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2,031
  • 현재 페이지 : 1/204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정권 의존적인 환경세 승수 : 75개 국가에서 얻은 증거 (Regime-Dependent Environmental Tax Multipliers: Evidence from 75 Countries)
    •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정권 의존적인 환경세 승수 : 75개 국가에서 얻은 증거 (Regime-Dependent Environmental Tax Multipliers: Evidence from 75 Countries)
      저자 Christian Schoder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재정·세제·금융 - 세제 , 일반공공행정 - 일반행정
      소개 지속 가능한 성장과 재정건전성에 맞춰 환경 목표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복구 프로그램의 일부로 노동에서 탄소 배출로 세금 부담을 전환하는 환경 세제 개혁이 꼭 필요하다. 환경 세제 개혁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관심은 결정적으로 개혁의 거시경제적 영향에 따라 달라진다. 이 보고서에서는 노동에서 탄소 배출로 세금 부담을 전환하는 환경 세제 개혁의 주요 절차를 검토한다. 간단한 개방 경제 매크로 모델을 사용해 1994년부터 2018년까지 75개의 고소득 및 저소득 국가에 대해 동태적 환경세와 개인 소득세 승수 효과가 생산 및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다. 분석 결과는 소득세과 비교하여 환경세가 특히 탈탄소화 시작 단계에 있는 국가에서 코로나19 이후 재정건전성을 회복하면서 경기를 덜 후퇴시키는 수입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출처URL https://openknowledge.worldbank.org/handle/10986/35520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중남미 협력 방안: 의료 및 방역 부문을 중심으로
    • 발행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2015-16년 영국과 세계은행그룹의 관계 (UK engagement with the World Bank Group 2015-16)
    • 발행처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DID)

    • 발행연도

      2015

  • 최신정책동향
    저소득국가(LIC)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 속도 증진 :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균형 잡기 (Accelerating Progress of Low-Income Countries Towards the SDGs: Balancing Realism and Ambition in a Post-COVID-19 World)
    • 발행처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CGD)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저소득국가(LIC)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 속도 증진 : 코로나19 이후 시대에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균형 잡기 (Accelerating Progress of Low-Income Countries Towards the SDGs: Balancing Realism and Ambition in a Post-COVID-19 World)
      저자 Sudhir Shetty
      발행처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CGD)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 보건 - 보건의료 , 일반공공행정 - 재정·금융
      소개 전 세계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유행발 건강, 경제, 사회 위기로 인해 격통을 앓고 있다. 전 세계 경제 성장이 둔화함에 따라 모든 국가, 특히 최빈국의 경제 전망은 더욱 어두워졌다. 이토록 어려운 현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모든 개발 협력국이 저소득국가(low-income countries, LIC)의 향후 10년간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 SDG) 추진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현실과 목표 사이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 이 문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발발 이전 기간을 대상으로, 저소득국가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 성과를 결정한 주요 요인을 살펴본다. 둘째, 대유행이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어떠한 방식으로 어렵게 만들었는지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전 세계 경제가 코로나19 대유행의 영향에서 회복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저소득국가와 개발 협력국이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 속도를 높이기 위해 취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방안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cgdev.org/publication/accelerating-progress-low-income-countries-towards-sdgs-balancing-realism-and-ambition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주요국 및 주요 이해관계자의 글로벌 헬스 전략에 대한 조사 분석 보고서 (主要国及び主要ステークホルダーによるグローバルヘルスへの取り組みに係る調査分析 調査報告書)
    • 발행처

      Prime Minister's Office of Japan(首相官邸)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주요국 및 주요 이해관계자의 글로벌 헬스 전략에 대한 조사 분석 보고서 (主要国及び主要ステークホルダーによるグローバルヘルスへの取り組みに係る調査分析 調査報告書)
      발행처 Prime Minister's Office of Japan(首相官邸)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소개 글로벌화에 따른 감염증의 세계적 확산, 보건 문제의 다양화, 더욱이 신종 코로나 감염증의 등장으로 일본을 포함한 국제사회 전체에서 공중위생 위기에 대한 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 문서는 글로벌 헬스의 흐름을 감안하여 일본이 새로운 글로벌 헬스 전략을 결정하는데 참고가 될 해외 및 주요 이해관계자의 전략과 활동을 분석한 자료이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국가와 WHO, UNICEF, 세계은행그룹 등의 주요 국제기관 및 주요 민관 연계펀드(글로벌펀드, Gavi, CEPI)를 대상으로 글로벌 헬스의 전략과 활동을 분석했다.
      출처URL https://www.kantei.go.jp/jp/singi/kenkouiryou/siryou/pdf/r04_tyosahoukoku.pdf
      국가명 JP
  • 최신정책동향
    기업의 녹색 투자 동인 : 금융인가 기후인가 (Green Investment by Firms: Finance or Climate Driven?)
    • 수록잡지

