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
  • 현재 페이지 : 1/1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정부간행물 온라인 자료
    昌原의 傳統
    • 저자

      창원시문화공보담당관실

    • 발행처

      [창원] : 창원시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 발행연도

      1987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책임표시사항 昌原의 傳統 / 창원시문화공보담당관실
      출처정보 gnk  |  [창원] : 창원시 문화공보담당관실, 1987  |  1987  |  단행본
      형태정보 전자책  |  PDF  |  181p.: 삽도, 도판; 27cm
      분류기호 한국십진분류법 -> 911.88
      자료이용안내 이용 제한이 없습니다.
    목차
    국민교육헌장 = 1
    창원시민헌장 = 2
    창원시의 상징 = 3
    창원시민의 노래 = 5
    창원시의 연혁 = 23
    제1장 역사(歷史)와 문화(文化)의 향기(香氣) = 25
    제1절 역사적 변천(歷史的 變遷) = 27
    1. 선사시대(先史時代) = 27
    2. 삼국(三國) 및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 32
    3. 고려시대(高麗時代) = 34
    4. 조선시대(朝鮮時代) = 37
    5. 항일독립투쟁기(抗日獨立鬪爭期) = 40
    제2절 유적(遺蹟)·유물(遺物)의 모습 = 44
    1. 고인돌[支石墓] = 46
    (1) 외동 지석묘(外洞 支石墓) = 47
    (2) 가음정동 지석묘(加音丁洞 支石墓) = 47
    (3) 상남 지석묘(上南 支石墓) = 48
    2. 패총(貝塚) = 48
    (1) 성산 패총(城山 貝塚) = 49
    (2) 가음정동 패총(加音丁洞 貝塚) = 61
    (3) 내동 패총(內洞 貝塚) = 61
    (4) 소답동 패총(召畓洞 貝塚) = 62
    (5) 남산 패총(南山 貝塚) = 62
    3. 고분(古墳) = 62
    (1) 삼동동 옹관묘(三東洞 甕棺墓) = 64
    (2) 도계동 고분군(道溪洞 古墳群) = 67
    (3) 가음정동 고분군(加音丁洞 古墳群) = 72
    (4) 봉림동 고분군(鳳林洞 古墳群) = 72
    (5) 불모산동 고분군(佛母山洞 古墳群) = 73
    4. 성지(城址) = 73
    (1) 성산 성지(城山 城址) = 74
    (2) 진례산성(進禮山城) = 76
    (3) 창원부 읍성지(昌原府 邑城址) = 77
    5. 불교유적(佛敎遺蹟) = 78
    (1) 봉림사지(鳳林寺址) = 79
    1) 봉림사지 진경대사 보월능공탑(鳳林寺址 眞鏡大師 寶月凌空塔) = 81
    2) 봉림사지 진경대사 보월능공탑비(鳳林寺址 眞鏡大師 寶月凌空塔碑) = 82
    3) 봉림사지 삼층석탑(鳳林寺址 三層石塔) = 84
    4) 봉림사지 마애불(鳳林寺址 磨崖佛) = 84
    (2) 성주사(聖住寺) = 85
    1) 성주사 삼층석탑(聖住寺 三層石塔) = 86
    2) 성주사 대웅전(聖住寺 大雄殿) = 87
    3) 성주사 명부전(聖住寺 冥府殿) = 87
    4) 성주사 석조관음보살입상(聖住寺 石造觀音菩薩立像) = 88
    5) 성주사 부도군(聖住寺 浮屠群) = 88
    (3) 불곡사(佛谷寺) = 89
    1)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佛谷寺 石造毘盧舍那佛坐像) = 90
    2) 불곡사 일주문(佛谷寺 一柱門) = 91
    3) 불곡사 석탑(佛谷寺 石塔) = 92
    4) 불곡사 석비(佛谷寺 石碑) = 92
    (4) 삼정자동 마애불좌상(三丁子洞 磨崖佛坐像) = 92
    (5) 용화전 석조여래좌상(龍華殿 石造如來坐像) = 93
    (6) 불모산동 석불좌상(佛母山洞 石佛坐像) = 94
    (7) 불모산동 폐탑 ①(佛母山洞 廢塔) = 94
    (8) 불모산동 폐탑 ②(佛母山洞 廢塔) = 95
