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수출입기업의 안전강화를 위한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저자 최준호 (Jun-Ho Choi)
수록출판물 관세학회지. 2017-08 18(3):125-144
발행처 한국관세학회, 2017.
발행연도 2017
주제 AEO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
수출입관리책임자
AEO관리사
한국AEO진흥협회
Specialist
Export and Import Security Management
AEO Managers
Certified AEO Specialist
Korea AEO Association
언어 Korean
ISSN 1229-7445
데이터베이스 DBPIA
초록 국제무역의 안전과 원활화 등 관세행정 취지에 부합하는 수출입안전관리를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자격을 갖춘 전문 인력 육성이 필수적인 상황이지만, 그동안 수출입안전관리책임자로서 기본적인 교육만이 실시되었을 뿐, 세부적인 위험관리 및 무역실무와 이와 관련된 법규 등의 교육과정이 없었고, 수출입 관련 안전관리 업무 수행의 효율성 및 전문 인력 공급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수출입기업의 안전강화를 위한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인 가칭 “AEO관리사”는 수출입관련 기업의 관세행정 업무처리, 리스크평가 및 내부통제활동 평가, AEO 사후관리 심사대비, 현장에서 수출입 물품에 대한 안전관리 등 중요 직무를 수행할 것으로 보여 진다.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인 “AEO관리사”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자격사제도가 법률적 근거에 의해서 규정화되어야 하며, 시험과목을 비롯해서 시험기준, 출제형태, 시험횟수, 자격증의 활성화를 위한 홍보 등 많은 부분에서 노력을 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AEO관리사”는 수출입관련 기업의 관세행정 업무처리 협조, 위험관리 리스크평가 및 내부통제활동 평가의 시행, AEO 공인기업의 변동사항 보고 및 정기자체평가 실시, 종합심사 대비, 수출입 물품에 대한 안전관리 등의 중요 직무를 수행할 것으로 보이며 WTO 회원국의 AEO 도입 의무화에 따른 AEO MRA 체결국의 확대에 따라 관세행정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수출입기업의 안전관리 인력확충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manage the import and export safe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ustoms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safety and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trade, it is necessary to have professional manpower with a qualification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However, only basic training was carried out as the head of import and export safety management, there was no detailed training on risk management, trade practice and related laws, and the efficiency of carrying out import and export safety management work and the uncertainty of supply of professional workforce are increasing It is urgent to introduce a specialist in import and export safety management for enhancing the safety of export-import companies. “Certified AEO Specialist”, who is a specialist in import and export safety management, is expected to carry out important duties such as customs administration of import and export enterprises, evaluation of risk and internal control activities, preparation of AEO surveillance audit. In order for the “Certified AEO Specialist”, which is a specialist in import and export safety management, to be introduced, the qualification system that can be efficiently implemented should be regulated by the legal basis, and the test subject, test format, test frequency, Public relations and so on. In the future, “Certified AEO Specialist” will be responsible for customs clearance of export and import companies, Risk Management Risk Assessment and Internal Control Activity Assessment, AEO Certified Firm"s Change Report and Periodic Self Assessment, Comprehensive Audit Preparation, Management and other important task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AEO MRA contracting country due to the introduction of AEO by the WTO member countrie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expansion of the safety management personnel of the export and import companie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customs administrative paradigm.
내용참고 초록 Ⅰ. 서론 Ⅱ. 무역환경의 변화와 AEO제도의 확산 Ⅲ.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 도입의 필요성과 유사자격사와의 비교 Ⅳ. 수출입안전관리 전담자의 효율적 도입 방안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등록번호 edspia.NODE07239573
원문URL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239573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