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환경
|
상하수도·수질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WATER QUALITY OF LAKE MANZALA, EGYPT.
본 도서는 경제적 중요성과 어류 생산의 중요한 원천인 만잘라 호수의 수질 모니터링에 대해 설명한다.
•
The Healing Power of Energized Water
이 책은 건강하고 자연 그대로의 상태인 물이 주는 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
오염지하수정화
이 책은 지하수와 대수층을 오염시킨 오염물질들이 지하환경에서 자연적으로 저감되는 기작과 이를 이용한 자연정화법, 위해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수록했다.
•
지하수관리와 응용
부지를 오염시킨 지하수오염물질의 지하기동기작과 운명, 지하수환경의 오염가능성평가와 최적관리기법 등 국내외 지하수 환경관리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조사 결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책이다.
•
수리지질과 지하수모델링
수리지질과 지하수모델링은 저자가 1999년도에 저술한 “지하수환경과 오염”의 내용 중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요약, 편집 및 보강하여 수록한 책이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Operation and Performance of Austrian Wastewater and Sewage Sludge Treatment as a Basis for Resource Optimization
본 자료는 오스트리아의 폐수 및 하수처리에 대한 운영과 성과에 연구자료이다.
•
경기도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한국환경분석학회에서 발간한 경기도 지하수 수질측정망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자료이다.
•
수질지수와 군집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주요 하천 수질평가
본 자료는 수질지수와 군집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주요 하천 수질평가에 대한 자료이다.
•
Water
Water은 생태 및 수자원 관리를 포함하여 수자원 과학 및 기술에 대한 오픈 액세스 저널이며 MDPI에서 발행된다.
•
한국의 수질오염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Research Paper :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Water Pollution on Life Satisfaction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제1차~제15차년도 자료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life satisfaction)가 수질오염으로 대표되는 환경오염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사전·편람
+더보기
•
환경 상·하수도 용어사전
본 도서는 상.하수도 부문과 환경.위생 부문의 전문용어를 다루는 용어사전이다.
•
Water quality & treatment: a handbook on drinking water
지역사회의 물공급에 관한 최신 안내서로, 통기 및 응집 공정에서 발생, 화학적 산화 및 물 공장의 폐기물 관리에 이르기까지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
지하수 업무수행 지침 2015
이 책은 국토교통부의 지하수 업무수행 지침(2015)으로, 지하수법의 개요와 목적, 이와 관련한 각종 법률, 지하수 이용실태조사, 지하수 불용공 관리 등을 수록해 정부의 지하수 관련 정책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담았다.
•
Water Encyclopedia
물을 주제로 하는 백과사전으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천연 자원인 물의 과학 기술적인 측면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한다.
•
상수도 용어 백과
상수도 용어를 종합한 백과사전이다. 이 책에 수록된 용어는 총 4,843개로 2007년 기준 서울시 상수도와 관련된 각종 관계규정, 교재, 인터넷 등에서 별도의 정의 규정을 둔 용어들을 수합하고 정리하였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금강 수질개선을 위한 댐 유입 홍수터 기초조사 및 수변생태구역 활성화 방안 연구(1차년도)
본 자료는 금강 수질개선을 위한 댐 유입 홍수터 기초조사 및 수변생태구역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1차년도 보고서이다.
•
뉴노멀시대 통합물환경관리 전망 : 2021 공동포럼
본 포럼은 한국물환경학회와 대한상하수도학회가 공동 주최한 뉴노멀시대의 통합물환경관리 전망에 대한 포럼이다.
•
장기 수질예측 자료의 갈수기 자료의 갈수기 수질관리 의사결정 활용 방안(Use of long-term water quality forecast in decision-making for dry-season water quality management)
2014년도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상세화 기법들을 실시간예측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상세화된 계절예측 자료를 유역 규모의 갈수기 조류 문제에 적용함으로써 대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 수질관리를 통한 사전예방 차원의 관리방안들을 도출하여, 계절예측 기반의 수질관리 의사결정 과정에서 예측정보의 최종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전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
Water resources long-term planning framework
Water resources long-term planning framework 보고서는 더욱 증가하는 가뭄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물 문제에 관해 인간의 책임에 초점을 맞추고, 정책, 법률, 사회 프로그램 등을 통해 물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Better sewage treatment critical for human health and ecosystems
본 자료는 유엔 환경 계획에서 발간한 자료로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더 나은 하수 처리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
Water and Energy
본 보고서는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물과 에너지를 주제로, 빈곤퇴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물과 에너지에 대해 연구한 보고서이다.
•
UN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5 : Water for a sustainable world
본 보고서는 지구의 수자원 보호를 위한 필수요소를 제시하는 것과 동시에 환경적이며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Water and Jobs
건강하게 물을 마시는 것과 깨끗한 위생시설의 촉진은 경제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된다. 보고서는 물과 직업간의 연결을 통해 전보다 더 중요해진 물의 역할을 강조한다.
