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공유경제와 크라우드 워크

저자 김희성 (Kim, Hee-Sung)
수록출판물 강원법학. 2018-06 54:209-254
발행처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8.
발행연도 2018
주제 공유경제
크라우드 워크
자영과 고용
마켓플레이스(시장)
고용중개사업
크라우드 워커(작업자)
크라우드 소싱
노동법 규제
근로자 유사의 자
가내근로자
The Sharing Economy
Crowd Work
self-employment and employment
the marketplace(Market)
employment brokerage
crowd workers
crowd sourcing
the restriction of labor laws
similar employees
domestic employees
언어 Korean
ISSN 1229-4578
2713-6264
데이터베이스 DBPIA
초록 공유경제는 자영과 고용, 마켓플레이스(시장)와 고용중개사업이라는 두 경계에 있다. 그 경계는 융합하고 있으면서 이제 어느 하나 만에 의거한 논의는 한계가 있다. 성장이 기대되는 공유경제에서는 플랫폼의 자주적 대처에 의한 발전이 우선 가장 중요하다. 자유를 지향하는 인터넷이라 하더라도 노동에 관한 서비스인 한 일정한 수준의 규제는 필요하다. 직업소개 등 이미 법규제가 있는 서비스에 관해서는 당연히 그 규제가 적용된다. 그렇지만 무모하게 규제하여 발전을 저해함으로써 크라우드 워커(작업자)와 기업의 효용을 낮추는 규제는 필요최소한에 그쳐야 하고 서비스창발과 불량사업자의 도태를 촉진시켜야 한다. 자영과 고용 사이의 일하는 방식. 시장과 고용중개사업 사이의 플랫폼 그리고 공유경제에 의해 떠오르고 있는 것은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새로운 노동시장의 과제이다.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 크라우드 소싱에 의한 고용노동의 대체 혹은 불안정한 취업상태에 놓인 크라우드 워커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우리나라의 논의 속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노동법의 바람직한 대응방법이 검토되어야 한다. 원래 크라우드 워커는 노동법의 적용대상자일 수 있을까? 혹은 크라우드 소싱이란 노동법이 대응해야 하는 문제일까? 이 점에 관해서 살펴 본 외국의 논의들은 아직 해결책을 제대로 찾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대다수의 견해는 기존의 근로자개념, 근로자 유사의 자의 개념 혹은 가내근로자의 개념으로는 크라우드 워커를 충분히 파악할 수 없거나 혹은 충분한 규제가 미칠 수 없다는 인식을 공유하면서, 노동법의 ‘업데이트’를 위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종류의 논의도 또한 많은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대응을 다른 법규제(예를 들어, 경쟁법이나 계약규제)에 맡기지 않고 여전히 노동법이 대응해야 하는 문제로 검토하고자 하는 점에서 적잖이 공감대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본적 자세는 우리나라에서 크라우드 소싱이라는 현상에 대한 대응을 검토함에 있어서 유용할 것이다.
The sharing economy exists on the border between self-employment and employment or the marketplace(Market) and employment brokerage. The border has been fused so that only single discussion occurs in the limit. First of all,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evelop the autonomic preparation of platform in the sharing economy expecting economic growth. Even though the Internet has the origin of liberal intention, the consistent level as a labor service is required. With the service already restricted such as job placement, etc., the restriction is adopted obviously. On the other hand, the restriction that reduces the effectiveness of crowd workers and businesses may impede the development due to restricting recklessly so that it shall stay at the minimum necessity. In this regard, creating jobs and removing faulty business operators shall be promoted. It is the solution task of new labor markets lasting for a long time to arise the working method between self-employment and employment, the platform between the market place and employment brokerage, and the sharing economy. In the near future, it is definitely important to exchange the employment by crowd sourcing and cause the problem of crowd workers who are situated in the unstable employment. The awareness of these issues will be continued in the discussion of Korea. Therefore, the reasonable method shall be reviewed to respond the restriction of labor laws with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Originally, is a crowd worker the subject of labor laws? or is crowd sourcing the problem to respond labor laws? In this regard, as stated above, the discussion of foreign countries cannot still find the solution. However, the majority opinions share the consideration not to examine the crowd worker or affect the restriction sufficiently within the previous definition of employees, the definition of similar employees, and the definition of domestic employees so that it is considered to continue the discussion of updating labor laws. The type of the discussion also has the big difficulty, but it is the bond of sympathy that responding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does not impose other restrictions(e.g. competitive laws or restriction of contracts) but review the problem that labor laws shall respond. The fundamental attitude has the appropriateness to review the respondence with respect to the circumstance of crowd sourcing in Korea.
내용참고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공유 경제의 대두와 노동력거래에서 플랫폼의 역할 Ⅲ. 외국에서의 크라우드 소싱의 실태와 분석 Ⅳ. 노동법의 적용 내지 규제가능성 Ⅴ. 결론에 갈음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등록번호 edspia.NODE07487524
원문URL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87524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