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일반공공행정
|
개인정보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모바일 전자법전 개인정보보호법
본 도서는 개인 정보법에 대한 법전을 일일이 넘겨가며 조문을 찾는 형식은 지양하고 언제든지 어디서든지 쉽고 빠르게 법조문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심혈을 기울여 제작되었다.
•
Digital Security & Privacy for Dummies
이 책은 현대 시대 개인 정보 수집에 대해 경고하고 광고나 기업에서 수집하는 개인 정보의 위험성을 서술하며 위험으로부터 어떻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
Cell Phone Privacy
본 도서는 개인 정보 시스템부터 안드로이드의 취약점 분석, 다양한 개인 정보 보호 모델 등등 핸드폰의 개인 정보 보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Privacy and Criminal Justice
이 책은 개인 정보 보호의 정의를 서술하고 있다. 성범죄 피고들에 대한 익명성이나 일반 대중의 안전과 보안에 대한 테러리스트의 사생활에 대한 권리를 저울질하는 특정한 형태의 사생활도 고려된다.
•
The California Privacy Rights Act
본 도서는 캘리포니아 소비자 프라이버시 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법에 대한 권리와 사용처 그리고 준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여 사업이나 개인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The perils of gamification: Does engaging with gamified services increase users' willingness to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본 학술기사는 게임 서비스에 참여하는 것이 이용자의 개인정보 공개 의지를 높이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법적 대안 - 가명정보를 중심으로 -
본 연구는 가명 정보를 중심으로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제점과 법적 대안을 연구하였다,
•
Privacy is Context Dependent
본 학술 기사는 모든 사람들이 매일 크고 작은 개인 정보 침해를 일으키고 있으며 개인 정보에 관한 것은 간단한 것이 없다는 것과 어떻게 보호하고 인식하는지 서술하고 있다.
•
Privacy in the Time of COVID-19: Divergent Paths for Contact Tracing and Route-Disclosure Mechanisms in South Korea
COVID-19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한국이 채택한 조치와 이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사례를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한 SK의 성공에 대해 설명한다.
•
Privacy and Civilian Drone Use: The Need for Further Regulation
현재 미국 규정은 정교한 오디오/비디오 및 소셜 미디어 시대에 드론 사용에 대한 명시적 개인 정보 보호를 제공할 수 없다. 2016년에 미국 전기통신정보협회는 일련의 모범 사례를 발표하여 이러한 결함을 인식했으며, 미국에서 드론 사용과 관련된 현재 개인 정보 보호 문제에 비추어 이를 검토한다.
사전·편람
+더보기
•
Privacy Handbook
본 자료는 개인 정보에 대한 핸드북으로 개인 정보 설명 및 사용자가 알아야 할 것들 그리고 용어집과 같은 부록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
Compare data protection laws around the world
본 사이트는 각국의 개인 정보 법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서로 비교해 볼 수 있으며 지도를 통해 어느 나라의 법이 규제와 보안이 더 강한지 볼 수 있다.
•
Global Data Privacy & Security Handbook
본 사이트는 글로벌 데이터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을 위한 핸드북으로 많은 나라의 법 절차, 기관 연락처, 요구 사항 등을 찾아서 볼 수 있다.
•
개인정보 지침 및 가이드 라인
본 자료는「개인정보 보호법」등 관계법령의 규정을 토대로, 만들어진 지침과 가이드 라인을 개인정보위원회에서 정리한 것이다.
•
GDPR 대응지원 센터 가이드북 및 안내서
본 가이드라인은 한국의 기업이나 단체가 이용할 만한 GDPR 법에 대한 사례와 상담정보, GDPR 법에 대한 규정을 정리해 놓았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민사소송 및 집행 절차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Stud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civil litigation and execution procedures)
본 연구보고서는 일반 민사사건의 소송 및 집행이라는 범위 내에서 개인정보가 노출되거나 유출될 수 있는 경로를 파악하여, 당사자 등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소송 · 집행 절차상 작성되는 문서에서 당사자 표시를 어느 범위로 제한하여야 하는지, 당사자 · 이해관계인 · 법원 간 개인정보 보호의 책임 범위를 어떻게 새로이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Updates From IEEE Security & Privacy´s Editor in Chief Sean Peisert
본 자료는 IEEE SECURITY AND PRIVACY MAGAZINE 학술지에 대한 편집장의 현황 보고서이다.
•
적응형 학습을 위한 개인정보 제도 개선의 검토
본 보고서는 적응형 학습을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이 어떻게 개선되어야 하고 또한 현재 교육 방법에 맞추어 데이터나 개인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어야 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 여부는 특별한 보호를 요하는 개인정보인가- 민감정보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기
본 보고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특별 보호 조치로 제출하는 개인 정보에 대한 문제를 민감한 정보에 대한 의미와 다른 나라의 근거를 예시로 들며 설명하고 있다.
•
개인정보보호 페어 & CPO워크숍
본 세미나에서는 개인 정보보호와 보안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 공유 및 활발한 논의가 이뤄지고 국내 최대 규모의 개인 정보보호 축제의 장인 PIS FAIR 2021’은 ‘안전한 디지털 세상을 위한 개인 정보 온앤오프(ON&OFF)를 주제로 27개의 키노트 및 강연하였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APPA Forums
본 자료는 APPA에서 국제 개인 정보 보호 포럼에 대한 자료와 각각 포럼에서 중요하게 다루었던 주제를 설명하고 있다.
