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는 일부 기능을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정부기관별 검색
부처
청
위원회
기관명 찾기
고용노동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농림축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외교부
중소벤처기업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행정안전부
환경부
국가보훈처
대통령경호처
법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사혁신처
경찰청
관세청
국세청
기상청
농촌진흥청
대검찰청
문화재청
방위사업청
병무청
산림청
새만금개발청
소방청
조달청
질병관리청
통계청
특허청
해양경찰청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공정거래위원회
국가인권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금융위원회
방송통신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공공질서및안전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교육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교통및물류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국방
병무행정
농림
농업·농촌
임업·산촌
문화체육관광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보건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사회복지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산업·통상·중소기업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일반공공행정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재정·세제·금융
금융
기획재정
세제
지역개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통신
방송통신
우정
통일·외교
외교
통일
해양수산
해양수산·어촌
환경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전체
제목
저자명
발행자
키워드
주제가이드 선택
전체
공공질서및안전
과학기술
교육
교통및물류
국방
농림
문화체육관광
보건
사회복지
산업·통상·중소기업
일반공공행정
재정·세제·금융
지역개발
통신
통일·외교
해양수산
환경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경찰
법무및검찰
안전관리
해경
고위공직자범죄수사
과학기술진흥
과학기술연구
원자력기술
고등교육
교육일반
유아및초·중등교육
평생·직업교육
도로
물류등기타
철도
항공·공항
해운·항만
병무행정
농업·농촌
임업·산촌
관광
문화예술
문화재
문화체육관광일반
체육
건강보험
보건의료
식품의약안전
감염병및질병
고용노동
공적연금
기초생활보장
노인·청소년
보건의료
보육·가족및여성
보훈
사회복지일반
주택
취약계층지원
공정거래
무역및투자유치
산업·중소기업일반
산업금융
산업진흥·고도화
에너지및자원개발
통상
국가통계
국민권익·인권
국정운영
국정홍보
법제
일반행정
재정·금융
지방행정·재정지원
개인정보
금융
기획재정
세제
산업단지
수자원
지역및도시
방송통신
우정
외교
통일
해양수산·어촌
대기
상하수도·수질
자연
폐기물
해양환경
환경일반
메뉴보기
검색하기
제목
저자
발행처
상세검색
다국어입력
로그인
회원가입
상세검색
정책자료
학술자료
제목
저자
발행처
AND
OR
NOT
저자
제목
발행처
AND
OR
NOT
발행처
제목
저자
AND
OR
NOT
발행연도
정렬
정확도
제목
저자
발행처
발행연도
기사제목
저자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저자
기사제목
주제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주제
기사제목
저자
저널명
초록
ISSN
ISBN
AND
OR
NOT
원문유무
원문(Full Text)
발행연도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HOME
|
정책동향
|
정책분야별 주제가이드
|
통일·외교
|
외교
전체
일반도서
학술지·학술기사
사전·편람
보고서·회의자료
국제기구·자료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통계·법령자료
WEB DB
관련사이트
일반도서
+더보기
•
국제정치 환경과 한국의 외교전략 : 외교전문가들의 국제관계 현안분석과 한국외교의 처방
본 도서는 2020년 한 해 동안 한국외교협회의 온라인 공간인 ‘외교광장’ 및 ‘외교소고’에 비춰진 회원들의 옥고(玉稿)를 한군데 모은 것이다.
•
Diplomacy and the Future of World Order
평화와 안보를 추구하는 외교는 수십 년 동안 볼 수 없었던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강대국의 재등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불화, 초국가적 비국가 행위자의 불안정화, 국가 내 시민사회의 폐쇄, 국제 자유질서의 약화 등은 모두 외교에 새로운 장애물을 제시하고 있다.
•
중소 중추국 외교전략과 한국 외교
이 보고서는 강대국 사이에 낀 중소 중추국의 외교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국의 미중정책과 강대국외교를 위한 지침과 교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Science diplomacy: new day or false dawn?
이 책은 외교와 과학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방법의 다양한 측면을 담고있다.
•
A Life in Diplomacy
본 서는 Maharajakrishna Rasgotra의 외교의 삶을 다룬 책이다.
학술지·학술기사
+더보기
•
외교적 갈등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 한-중 사드 갈등 사례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교적 갈등이 경제에 영향을 미친 구체적 사례 분석을 위해 사드 배치과정 중 발생한 갈등이 우리 경제에 초래한 효과를 파악하고 있다.
