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280
  • 현재 페이지 : 1/128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지역의 돌봄 경제 공공투자 : 코로나19 회복과 성 평등 관련 기회와 과제 (Public investment in the care economy in the UNECE reg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gender equality in the COVID-19 recovery)
    •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지역의 돌봄 경제 공공투자 : 코로나19 회복과 성 평등 관련 기회와 과제 (Public investment in the care economy in the UNECE reg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gender equality in the COVID-19 recovery)
      저자 Silke Steinhilber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일반행정 , 사회복지 - 보육·가족및여성
      소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위기에 따라 성공적인 대응과 회복, 또한 ‘더 나은 재건’을 위한 돌봄 경제 투자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이 보고서는 코로나19 위기에 대한 대응 및 회복계획 수립 과정에서 돌봄에 중점을 둔 투자를 확보하고 확대하기 위한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회원국의 노력을 살펴본다. 이 보고서는 또한 돌봄 경제 재정지원에 영향을 미친 주요 정책조치를 소개한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개 영역, 즉 (ⅰ) 돌봄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재정 및 세금 정책, (ⅱ) 돌봄 부문과 돌봄 사업을 포함한 특정 부문과 사업에 대한 경제 부양 조치, (ⅲ) 특히 돌봄 부문에 대한 보조금 등 고용보호 조치, (ⅳ) 돌봄 노동자의 소득 보호 조치, (ⅴ) 급여, 노동환경 개선, 비상 채용 및 고용유지 조치 등 유료 돌봄 노동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이 포함된다. 이 보고서는 코로나19 위기 대응 및 회복 과정에서 돌봄 경제 투자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단기 및 중장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출처URL https://unece.org/info/publications/pub/357259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사업 개발
    • 발행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중앙아시아 인프라물류 분야 진출 확대 전략 마련 연구
    • 발행처

      국토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정책수립시 데이터 활용 강화방안 연구
    • 발행처

      한국행정연구원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2021년 독일 IT 보안 현황 (Die Lage der IT-Sicherheit in Deutschland 2021)
    • 발행처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BMI)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21년 독일 IT 보안 현황 (Die Lage der IT-Sicherheit in Deutschland 2021)
      발행처 Federal Ministry of the Interior, Germany(BMI)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국정운영 , 통신 - 방송통신
      소개 정보 기술 분야의 급속한 발전은 개인의 직업적 관습과 개인적 습관을 다양하게 변화시킨다. 회의는 점점 더 디지털화되며, 가전제품 역시 인터넷과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장점에는 단점도 존재한다. IT 기술의 발전은 곧 사이버 공격의 증가를 의미한다. 2021년 독일 IT 보안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공격의 위험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 공급이나 의료 등 우리 사회의 가장 기본적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당국은 이러한 위험을 인지하고 있으며 시민, 기업 및 국가를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특히 독일 연방 정보기술보안청(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BSI)은 독일 정보보안의 중심기관으로서 IT 안정성 확보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역할을 하고 있다.
      출처URL https://www.bmi.bund.de/SharedDocs/downloads/DE/publikationen/themen/it-digitalpolitik/bsi-lagebericht-cybersi...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시티 기반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Direkte und indirekte Umwelteffekte von intelligenten, vernetzten urbanen Infrastrukturen)
    •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마트시티 기반시설이 환경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 (Direkte und indirekte Umwelteffekte von intelligenten, vernetzten urbanen Infrastrukturen)
      저자 Benno Keppner, Walter Kahlenborn, Jens Libbe, Katharina Lange, Petra Weiler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지역개발 - 지역및도시
      소개 기초자치단체는 기후·환경·자원보호를 목표로 '스마트한' 구상과 해결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시티 구상은 종종 지속 가능한 도시의 핵심 요소로 간주되지만 도시 환경보호에 대한 스마트시티의 기여도는 아직 실제로 연구되지 않았다. 3년 동안 진행된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스마트 해결책'이 기존 환경·지속가능성 전략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프로젝트는 스마트시티 분야의 법적 제도뿐만 아니라 국제 규범 및 표준화 문제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국제 표준화가 지속가능성을 얼마나 촉진하고 또 환경보호에 효과적인 스마트시티 접근법의 구현을 얼마나 촉진 또는 방해하는지 등을 조사했다.
      출처URL https://www.umweltbundesamt.de/publikationen/direkte-indirekte-umwelteffekte-von-intelligenten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개도국 교육지표 개발·협력 사업(I) : 중장기 실행전략 수립
    • 발행처

      한국교육개발원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사회갈등 양상과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수록잡지

      , KIPA 연구보고서 2020-15

    • 발행처

      한국행정연구원

    • 발행연도

      2020

  • 최신정책동향
    한국범죄분류 개발 기초연구
    • 발행처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물과 건강에 관한 의정서 : 물, 위생, 청결 및 건강에 관한 행동 추진 (The Protocol on Water and Health: Driving action on water, sanitation, hygiene and health)
    • 수록잡지

      Publication, Jan-22

    •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Publication , Jan-22
      표제 물과 건강에 관한 의정서 : 물, 위생, 청결 및 건강에 관한 행동 추진 (The Protocol on Water and Health: Driving action on water, sanitation, hygiene and health)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상하수도·수질
      소개 안전한 물과 적절한 위생은 인간의 존엄성, 건강 및 복지 그리고 안전하고 깨끗한 환경을 위한 기본 조건이다.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세계보건기구(WHO) 유럽 사무소의 물과 건강에 대한 의정서(Protocol on Water and Health)(임시명)는 범유럽 지역 국가들을 위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국제 협정이다. 이 협정의 목표는 지속 가능한 물 관리와 물 관련 질병 예방 및 통제를 통해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보호하는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이 의정서의 핵심 조항을 소개하고 의정서 당사국이 되는 이점을 강조하며 의정서의 물, 위생 및 건강 관련 기술 관련 활동 분야에 대한 식견을 제공한다. 또한 이 문서에서는 의정서 가입을 고려하는 여러 국가에서 참조할 수 있는 다양한 질문과 이에 대한 대답을 포괄한다.
      출처URL https://unece.org/info/publications/pub/364655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