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농림
|
농업·농촌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家族農業の放棄と農村的慣行の行方 : タイの事例から (特集 現代アジアから日本をみる)
태국의 사례에서 일본의 농업을 관찰하고, 가족농업의 포기 원인을 고찰하며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
청년농업인 도전과 비전 : 생생한 기록 : 2020 농업과학기반 기술 청년농업인 성과 공유
농업진흥청의 2020년 청년농업인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도서이다.
•
図解でよくわかる農業のきほん : 栽培の基礎から新技術、流通、就農まで
농업의 기본 재배 기초부터 신기술, 유통, 취농까지 그림으로 설명되어 있는 책이다.
•
6무 농사꾼의 유쾌한 반란 : 인간에게 해로운 6가지를 사용하지 않는 자연순환유기농업
‘6무 농사(無농약, 無비닐, 無경운, 無비료, 無제초제, 無밑거름)’ 방법에 대한 책이다.
•
약 안 치고 농사짓기
유기농법 농사를 위한 식물성 농약에 대해 소개하고 식물성 농약의 작용, 원료, 만드는 방법(추출과정), 식물 추출물-영양원소 복합제 만드는 방법, 복합제형 식물성 농약 생산에서 고려할 점, 주의할 점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Technology: The Future of Agriculture
본 논문에서는 로봇공학을 이용하여 농업 자동화를 통해 생산량 증가를 논의한다.
•
現代農業経営における流動的生産資材の調達と会計管理
본 논문은 새로운 현대농업경영 유동적 생산자재 조달 및 회계관리를 중점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농업·농촌의 미래와 헌법적 과제: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공익적 기능의 제고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다가올 헌법개정에 있어서 경과자료로서의 가치를 고려하여 정리한 것이며, 공익적 가치를 반영한 개헌안에 대해 일부 수정과 첨부를 하여 개정시안을 제시하였다.
•
농업환경보전 실천기술 우선순위 분석을 통한 맞춤형 실천기술 패키지 제안 연구
이 논문은 농업의 공익적 가치 확산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농업환경보전 프로그램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 농업환경보전 실천기술 도입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지역 환경에 적합한 맞춤형 농업환경보전 실천기술 패키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농업 육성법안」의 지원 대상 범위 확대방안 고찰: 비(非)농업경영체의 사회적 농업 활동을 위한 농지소유 가능성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농업활동을 기반으로 보통 장애인, 노인, 다문화가정, 범죄피해자, 사회 부적응자 등 사회적 약자의 사회적 적응과 자립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농업 실현 가능성 여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사전·편람
+더보기
•
한국 생업 기술 사전 : 농업 (Encyclopedia of Korean livelihood systems agriculuture)
국립민속박물관에서 편찬한 농업에 관련된 단어의 뜻을 기술하는 사전이다.
•
The Farm: A Pocket Manual of Practical Agriculture, or How to Cultivate All the Field Crops (1858)
1858년에 출판된 책으로, 모든 필드의 작물을 육성하기 위한 실제 농업 또는 방법이 적혀있는 편람이다.
•
2020 농업재해대책 업무편람
재난복구 지원제도, 농업재해 지원제도, 농업재해 관련규정 등을 담고 있다.
•
2017년 농지업무편람
농지제도의 변천, 농지의 정의·소유·이용, 농지원부, 농지정보시스템 운영, 농업진흥지역 지정 및 관리, 농지의 전용, 농지보전부담금으로 구성되어있다.
•
Dictionary of Agriculture 3rd Edition
A&C Black 출판사에서 출간한 농업사전 3번째 에디션이다. 경작, 기계, 가축, 수확, 농약과 제초제, 비료, 유기농법 등의 주제가 수록되어있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シンポジウム報告1: 世界の米事情と日本の米市場開放問題 (シンポジウム 世界のコメと日本の農業)
고베에서 개최된 세계의 쌀 사정과 일본의 쌀 시장 개방 문제 심포지엄에 대한 자료이다.
•
討論 (シンポジウム 世界のコメと日本の農業)
세계의 쌀과 일본의 농업에 관한 심포지엄 자료집이다.
•
2017년도 시험연구보고서 : 농업과학기술연구개발
강원도농업기술원의 2017년도 시험 연구에 대한 종합 보고서이다.
•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전략 심포지엄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전략 심포지엄의 회의 자료이다.
•
Report of the Extraordinary Session of the Committee for Inland Fisheries and Aquaculture of Africa, Dakar, Senegal, 14–15 July 2015
해당 보고서는 다카르, 세네갈에서 개최된 CIFAA 대한위원회 임시회의 보고서이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Strategies and Practices in the Remediation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Agriculture
농업 부문의 방사능 오염 정화에 관한 워크숍 의사록으로, 각국 전문가들의 의견과 기술 배경을 종합하여 방사능 사고 이후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 및 농촌 개발 지원과 관련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연구를 장려한다.
•
2020 Global Report on Food Crises: Joint analysis for better decisions
전 세계 식량 위기 요인을 분석하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유행(Pandemic)이 식량 위기 지속과 악화를 촉진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식량 원조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경제, 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한 유엔 기구이다.