      Working Paper, No. 268

    • 발행처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EBRD)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Working Paper , No. 268
      표제 기업의 녹색 투자 동인 : 금융인가 기후인가 (Green Investment by Firms: Finance or Climate Driven?)
      저자 Fotios Kalantzis, Helena Schweiger, Sofia Dominguez
      발행처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EBRD)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재정·세제·금융 - 기획재정
      소개 기업의 기후 투자 변화가 환경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것은 정책 입안자와 기업 모두에게 필수적이다. 이 보고서에서는 기업의 녹색 투자 전략에서 녹색 경영 관행과 금융 접근성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조사한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계량경제학적 분석 결과는 녹색 경영 관행이 시행된 완화 조치 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대조적으로 재정적 제약에 직면한 기업들은 다양한 완화 조치를 추진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정적 제약이 녹색 투자 유형에 미치는 영향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녹색 경영 관행이 우수하면 자본 및 비자본 집약적 녹색 조치에 투자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URL https://www.ebrd.com/publications/working-papers/green-investment-by-firms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국제금융공사와 조세 피난지 : 더 책임 있는 기업 세금 관행을 지지해야 할 필요성 (The IFC and tax havens: The need to support more responsible corporate tax behavior)
    • 발행처

      Oxfam International

    • 발행연도

      2016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국제금융공사와 조세 피난지 : 더 책임 있는 기업 세금 관행을 지지해야 할 필요성 (The IFC and tax havens: The need to support more responsible corporate tax behavior)
      발행처 Oxfam International
      발행연도 2016
      정부부처BRM 재정·세제·금융 - 세제
      소개 전 세계적으로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 불평등 해소가 모든 사람들에게 우선순위가 되어야만 한다. 옥스팜의 분석에 의하면, 2015년 사하라 사막 이남 지역에 투자를 위해 세계은행에서 차관을 한 68개 기업 중 51개가 조세 피난처를 이용했다. 이 기업들 중 84%가 지난해 국제 금융 기관으로부터 이 지역에 투자를 받았다.
      출처URL https://www.oxfam.org/en/research/ifc-and-tax-havens
  • 최신정책동향
    2021년 태평양제도 개발도상국(PIDEs)의 디지털화 및 지속 가능한 무역 촉진 (Digital and Sustainable Trade Facilitation in Pacific Island Developing Economies (PIDEs) 2021)
    • 수록잡지

      REPORT, Nov-22

    •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REPORT , Nov-22
      표제 2021년 태평양제도 개발도상국(PIDEs)의 디지털화 및 지속 가능한 무역 촉진 (Digital and Sustainable Trade Facilitation in Pacific Island Developing Economies (PIDEs) 2021)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무역및투자유치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11개 태평양제도 개발도상국(Pacific Islands Developing Economies, PIDE)에 대한 2021년 유엔(UN) 디지털 및 지속 가능한 무역 촉진에 관한 글로벌 조사 결과를 제시한다. 이 보고서에 제시된 분석에서는 디지털 무역 촉진 조치가 해당 지역 국가에 상당한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것을 더 명확하게 보여준다. 구속적 및 비구속적인 세계무역기구(WTO) 무역원활화 협정(Trade Facilitation Agreement, TFA) 조치를 완전히 이행하는 경우 무역 비용이 약 14.8% 절감된다. 이에 비해 무역 데이터 및 문서의 국경 간 원활한 전자 교환을 지원하는 디지털 무역 촉진 조치를 완전히 이행하는 경우에는 PIDE의 무역 비용을 약 26%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시아 태평양 국경 간 전자무역 촉진화 체계 합의(Framework Agreement on Facilitation of Cross-border Paperless Trade in Asia and the Pacific, CPTA)는 특정 목적의 포용적이며 역량 구축에 중점을 둔 정부 간 플랫폼을 제공하여 각국이 '종이 사용을 줄인' 다음 종이를 쓰지 않는 국가 간 전자 무역으로 점진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출처URL https://www.unescap.org/kp/2022/untf-survey-2021-PIDE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와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기반시설의 현황 (COVID-19 and a new resilient infrastructure landscape)
    •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와 새로운 기후변화 대응 기반시설의 현황 (COVID-19 and a new resilient infrastructure landscape)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보건의료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유행을 배경으로 기후변화 대응 기반시설 현황을 거시적으로 선별해 조망하며, 기획에서 설계, 건설, 운영, 해체에 이르기까지 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기후 복원력의 여러 차원을 살펴본다. 이 논의를 통해 특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와 관련해 기반시설의 상호연결성, 여러 공동체의 회복력에 대한 기여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문서는 최근 몇 개월의 사례와 관측 결과를 제시하면서 기반시설을 통한 지속가능한 회복 전망을 제시한다. 특히 대유행병으로 인한 장기적 효과, 그리고 기반시설을 통한 혁신, 적응, 회복에 초점을 맞춘다.
      출처URL http://www.oecd.org/coronavirus/policy-responses/covid-19-and-a-new-resilient-infrastructure-landscape-d40a19e3/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소비자 보호 법 및 정책에 대한 자발적 동료 평가 : 모로코 (Voluntary peer review of consumer protection law and policy: Morocco)
    • 발행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 발행연도

      2018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소비자 보호 법 및 정책에 대한 자발적 동료 평가 : 모로코 (Voluntary peer review of consumer protection law and policy: Morocco)
      발행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발행연도 2018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국정운영 , 일반공공행정 - 재정·금융
      소개 이 자료는 2018년 7월 9일과 10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UNCTAD 소비자 보호 법 및 정책에 관한 정부간 전문가 그룹의 3차 회의에서 다룰 모로코의 소비자 보호 법 및 정책에 대한 자발적 동료 평가에 관한 세션을 위한 배경 자료이다.
      출처URL https://unctad.org/en/pages/Publications/Latest.aspx?Do=31,10,,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