•
GPA Newsletter
본 자료는 개인 정보 감독 기구인 GPA에서 발간한 개인 정보에 대한 기술이나 법적 이슈를 담은 뉴스레터이다.
•
제54차 APPA 포럼 참석결과
본 자료는 2020년 12월 화상으로 개최된 제54차 APPA 포럼에서 논의한 주요 의제 및 시사점을 정리한 자료이다.
•
COUNCIL OF EUROPE
본 국제기구는 여성 및 가정 폭력에 대한 예방 및 퇴치 협약 및 사이버 범죄에 관한 협약과 같은 국제 협약을 통해 인권을 증진하며 이 영역에서 회원국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독립적인 전문가 모니터링 기관을 통해 권장 사항을 만든다.
•
Global Privacy Enforcement Network / GPEN
본 국제기구의 목적은 회원국들이 사생활 보호 집행 기관의 비공식 네트워크 구축을 촉진하고 사례 공유법에 대한 논의 등 네트워크를 통한 여러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정보보호교육센터
교육부 정보보호 교육센터는 교육기관 정보보호 인식 제고와 역량 강화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집합교육을 위한 지역센터와 원격교육을 위한 사이버교육센터를 운영 중이다.
•
Privacy Protection Authority
본 기관은 이스라엘 개인 정보 보호법에 따라 개인 디지털 정보에 대한 이스라엘 규제 및 집행 기관이다. 본 기관의 역할은 디지털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모든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다.
•
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 / ICO
본 기관은 영국의 독립 기관으로써 공공 기관의 개방성과 개인의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촉진하여 공익을 위한 정보 권리를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Federal Data Protection and Information Commissioner
스위스의 개인 정보 보호 기관 중 하나로 정부에 조언, 중재자 역할, 교육, 서면 권고, 법에 대한 의견 제출을 주요 역할로 하고 있다.
•
Αρχή Προστασίας Δεδομένων
본 기관은 그리스의 개인정보 보호법을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 졌으며 주 업무로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모든 기타 규정을 감독하는 것이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Hearings on Competition and Consumer Protection in the 21st Century
본 자료는 미국 공정거래 위원회에서 경쟁 및 소비자의 정보 보호를 위한 청문회의 내용이다. 소지바 보호법 부터 개인 정보 보호, 소유권 문제 등을 다루고 있다.
•
Protection, use, and release of personal information
본 간행물은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의 사용과 공개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교육방식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
A guide for individuals - protecting your privacy: an overview of the Office of the Privacy Commissioner of Canada and federal privacy legislation
본 간행물은 캐나다 정부에서 사람들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든 캐나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가이드이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신뢰 기반 디지털 사회 구현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 발표자료
본 발표 자료는 신뢰 기반 디지털 사회 구현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으로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 강화, 개인 정보 규제 및 제재 합리화, 개인 정보 보호 거버넌스 강화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자료명 신뢰 기반 디지털 사회 구현을 위한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안 발표 자료를 검색하여 이용 가능)
•
개인정보분쟁조정사례집(Personal information dispute mediation committee)
본 학술지는 개인정보분쟁위원회에서 개인 정보분쟁 조정 사례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공공기관 CCTV 설치운영 현황
본 자료는 2020년 12월 31일 기준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조사한 공공기관 CCTV 대수로써 공공기관이 자체 점검을 하여 등록한 자료이다.
•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 시행규칙
이 규칙은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에 두는 보조기관ㆍ보좌 기관의 직급 및 직급별 정원, 정부조직법」제2조제3항 및 제5항에 따라 국장ㆍ기획조정관 밑에 두는 보조기관과 이에 상당하는 보좌 기관의 설치 및 사무분장 등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개인정보 보호위원회 직제
본 법안은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의 조직과 직무범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의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다.
WEB DB
+더보기
관련사이트
+더보기
•
KISA 인터넷 보호나라&KCERT
본 사이트는 중소기업과 보안 자료를 확인을 해주고 검사해 주는 일을 해주고 있으며 정보 보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KISA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 정보 침해 신고센터는 개인 및 공공기관, 사업자의 개인 정보 관련 침해 신고 및 상담의 처리를 위하여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운영되고 있다.
•
한국융합보안학회
융합보안은 고도의 첨단 기술과 노하우가 융합된 미래산업분야로서, 물리적 보안, IT 보안, 비즈니스 연속성 등 보안의 각 분야가 융합되는 현상이 나 타면서 보안 위협 역시 복합화, 융합화되고 있어, 본 학회는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
CBPRs
본 홈페이지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에서 개발한 글로벌 개인 정보보호 인증 제도 사이트이며 전자상거래를 통해 회원국 간 이전되는 개인 정보보호를 위해 개발된 회원국 공동의 개인 정보보호 기준이며, 기업의 개인 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될 수 있다.
•
NICE 평가정보 주식회사
본 기업은 대한민국 최고의 신용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용 정보를 지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