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

분야별 주제가이드

  • 총 게시물 수 : 14
관련자료 더보기
  • 2020년 연차보고서
    본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작성한 2020년 연차보고서이다. 2020년에는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서비스체계 구축을 위한 연구 추진, 미래사회 대비, 선제적 사회보장정책 설계, 사회보장사업의 효율적 운영과 최적의 서비스 수급 여건 마련, 저출산‧고령화 대응과 모든 세대가 함께 행복한 지속 발전 사회 구현, 전략적 사회보장재정 운영 및 평가체계 마련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사업을 수행하였다.
  • 2021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설명회
    본 세미나는 2021년 4월 2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21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설명회의 자료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되었다.
  • 복지인식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Classification according to Welfare Awareness and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by Group)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정책 수혜 집단 선정 시에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여러 분야의 복지정책에 대한 비일관적인 인식 이면에 잠재된 특정한 패턴의 유형을 파악한 후 유형을 구분하고 그룹을 결정하는 요인이 어떤 것인가를 파악하여 정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파악하고자 한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한국복지패널조사에서 시행하는 복지인식 조사를 이용하였다. 유사한 복지인식을 가지는 집단으로 분류하는 군집화 방법론과 집단별 특성이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다양한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을 기준으로 총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 그룹은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인식에 따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룹별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한 인구, 사회학적 요인에 의해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들의 차별적인 요인을 고려한 정책 수혜자의 선정 및 맞춤형 정책을 시행하여 정책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기초적인 연구로 활용 될 수 있다.
  • 사회복지 보호(protective)서비스 인력의 수급실태와 운영제도 연구(Research on Protective Service Workforce Policy)
    본 연구는 돌봄과 보호의 경계에 대한 포괄적 접근을 전제로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문 분야로서 보호서비스(protective service)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이들 직무에 대한 보호와 돌봄의 실체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Ⅱ(A Comprehensive Study of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Korea (Ⅱ))
    이 연구는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근거 자료를 축적하여 한국인의 행복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수립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모두 3년에 걸쳐 진행할 연구의 2년차 과제로써 이 보고서는 생애주기별 경험과 이에 대한 개인 및 제도의 대응 방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2020년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생애주기에 따라 행복한 삶을 위해 중요한 영역에 대한 인식, 그 영역별 만족도와 행복도의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일상생활재구성법을 이용하여 누구와 어떤 경험을 할 때 행복하고 불행한지를 확인하고, 국제 비교 관점에서 우리나라 행복도의 특징 및 행복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측정도구로 풍요지수를 분석하고 있다.
  • 경기변동의 아동양육 영향 분석과 주요국 사례를 통해 본 아동수당 개선방안(An analysis of the impact of economic fluctuations on child rearing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child allowance through case studies of major countries)
    본 연구는 2018년 도입된 아동수당 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가계동향조사와 한국복지패널의 미시 시계열자료를 구축하여 경제여건의 변화가 가구의 아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와 소득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