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조직

분야별 주제가이드

  • 총 게시물 수 : 11
관련자료 더보기
  • 우즈베키스탄 간호교육체계 개선방안 연구(Improving Nursing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Uzbekistan)
    이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혁신위원회 간 협력의 일환으로 수행하는 우즈베키스탄 보건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 중 하나이다.
  • 2021년 한국의료패널 자료 설명회
    한국의료패널은 의료이용 및 의료비 지출과 관련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패널조사자료로, 제1기 연간데이터(2008-2018년)와 제2기 연간데이터(학술대회용 2019년 베타버전)를 제공한다. 이러한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사용한 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구자, 학생 등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2021년 한국의료패널 자료설명회를 개최한다.
  • 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제고 방안 연구(A Study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은 건강증진과 건강 유지를 위하여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고, 활용하는 개인의 동기와 능력을 규정하는 인지적·사회적 기술로 다양한 건강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건강정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이 시기에, 건강정보 접근, 이해, 활용과 그로 인한 건강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헬스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민들의 헬스리터러시 수준은 건강정보의 이해와 건강관리, 건강증진, 적절한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리터러시 수준의 제고를 위해서는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국가적 차원의 헬스리터러시 수준 모니터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헬스리터러시 취약 계층을 확인하고, 헬스리터러시 격차로 인한 건강형평성 문제 해소를 위한 다분야 협력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0+1주년 국제학술심포지엄
    본 학술세미나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51주년 기념 국제학술심포지엄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보건・복지 정책 방향에 대해 주요국의 코로나19 대응 및 정책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한국 보건복지의 역사적 성찰과 정책패러다임 전환기의 과제(Historical reflection on Korean health and welfare and the task of policy paradigm shift)
    최근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은 인류문명의 대전환을 예고하는 파급력으로, 누구도 예외일 수 없는 일상생활의 근본적인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국민 복지에 대한 국가 책임과 개입 수준, 이를 실현하는 정책과 제도의 설계, 운영방식의 변화가 필요불가결한 상황이며, 근본적인 사회정책 패러다임에 대한 점검과 재설정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으로 착수하여 첫째, 보건 및 복지 정책의 발전 역사를 체계적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정책 형성 과정 및 현행 위상을 확인하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수행한 연구가 어떻게 기여하였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정책패러다임 전환에 치명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으로서 코로나19 팬데믹을 중심으로 그 위기의 성격과 대응 양상, 이러한 상황이 부가하는 영향을 고려한 미래 정책방향 설정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Diagnostic Tests Approv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ebruary to April 2021)
    본 자료는 일본 검사의학회(JSLM)에서 2021년 2월부터 4월까지 실시한 진단검사에 관한 학술저널이다. 일본 보건복지부의 승인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