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과학기술
|
과학기술연구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한국 과학기술 연구체제의 진화
한국 연구체제의 다양성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형태의 연구소들이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고, 어떠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했으며, 그 과정을 추동한 힘은 무엇이었는가를 살핀 도서이다.
•
Space science & technology in China : a roadmap to 2050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서부터 코스모 그래피에 이르기까지 우주 과학의 전 범위에 걸친 내용이 다양한 용어설명과 함께 제공한다.
•
항공우주법개론(Aerospace law)
항공우주법 전반에 걸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개론서이다.
•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우주산업 시장실태와 핵심기술 개발전략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우주산업 시장실태와 핵심기술 개발전략을 다룬 이론서로, 우주산업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지구과학개론
지구, 대기, 해양, 지각, 태양계와 우주 등을 다루는 지구과학 개론서이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융복합 경영, 융복합 정책, 융복합 기술, 웰니스 및 융복합, 융복합 엔터, 간호 융복합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지원하며, 다양한 학문적 융합 및 연구 결과를 집대성한 학술지이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융합연구사업의 연구성과 효율성에 관한 연구: DEA를 활용한 융합연구 및 일반수탁사업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운영하는 융합연구사업과 출연(연)에서 수행하는 일반 수탁연구사업의 연구 성과에 대해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융합연구 운영 및 관리의 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한 학술기사이다.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관평가제도가 피평가기관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An Analysis on the Influence Factors for Acceptance of Evaluation on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직할 14개 연구기관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등 총 15개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제도가 피평가기관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실증분석한 학술기사이다.
•
한국의 우주 정책과 행정의 변천사
우리나라 우주기술 개발을 뒷받침해 온 우주 정책과 행정의 변천사를 살펴본다.
•
우주기술 기반 벤처창업 지원 프로그램 추진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
본 논문은 미래부와 항공우연구원이 주관하는 벤처창업 지원 프로그램의 추진현황과 성과를 소개한다.
사전·편람
+더보기
•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amateur astronomy
천문학 관련 정보들이 주제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찰 기술, 망원경 및 관측소 등의 주제를 다룬다.
•
Encyclopedia of space and astronomy
이 백과 사전은 천문학의 주요 개념, 용어, 시설에 대한 설명을 통해 천문학 및 우주 탐사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이 편람은 과학기술 연구 방법론이나, 현재 연구에서 사용되는 주요 이론적 배경, 접근방법론 등을 가이드해주고, 실제 과학 기술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Academic Press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컴퓨터 과학, 생명 공학, 공학, 물리학, 수학, 분자 생물학, 생태학, 행동, 천문학 ,지질학 등 과학기술과 관련된 124가지의 영역을 다룬다.
•
(현대)과학기술 약어사전
현대 과학기술의 모든 약어(略語)를 망라해 ABC순으로 수록한 사전으로, 과학 용어 약어 13,000여 항목을 싣고 있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민군 기술협력 공동세미나 : KIST-한국방위산업학회-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방위산업학회가 함께 민간과 군의 기술협력과 관련해서 개최된 세미나 자료이다.
•
과학기술연구의 사회소통 활성화 방안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과학기술자와 국민들의 소통이 더욱 중요해진 상황 가운데 소통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이다.
•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중장기 발전 전략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발표한 국가과학기술연구망 중장기 발전 전략에 대한 보고서이다.
•
제43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정책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본 자료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 2020년 4월 29일(수) 개최한 제43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 '감염병 대응을 위해 국가과학기술정책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의 발제자료이다.
•
우주시대에 부응하는 우주관련법 개선방안
우주 관련법을 우주의 탐사 시대의 단계에서 벗어나 보다 적극적으로 우주 운송 시스템을 비롯한 상업적 활동으로 새로운 시대에 부합되도록 하고, 안보 국방 분야도 우주와 관련하여 새로운 시각을 갖는 새로운 우주 전담 기구 설치에 대해 검토한 보고서이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Science as a Global Public Good
과학이 행해지고 사용되는 방식과 사회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탐구한 자료입니다. 이 ISC 입장 논문은 이러한 시사점을 고려하며, 개별적, 집단적으로 과학자의 책임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과 과학이 실천되는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탐구한다.
•
Public per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science
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국제적 맥락으로 이해하고 제도적 대응을 작성된 자료이다.