•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945년에 전세계적으로 굶주림, 영양실조, 빈곤, 식품 불안정 문제 등을 근절하고 경제, 사회적 발전에 기여하며 물, 공기, 토지, 기후 및 유전적 자연 자원을 후손들도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OECD Food, Agriculture and Fisheries Papers
국제 농업 및 식량 가치사슬을 따라 국경 간 무역 측면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통해 디지털 기술로 인한 변화가 부가가치가 창출되는 부분, 가치사슬 행위자 간의 가치 분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국립농업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은 농업환경변동 및 토양자원 조사, 식물영양 및 토양미생물 연구, 병해충 관리 및 농산물 안전성 확보, 농업생태계 및 농촌문화 보전, 농업기계화 및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농업생명공학 연구, 한식의 현대화 및 세계화 그리고 농업유전자원의 효율적 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폭넓은 연구를 수행하는 농업연구의 중추기관이다.
•
국립종자원
국립종자원은 식물 신품종 보호제도의 운영과 주요 농작물의 생산 공급, 민간육종 활성화 지원 및 종자 유통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협의하고, 대통령의 자문에 응하기 위한 기관이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2013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청을 개편하여 발족한 기관이다.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인의 소득 증대, 농촌 복지 증진, 농업 경쟁력 향상을 농정의 3대 핵심 축으로 설정하고 주요 임무는 농산, 축산, 식량, 농지, 수리, 식품산업진흥, 농촌개발 및 농산물 유통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Organic Farming in Germany
독일의 유기농법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제시한 것으로, 관련 법규, 유기농법 협회, 유기농 농장 개발 및 지원에 대해 소개한다.
•
The future for food, farming and the environment: policy statement (2020)
영국의 향후 10년간의 농업 정책에 관한 세부 정보를 제시한다.
•
2035 Arable Farming Strategy: Prospects for Productive and Diverse Crop Farming
미래의 곡물 생산, 고품질의 식량, 먹이 및 재생 가능 자원을 안전하게 공급하는 방법, 미래에 적합한 농업을 구성하는 방법 등을 포함한 독일의 2035년 경작 가능 농업 전략을 다루고 있다.
•
USDA Agricultural Projections to 2029
2029년까지 미국의 농업 부문 전망을 제공한다. 전망 항목에는 농업 상품, 농산물 거래, 농장 수입 등 농업 부문의 종합 지표 등을 포함한다.
•
Factors Contributing to Changes in Agricultural Commodity Prices and Trade for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2014-19년 농산물 가격 하락을 초래한 국제 수급 요소 변화와 2007/08-11/12년에 정점을 찍은 가격 상승 추세와 변화 요인을 살펴본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축산법
축산법은 가축의 개량ㆍ증식, 축산환경 개선, 축산업의 구조개선, 가축과 축산물의 수급조절ㆍ가격안정 및 유통개선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축산업을 발전시키고 축산농가의 소득을 증대시키며 축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촉진에 관한 법률은 도시와 농어촌 간의 교류를 촉진하여 농어촌의 사회ㆍ경제적 활력을 증진시키고, 농어업ㆍ농어촌의 가치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높이며, 도시민의 농어촌생활에 대한 체험과 휴양 수요를 충족시킴으로써 도시와 농어촌의 균형발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농어촌정비법
농어촌정비법은 농업생산기반, 농어촌 생활환경, 농어촌 관광휴양자원 및 한계농지 등을 종합적ㆍ체계적으로 정비ㆍ개발하여 농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농어촌 생활환경 개선을 촉진함으로써 현대적인 농어촌 건설과 국가의 균형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농어촌마을 주거환경 개선 및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
농어촌마을 주거환경 개선 및 리모델링 촉진을 위한 특별법은 농어촌의 주거환경 및 노후ㆍ불량 주택을 계획적ㆍ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한 살기 좋은 농어촌마을을 만드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농어업재해보험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은 농어업재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농작물, 임산물, 양식수산물, 가축과 농어업용 시설물의 피해에 따른 손해를 보상하기 위한 농어업재해보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농어업 경영의 안정과 생산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WEB DB
+더보기
•
농림축산식품부 자료실 - 농림축산식품부원문
농림축산식품부 발간자료 원문을 모아 제공한다.
•
농업경영종합정보시스템
효율적인 농업경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National Agricultural Library
미국 농무부에서 운영하는 국제농업도서관에서 제공하는 DB이다.
•
Animal Science Database
축산학 연구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
농식품올바로
전통향토음식, 식품영양·기능성정보, 건강식단관리 등을 제공한다.
관련사이트
+더보기
•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농공(農工) 간의 격차 완화를 위해 1967년 농어촌개발공사로 발족하였다. 1986년 농수산물유통공사로 확대 개편한 이후 도매시장육성, 유통교육 및 정보 등 유통조성사업을 강화하고 수출진흥사업과 농수산식품소비촉진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농어민의 소득증진과 국민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농업기상정보 서비스 (농업날씨365)
농업기상정보에서는 농업기상관측, 농업기상분석, 기상상황 및 농사정보 등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동기관 부설 농업인재개발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설 농촌정보문화센터 등 3개 기관이 통합해 설립된 공공기관이다. 농어업 인적자원의 육성, 농식품/농어촌 정보화의 촉진, 농어촌 문화의 가치 확산 및 홍보, 농어업경영체의 역량 제고, 농수산물의 안전정보 제공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이다.
•
International Soil Tillage Research Organization/ISTRO
다양한 토양 경작 관행의 영향과 결과에 집중하는 국제토양경작연구기구이다.
•
한국농촌계획학회
농촌계획분야에 관한 학문과 기술을 연마하고 보급하고자 설립한 학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