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병무청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와 조직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
Der Aufgabenbereich der Sonderjustizpolizei in der Militärpersonalverwaltung und Verbesserungspläne für den organisatorischen Betrieb

저자 신현기
Hyun Ki Shin
수록출판물 한국자치경찰논총, 12/31/2022, Vol. 1, Issue 2, p. 3-43
발행처 한국자치경찰연구학회, 2022.
발행연도 2022
주제 병무청 특별사법경찰
수사
단속실적
병역법
병역조사과
지방병무청
Sonderjustizpolizei der Wehrdienstverwaltung
Ermittlung
Durchsetzungsleistung
Wehrdienstrecht
Wehrdienstermittlungsabteilung
regionale Wehrdienststellen
언어 한국어(KOR)
데이터베이스 eArticl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병무청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와 조직운영의 개선방안을 분석하였 다. 본 주제는 두가지 영역, 즉 하나는 병무청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 그리고 다른 하나는 특별사법경찰 조직운영의 개선을 어떻게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관해 살펴본 것이다. 유명연 예인과 운동선수들 중에 병역면탈 사건 등이 발생하여 크게 이슈화되는 사건들이 매스컴에 왕왕 등장한 경우가 있다. 병역면탈 범죄를 일반사법경찰관(리)들이 적발하는 것이 그렇게 쉽지만 은 않다. 이 때문에 전문적인 수사와 단속활동이 필요함과 동시에 그 사유가 강하게 대두되어 2012년 4월 18일 병무청에 특별사법경찰제도가 전격 도입되었다. 이들은 병역면탈 행위자에 대한 수사업무를 관장하는 규정에 따라 특사경 직무를 수행하고 있다. 병무청은 2022년 8월 현재 대전 소재 본청과 전국 12개 지방병무청에 총40명의 특별사법경찰이 병역면탈 범죄를 단속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무청 특별사법경찰의 직무범위와 조직운영을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 살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In dieser Studie wurden der Aufgabenbereich der Sonderjustizpolizei der Militärverwaltung in Korea und der Verbesserungsplan für den organisatorischen Betrieb analysiert. In diesem Thema werden zwei Bereiche untersucht, zum einen der Aufgabenbereich der Sonderjustizpolizei der Militärverwaltung und zum anderen, wie es wünschenswert ist, mit der Verbesserung der Organisation und des Betriebs der Sonderjustizpolizei fortzufahren. Es gibt Fälle, in denen berühmte Prominente und Sportler dem Militärdienst entzogen sind, und Fälle, die zu einem großen Thema geworden sind, sind in den Medien aufgetaucht. Für die Kriminalpolizisten (Lee) ist es nicht so einfach, das Verbrechen der Wehrdienstverweigerung aufzudecken. Aus diesem Grund wurde am 18. April 2012 in der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ein spezielles Justizpolizeisystem eingeführt, da professionelle Ermittlungen und Razzien erforderlich sind. Sie erfüllen ihre Aufgaben als Sondergesandte nach den Vorschriften über die Ermittlungen gegen Wehrdienstverweigerer. Seit August 2022 hat die Military Manpower Administration insgesamt 40 spezielle Justizpolizisten in ihrem Hauptquartier in Daejeon und 12 regionale Militärbüros im ganzen Land, die gegen die Umgehung des Militärdienstes vorgehen. In diesem Beitrag werden der Aufgabenbereich der Sonderjustizpolizei in der Wehrverwaltung und die wünschenswerte Verbesserung des organisatorischen Ablaufs untersucht und Alternativen vorgeschlagen.
내용참고 <국문초록>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직무범위의 확대 필요성과 추진전략 IV. 미래 중점 추진 전략 과제 V. 결어 <참고문헌>
등록번호 edsers.422622
문서유형 Article
Text
원문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22622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