•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UNOOSA
우주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프로그램을 고안해내는 단체인 평화적인우주이용을 위한 위원회(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의 활동을 지원하고 개발도상국이 우주기술을 이용해 경제개발을 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Network of European Regions Using Space Technologies/ NEREUS
NEREUS는 우주 기술 사용에 중점을 두고 지역 및 시민을 위한 우주 기술의 이점을 탐색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전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Intersputnik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pace Communications/INTERSPUTNIK
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유럽권 사회주의 국가에서 1972년 7월에 국제 통신 위성 시스템의 설치 운용을 목적으로 설립한 기구이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National Institute of Natural Sciences
문부과학성의 지원을 받는 대학간 협력을 위한 연구시설로서 국립 천문대, 핵융합 과학 연구소, 기초 생물학 연구소, 생리학 연구소, 분자 과학 연구소 등의 5개 연구기관으로부터 구성된 기관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연구 활성화 및 우수인재를 육성하여 미래성장기반을 확충하고 SW강국·ICT 르네상스로 4차 산업혁명 선도기반을 구축한다. 또한 안전한 유·무선 네트워크로 미래성장을 이끄는 방송통신 생태계를 조성해서 국가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 Center/NFEC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FEC)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이 되는 연구시설ㆍ장비의 고도화 추진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과학기술기본법에 의해 설립되었다.
•
National Scientific Foundation/NSF
미국 상무부 산하의 정부 기관으로 과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국민의 건강, 번영, 복지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다.
•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NASA
미국의 우주개발을 주관하는 정부기관으로 관련 한국정부조직으로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있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Space Acquisitions: DOD Poised to Enhance Space Capabilities, but Persistent Challenges Remain in Developing Space Systems
미국의 우주시스템 개발에서 발생하는 지속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해서 논의한 보고서이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 시행령
이 영은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 선정을 목적으로 한 법령이다.
•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이 영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ㆍ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 법령이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통신서비스, 무선데이터, ICT 중소기업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수집하는 다양한 데이터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
산업기술연구조합 육성법
이 법은 산업기술의 연구개발과 선진 기술의 도입ㆍ보급 등을 협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산업기술연구조합의 설립과 그 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지원함으로써 산업기술의 향상을 통한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국가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이 법은 우수한 이공계인력(理工系人力)을 육성하여 이공계인력의 활용을 촉진하고 처우를 개선함으로써 국가경쟁력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WEB DB
+더보기
•
K2Base(KISTEP Knowledge Base): 과학기술정책지원서비스
K2Base(KISTEP Knowledge Base)는 과학기술정책 전주기(정책기획-예산배분-성과평가)의 정책결정과정을 지원하는 근거(evidence) 기반 지식포털이다.
•
이슈로보는R&D
국가적인 현안과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각 주제별로 국가R&D 관련정보를 선별하여 다양한 관점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위성정보 활용지원 서비스/Satellite Information Database/SAT DB
위성에서 보내지는 지구관측 영상, 사진 정보 등을 제공하여 많은 이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웹 데이터베이스이다.
•
시설장비전자도서관/Facilities & Equipment Electronic Library/FEEL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FEC)에서 운영하는 전자도서관으로, 연구시설장비 보고서 열람 및 무료 다운로드, 인포그래픽, 노벨과학상 등 콘텐츠를 제공한다.
•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을 통해 수집·검증된 연구성과 성과물전담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성과물 활용·확산을 위해 각 부처에서 추천받은 정부연구개발 우수성과 등을 한번에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사이트
+더보기
•
국립중앙과학관 페이스북
국립중앙과학관의 페이스북 공식계정이다.
•
국립과천과학관 트위터
국립과천과학관의 트위터 공식계정이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KRISS
국가표준기본법에 의한 국가측정표준 대표기관으로서 국가표준제도의 확립 및 이와 관련된 연구ㆍ개발을 수행하고, 그 성과를 보급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과 과학기술 발전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한국연구재단
학술 및 연구개발 활동과 인력의 양성 및 활용을 보다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수행함으로써 국가의 학술 및 과학기술 진흥과 연구역량 제고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과학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및 공공인프라 구축·운영을 통해 국가 생명과학기술, 산업발전 및 국가·사회현안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