    6. 유교유적(儒敎遺蹟) = 95
    (1) 창원향교(昌原鄕校) = 95
    (2) 운암서원(雲岩書院) = 98
    (3) 퇴산서당(退山書堂) = 100
    7. 기타 유적 = 101
    (1) 관술정(觀術亭) = 101
    (2) 최상국지각(崔相國之閣) = 102
    (3) 충절각(忠節閣) = 103
    (4) 남산 입석(南山 立石) = 104
    (5) 김해김씨 열녀비(金海金氏 烈女碑) = 104
    (6) 창원황씨 세조묘(昌原黃氏 世祖墓) = 105
    제2장 조상(祖上)의 얼과 슬기 = 107
    제1절 고장을 빛낸 사람들 = 109
    1. 진경대사(眞鏡大師) = 109
    2. 황석기(黃石奇) = 110
    3. 황상(黃裳) = 110
    4. 최윤덕(崔潤德) = 112
    5. 감경인(甘景仁) = 113
    6. 황시헌(黃是憲) = 113
    7. 안정석(安貞錫) = 114
    8. 정기헌(鄭基憲) = 115
    9. 김영곤(金榮坤) = 115
    10. 배중세(裵重世) = 116
    11. 배정세(裵正世) = 118
    12. 김종영(金鍾瑛) = 121
    제2절 옛 생활(生活)과 풍습(風習) = 122
    1. 세시풍속(歲時風俗) = 122
    (1) 정월행사 = 123
    (2) 2월행사 = 124
    (3) 3월행사 = 124
    (4) 4월행사 = 125
    (5) 5월행사 = 125
    (6) 6월행사 = 125
    (7) 7월행사 = 126
    (8) 8월행사 = 126
    (9) 9월행사 = 127
    (10) 10월행사 = 127
    (11) 11월행사 = 128
    (12) 12월행사 = 128
    (13) 기타 풍속 = 128
    2. 관혼상제(冠婚喪祭) = 130
    (1) 관례(冠禮) = 130
    (2) 혼례(婚禮) = 131
    (3) 상례(喪禮) = 132
    (4) 제례(祭禮) = 133
    3. 민속놀이 = 134
    (1) 문창제(文昌祭)놀이 = 134
    (2) 지신(地神)밟기 = 137
    4. 민요(民謠) = 138
    (1) 모심기노래 = 138
    (2) 모내기노래 = 144
    (3) 새야새야 = 146
    (4) 지신(地神)밟기(Ⅰ) = 146
    (5) 지신(地神)밟기(Ⅱ) = 149
    (6) 시집살이(Ⅰ) = 149
    (7) 시집살이(Ⅱ) = 150
    (8) 고애곡(孤哀曲) = 150
    제3절 내려오는 전설(傳説) = 151
    1. 조갈내(早渴川) = 151
    2. 웅신사(熊神寺) = 152
    3. 부자상호비(父子相互碑) = 152
    4. 불모산(佛母山)과 허왕후(許王后) = 153
    5. 용추골 = 154
    6. 만날재 = 155
    7. 천주산(天柱山) = 156
    8. 부엉이집 = 156
    9. 부처고개 = 157
    10. 황담 = 157
    11. 효자고개 = 157
    12. 불목하니 = 158
    제3장 천혜(天惠)의 자연(自然)과 보배(寶貝) = 161
    제1절 명승(名勝)과 경관(景觀) = 163
    1. 불모산(佛母山)과 성주사(聖住寺) = 163
    2. 용추골 = 164
    3. 봉림산(鳳林山) = 165
    4. 창원의 집 = 166
    제2절 유서(由緖) 깊은 나무 = 167
    1. 목동 느티나무 = 167
    2. 성주동 팽나무 = 167
    3. 남산동 서나무 = 168
    4. 상북동 서나무 = 168
    5. 의안동 느티나무 = 169
    6. 봉림동 느티나무 = 169
    7. 동정동 느티나무 = 169
    8. 동정동 은행나무 = 170
    9. 성주동 팽나무 = 170
    10. 성주동 서나무 = 170
    제3절 특산(特産)과 명물(名物) = 171
    1. 도라지나물 장아찌 = 171
    2. 미나리 = 172
    인물총괄(人物總括) = 173
    참고문헌(參考文獻) = 178
    발문(跋文) =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