•
외교정책 변화(Foreign policy change)에 대한 연구 : 유형과 영향 요인을 중심으로
본 논문은 외교정책 변화(FPC)의 개념, 양상과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외교정책 변화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논의를 담고있다. 이를 위해 먼저 외교정책 변화의 개념과 변화의 유형과 정도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외교정책 변화의 요인들을 분석한다.
•
공공외교법의 의의와 과제 - 일본과의 비교를 통한 민간부문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
일본과의 비교를 통한 민간부문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공공외교법의 의의와 과제를 연구한다.
•
The Concept of ‘Community of Common Destiny’ in China´s Diplomacy: Meaning, Motives and Implications
이 논문은 그 간극을 메우고 의미, 동기 및 함의의 세 가지 측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반도 평화시대 보훈외교의 새 지평 : 전통외교에서 국민외교로
한반도 평화시대 보훈외교의 새 지평에 관한 학술 기사이다.
사전·편람
+더보기
•
2019 세계각국편람
세계각국 편람은 외교부 지역국(아시아태평양국, 동북아시아국, 아세안국, 북미국, 중남미국, 유럽국, 아프리카중동국)의 국가별 자료를 격년으로 수집・정리하여 발간하는 참고자료이다. 인구・GDP・무역・국방・재외동포 관련 통계는 최신성과 일관성을 위해 아래의 자료와 주재국에서 발표하는 통계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2019년에 만들어진 자료이다.
•
2018 실무자를 위한 비영리·공익 법인 관리·감독 업무 편람
외교부 소관 비영리법인 관련 설립허가, 정관변경 및 허가증 재발급 등 법정사무와 관련한 민원 신청 및 비영리법인 업무 실무담당자의 업무처리를 위한 매뉴얼이다.
•
2017 기후환경외교편람
외교부에서 발간하는 글로벌 환경 문제와 환경 외교에 대한 국내적 이해를 높이기 위한 편람이다.
•
The SAGE Handbook of Diplomacy
외교 이론의 역사적 정보와 외교 실천의 현재 및 미래의 요구와 동기, 연구의 주요 주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는 핸드북이다.
•
The Oxford handbook of modern diplomacy
옥스포드 대학에서 발간한 현대외교 핸드북으로 현대적인 외교를 연습하는 사람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보고서·회의자료
+더보기
•
2020년도 외교부 자체평가 결과보고서
본 보고서는 2020년도 외교부 64개 관리과제에 대한 평가보고서이다.
•
제11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9월 8일 공식 방한 중인 쁘락 소콘(Prak Sokhonn)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장관과‘제11차 한-메콩 외교장관회의’를 대면으로 공동 주재하였다.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태국, 베트남은 화상으로 참석하여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된 금번 회의에서는 올해로 10주년을 맞이하는 한-메콩 협력 성과와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한-메콩 협력의 미래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주요 지역 및 국제정세에 대해서도 포괄적 논의가 이루어졌다.
•
Food industry associations: Their role and value in policy and regulation
APEC에서 발간한 식품 산업 협회의 정책 및 규정이며 그들의 역할과 가치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는 자료이다.
•
A Comparative study on multi-field applications of BMPV in the APEC region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지역의 BMPV의 다중 필드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 연구이다.
•
(2015) 지구촌 한류현황.1-2
외교부의 한국국제교류재단에서 발간한 보고서로 유럽, 아프리카, 중동의 한류현황에 대해 수록하고 있다.
국제기구·자료
+더보기
•
중국의 대규모 산업 전략과 유럽에 미치는 영향 (China’s grand industrial strategy and what it means for Europe)
최근 몇 년간 유럽연합(EU)은 중국의 부상과 역사적인 국제사회 힘의 균형 변화 사이에서 중심을 잡기 위해 노력해 왔다. 유럽연합은 두 대륙의 상호의존성과 부인할 수 없는 이념 충돌을 인정하고 인권침해에 원칙적으로 대응하는 등 다각적인 전략을 펼쳐왔다. 2019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중국을 협상 상대자(negotiating partner)이자 경제적 경쟁자(economic competitor), 체제경쟁의 라이벌(systemic rival)로 규정했다. 중국 또한 국제 관계를 재설정하기 위한 새로운 경제 방향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 20년 간 세계 성장을 견인해온 기관차가 속도를 낮추고 기존 경제모델을 점검 중인 가운데 이러한 변화는 세계적으로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국이 발표한 대규모 경제 및 산업 전략은 유럽연합의 접근법이 기반하고 있는 가정과 상당 부분 반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정책 보고서는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 발 물러서서 중국의 대규모 산업 전략 지난 10년 간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또한 14차 5개년 계획에 포함된 새로운 발전 방향은 무엇인지 고찰한다. 또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통해 이러한 변화가 유럽연합과 중국의 경제 관계에 초래할 광범위하고 지정학적인 영향을 분석한다.
