기술발전, 지속적인 전 세계 에너지 전환, ADB의 전략 2030 등을 반영한 새로운 에너지 정책 제안에 대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받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한 문서이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資源エネルギー庁/Agency for Natural Resources and Policy/자원에너지청
일본의 경제산업성에 속해 있는 에너지 및 자원개발 등을 관리하고 담당하는 정부기관이다.
•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NREL
현재 에너지 문제에 대해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기초과학 및 상업 시장을 위한 새로운 신 재생 에너지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유효성이 있는 에너지에 대해 분석한다.
•
Office of Surface Mining Reclamation and Enforcement
미국의 석탄 채광을 규제하면서 사람과 사람들을 보호하고 버려진 석탄 광산 복원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
Bureau of Land Management/BLM
미국의 토지 관리정책을 주관하는 정부기관으로 관련 한국 정부조직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가있다.
•
U.S. Department of Energy/DOE
미국의 재생에너지, 환경, 핵 안보에 관한 업무정책을 담당하는 정부기관이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효과적인 핵에너지 정책의 필요성 (Needed: An Effective Nuclear Energy Policy)
핵에너지 정책에는 다양한 단체가 참여하거나 정책 영향을 받기 때문에 효과적인 정책은 여러 면에서 중요하다. 효과적인 정책은 납세자를 보호하고 정부가 권한을 가진 과제에 집중하도록 하며 혁신적이고 경쟁력있는 핵에너지 산업이 국내외에서 활동하도록 장벽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는 현재와 미래의 중요한 에너지원인 핵에너지를 지지했다. 이 보고서는 핵 폐기물 관리, 규정, 무역, R&D, 원자로 재원 조달 및 보험 가입을 포함해 핵에너지 정책을 위한 여러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의회는 납세자를 보호하고 규제 장벽을 철폐하면서 동맹국과 협력하고 시장 원칙을 적용해 미래의 핵에너지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에너지정책기본법(エネルギー政策基本法)
일본애서 발령된 에너지정책기본법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
비화석에너지의 개발 및 도입의 촉진에 관한 법률
이 법률은 비화석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 내외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에 따른 에너지의 안정적이고 적절한 공급의 확보 및 에너지의 사용과 관련된 환경부담의 저감을 도모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비화석에너지의 개발 및 도입을 종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하도록 하고 이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과 국민생활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령
이 법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의 기술개발 및 이용ㆍ보급 촉진과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산업의 활성화를 통하여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의 감소를 추진함으로써 환경의 보전, 국가경제의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 및 국민복지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KESIS)
국가에너지정보통계를 종합적으로 관리, 지원하고 에너지 정보통계를 통합 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서비스한다.
•
해외자원개발 사업법
이 법은 해외자원의 개발을 추진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자원을 확보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과 대외경제협력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WEB DB
+더보기
•
DBPIA
전 분야의 학술저널, 전문잡지, 전자책, 동영상강좌 등을 제공하는 정보원이다.
•
Database of State Incentives for Renewables & Efcency
신재생에너지와 미국의 에너지효율을 지원하는 정책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 소스 DB이다.
관련사이트
+더보기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페이스북
본 사이트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페이스북 계정이다. 본 계정에서는 저탄소 프로젝트, 연국 중인 주제 등 여러 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에너지산업의 여건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미래의 산업변화에 대비하는 정책연구를 꾸준히 추진하여 왔으며 국내외 에너지시장의 다양한 정보와 자료들을 정부와 산업계, 학계에 충실히 공급하고 있다.
•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공단은 에너지이용합리화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함으로써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시키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이다.
•
라틴 인더스트리 NOW
외교부 중남미 자원·인프라·신산업 협력센터에서 발간하는 웹진이며 전문가 기고문, 보고서, 신간소개 등 정보가 실려있다.
•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기술 개발 촉진 및 보급 확대를 통하여 산업의 발전과 육성 그리고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신·재생에너지업계의 공동 이익을 보호하고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