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3,129
  • 현재 페이지 : 1/313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유엔환경계획(UNEP) 에너지 금융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Energy Finance)
    •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엔환경계획(UNEP) 에너지 금융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Energy Finance)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 환경 - 환경일반
      소개 유엔환경계획(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의 에너지 금융은 저탄소 개발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부문에 대한 금융업계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자료표는 에너지 금융팀이 은행 및 금융업자와 협력해 개발한 프로젝트와 활동을 살펴본다. 이러한 프로젝트와 활동은 청정에너지 기술 시장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국가별 기여 방안(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 및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자금 조달을 위해 국가가 국제 기후 완화 자금을 이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 목적이다.
      출처URL https://www.unenvironment.org/resources/factsheet/united-nations-environment-programme-unep-energy-finance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2018년도 잔류성유기오염물질측정망 운영결과 보고서
    • 발행처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 발행연도

      2019

  • 최신정책동향
    제3섹터를 활용한 도시형 그린 뉴딜 추진방안
    • 수록잡지

      , 기본 21-15

    • 발행처

      국토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탄소 중립 이행을 위한 순환경제 정책 로드맵 연구
    • 발행처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2020 희망을 만드는 농어촌 여성정책 포럼 자료집
    • 발행처

      대통령직속 농어업·농어촌 특별위원회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전환기의 세계 거버넌스와 세계 주요 20개국 회의체(G20)의 역할 (Global Governance at a Turning Point. The Role of the G20)
    • 발행처

      Istituto Affari Internazionali(IAI)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전환기의 세계 거버넌스와 세계 주요 20개국 회의체(G20)의 역할 (Global Governance at a Turning Point. The Role of the G20)
      저자 Nicola Bilotta, Fabrizio Botti, Martin Charter, Ichin Cheng, Ettore Greco, Paola Subacchi, Paul Twomey
      발행처 Istituto Affari Internazionali(IAI)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 산업·통상·중소기업 - 무역및투자유치 , 과학기술
      소개 이 도서는 2021년 세계 주요 20개국 회의체(G20) 회의에서 의장국 지위를 맡은 이탈리아가 어떻게 새로운 세계 거버넌스 의제를 증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최고 국제 전문가들이 쓴 기고문을 모아 놓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사태는 전 세계 모든 국가에 영향을 미쳐 인류가 얼마나 세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지를 부각시켰다. 코로나19 위기의 보건, 사회 및 경제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세계적 대응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자간 협력은 코로나19 사태 전후로 극적인 역풍에 직면하고 있다. G20는 세계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과 수단을 추진하여 다자간 협력을 재활성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자들은 세계 무역, 디지털화, 인구 통계학적 양상 및 순환 경제 등 새로운 세계적 조정을 필요로 하는 네 가지 핵심 분야를 탐색한다.
      출처URL https://www.iai.it/en/pubblicazioni/global-governance-turning-point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어린이 녹색생활환경 구축연구(Ⅲ) : 위해저감을 위한 녹색소비 활성화 방안
    • 수록잡지

      KEI 사업보고서, 2021-12-03

    • 발행처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서아프리카 주요 담수 생물 다양성 지역에 대한 식별과 검증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Western African freshwater Key Biodiversity Areas)
    • 발행처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IUCN)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서아프리카 주요 담수 생물 다양성 지역에 대한 식별과 검증 (Identification and validation of Western African freshwater Key Biodiversity Areas)
      발행처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IUCN)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상하수도·수질 , 지역개발 - 수자원
      소개 서아프리카는 담수생물 다양성과 지역 특성이 풍부하여 물고기, 연체동물, 잠자리, 게, 새우, 수생식물 등 멸종 위기에 처한 대다수 담수종의 전 세계 개체를 유지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2009년에 완료된 지역 기준 평가와 2015년 주요 담수 생물 다양성 지역 평가를 기반으로 한다. 담수종의 보존 상태가 악화되고 있지만 수십 년 동안 많은 종이 관찰되지 않고 있어서 담수종의 보존 동향을 밝히는 데 필요한 충분한 관찰 데이터가 부족하다. 이 보고서에서는 특정 종과 서식지에 대한 주요 위협을 식별하고 이러한 서식지를 주요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보존할 것을 권고하며 긴급 조사가 필요한 특정 지역들을 강조하고 중요한 연구 활동을 살펴본다.
      출처URL https://portals.iucn.org/library/node/49701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미세플라스틱의 건강 피해 저감 연구(Ⅱ)
    • 수록잡지

      KEI 사업보고서, 2020-09

    • 발행처

      한국환경연구원

    • 발행연도

      2020

  • 최신정책동향
    환경정책 제24권 제4호 (2016년 12월)
    • 발행처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학회

    • 발행연도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