•
MIKTA/믹타
믹타는 멕시코,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터키, 오스트레일리아가 참여하여 만든 국가협의체로, 2013년 유엔 총회 외교장관회담에서의 모임을 시작으로 발족하였다.
•
Regional Dialogue on WTO Accessions for the Greater Horn of Africa
WTO 사무국은 케냐 정부 및 나이로비 대학교 경제학과와 협력하여 2017년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WTO 가입에 관한 첫 번째 지역 대화를 개최했다.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IAEA/국제 원자력 기구
원자력기술의 평화적인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고 각국의 핵 개발에 대한 감시와 억제를 위해 활동한다.
•
Trends and developments in provisions and outcomes of RTA/FTAs implemented in 2015 by APEC economies
APEC에서 발간한 2015년 RTA/FTA 체결의 성과 협정 규현에 대한 보고서이다.
정부기관·정부간행물관리기관
+더보기
•
주 인도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소속기관으로 인도에 위치해있는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
주 조지아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소속기관으로 조지아에 위치해있는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
주 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소속기관으로 카타르에 위치해있는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미국 국무부
미국 정부의 외교 정책을 주관하는 중앙 행정 기관이다.
•
주 케냐 대한민국 대사관
외교부 소속기관으로 케냐에 위치해있는 대한민국 대사관이다.
외국정부간행물
+더보기
•
外交
외교 전문지 「외교」는, 「외교」편집 위원회가 폭넓은 시점에서, 일본을 둘러싼 국제 정세의 현황, 외교에 관한 각계 각층의 다양한 논의를 널리 소개하는, 일본의 외교 전문지이다.
•
Foreign Secretary to back Baltic countries to challenge the threat posed by Russia, Belarus and China
리즈 트러스(Liz Truss) 외무장관은 2021년 10월 11일에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외무장관을 만나 악의적인 행위자들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강력한 경제, 안보 및 기술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한 공동 접근 방식에 합의했다.
•
Foreign Affairs Manual
U.S. Department of State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하고 있는 외교부분의 종합적인 외교 매뉴얼이다.
통계·법령자료
+더보기
•
한ㆍ아프리카재단법
이 법은 한ㆍ아프리카재단을 설립하여 아프리카국가에 대한 장기적ㆍ종합적 연구분석과 정치ㆍ경제ㆍ문화ㆍ학술 등 제반 분야에서 아프리카 국가와의 동반자 관계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한국국제협력단법
이 법은 대한민국과 개발도상국과의 우호협력관계 및 상호교류를 증진시키고 개발도상국의 빈곤감소 및 삶의 질 향상, 지속가능한 발전 및 인도주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한국국제협력단을 설립하여 각종 국제개발협력 사업을 하게 함으로써 국제협력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재외동포재단법
이 법은 재외동포재단을 설립하여 재외동포들이 민족적 유대감을 유지하면서 거주국에서 그 사회의 모범적인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이 법은 약칭 영사조력법으로 재외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국가의 영사조력(領事助力)과 관련한 제반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안전한 국외 거주ㆍ체류 및 방문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
국제기구 분담금 관리에 관한 법률
이 법은 약칭 국제기구분담금법으로 국제기구 분담금의 관리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전략적인 외교정책 수행 및 예산의 효율적 사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WEB DB
+더보기
관련사이트
+더보기
•
미국 국무부 인스타그램
미국 국무부에서 운영하는 공식인스타그램이며 국무부와 관련한 소식을 접할 수 있다.
•
미국 국무부 트위터
미국 국무부에서 운영하는 공식트위터이며 국무부와 관련한 소식을 접할 수 있다.
•
미국 국무부 유튜브
미국 국무부에서 운영하는 공식유튜브이며 국무부와 관련한 소식을 접할 수 있다.
•
미국 국무부 페이스북
미국 국무부에서 운영하는 공식페이스북이며 국무부와 관련한 소식을 접할 수 있다.
•
일본 외무성 페이스북
일본의 외교를 담당하는 정부기관 외무성이 운영하는 공식페이스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