•
UN Water
UN Water는 지상의 물과 지하수 자원, 민물과 해수 사이의 접점 및 물 관련 재해를 포함한 이슈를 다루며, UN-물 관련 자치 단체와 개발 조직 간의 협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한강홍수통제소
한강홍수통제소는 여름철의 홍수를 과학적으로 잘 관리하고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배분을 통해서 홍수와 가뭄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하여 설립된 환경부 소속기관이다.
•
환경부
환경부는 '국민과 함께 여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비전으로 국민의 환경권을 지키기 위한 정책을 펼친다.
•
금강홍수통제소
금강홍수통제소는 금강 및 삽교천의 하천수량을 관리하고 하천수사용허가 시스템을 운영하는 환경부 소속기관이다.
•
국가상수도정보시스템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미래지향적 국가 상수도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센터로, 빅데이터 분석을 적용, 수요와 생산을 조절해 국민들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상수도를 이용하도록 한다.
•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세계적 수준의 시설 인프라 구축을 통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공급환경을 조성하고, 상수도 사업 경쟁력 강화, 꼼꼼한 수질관리와 시민 감동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An Act to Amend the Federal Water Pollution Control Act to Reauthorize the Great Lakes Restoration Initiative, and for Other Purposes.
본 자료는 미국 정부간행물로 오대호 복원 및 기타 목적을 재승인하기 위해 연방 수질 오염 통제법을 수정하는 법안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The private sewers transfer regulations
영국 Department for Environment에서 발행한 사설 하수도 이동규정에 대한 가이드이다.
•
Water discharge and groundwater activity permits: additional guidance
배수 및 지하수의 환경허가 준수에대한 영국 환경청 가이드라인이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수질오염방지관리법 1974(The Water (Prevention and Control of Pollution) Act, 1974)
인도의 수질오염의 방지 및 관리를 비롯하여 수질의 보전 또는 개선, 그러한 목적의 실행을 위한 수질오염방지관리위원회의 설치 및 관련 권한과 기능의 위임과 지정 등에 관한 법률이다.
•
수질오염방지법(水質汚濁防止法)
이 법은, 공장 및 사업장으로부터 공공용 수역에 배출되는 물의 배출 및 지하에 침투하는 물의 침투를 규제하는 것과 동시에, 생활 배수 대책의 실시를 추진하는 것 등에 의해, 공공 용수역 및 지하수의 수질의 오염(수질 이외의 물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포함한다.이하 같다)의 방지를 도모해 국민의 건강을 보호함과 동시에 생활 환경을 보전하고, 공장 및 사업 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 및 폐액에 관하여 사람의 건강에 관한 피해가 생겼을 경우에 있어서의 사업자의 손해 배상의 책임에 대해서 정하는 것에 의해, 피해자의 보호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이 영은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
이 법은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ㆍ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이 법은 수자원의 효율적 보전ㆍ이용ㆍ개발 및 물 관련 재해의 경감ㆍ예방을 위하여 수자원의 조사, 수자원계획의 수립ㆍ집행 및 수자원 관리의 효율화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공공복리를 증진하고 국민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WEB DB
+더보기
•
Environment Complete
농업, 생태학, 에너지, 해양과학, 지질학, 오염 및 공해관리, 환경기술 등 환경공학 정보원으로 1,300 여종의 원문을 제공한다.
•
Water Quality Portal/WQP
WQP는 미국 지질 조사국 (USGS), 환경 보호국 (EPA) 및 이사회와 모니터링 국가 수질 (NWQMC)가 후원, 협력하는 서비스로 400개 이상의 주, 연방, 부족, 지역 기관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
SPEI
스페인 국가연구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세계 가뭄관련 데이터베이스로 강수량, 잠재증발산량(PET)을 고려한 세계 가뭄지수를 제공한다.
•
EM-DAT
전세계 각종 재해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국가별, 재난 종류별로 조회가 가능하다.
•
GRDC(Global Runoff Data Center)
전세계 158개국, 8,470개 관측소에서 얻은 유출량 자료를 제공하며, 주요 하천 유량 관측자료를 일별, 월별로 제공한다.
관련사이트
+더보기
•
UN Water 유튜브
UN Water에서 운영하는 공식유튜브이며 UN Water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소식들을 얻을 수 있다.
•
UN Water 페이스북
UN Water에서 운영하는 공식 페이스북이며 UN Water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소식들을 얻을 수 있다.
•
서울하수도과학관
서울하수도과학관은 우리나라 최초의 하수도를 테마로 한 과학관으로써 하수도의 역사와 과학을 알리고자 2017.9.5. 개관하였다.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페이스북
한국수자원공사(K-water)에서 운영하는 공식페이스북이며 수자원공사와 관련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유튜브
한국수자원공사(K-water)에서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이며 수자원공사와 관련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