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4,026
  • 현재 페이지 : 1/403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글로벌 충격, 리스크, 아시아 금융 개혁 (Global Shock, Risks, and Asian Financial Reform)
    •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 발행연도

      2014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글로벌 충격, 리스크, 아시아 금융 개혁 (Global Shock, Risks, and Asian Financial Reform)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발행연도 2014
      정부부처BRM 재정·세제·금융 - 금융
      소개 금융 위기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금융 규제의 부조리가 문제 되고 있다. 본 자료는 법적 그리고 제도적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금융자유화를 통한 이익 극대화 방안과 금융리스크 최소화 방안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도전과제와 다양한 이슈에 관해 상세히 다루고 있다.
      출처URL http://www.adb.org/publications/global-shock-risks-and-asian-financial-reform
  • 최신정책동향
    기후 공정성과 이주 : 개발 도상국의 이동성, 발전 및 강제 이주 (Climate Justice and Migration: Mobility, Development, and Displacement in the Global South)
    • 수록잡지

      PUBLICATION SERIES ON DEMOCRACY, VOLUME 57

    • 발행처

      Heinrich Böll Foundation(HBS)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PUBLICATION SERIES ON DEMOCRACY , VOLUME 57
      표제 기후 공정성과 이주 : 개발 도상국의 이동성, 발전 및 강제 이주 (Climate Justice and Migration: Mobility, Development, and Displacement in the Global South)
      발행처 Heinrich Böll Foundation(HBS)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과학기술 - 과학기술진흥 , 통일·외교 - 외교
      소개 기후 변화 위기가 임박하면서 개발 도상국에서 나타난 이주에 대한 우려가 종말론적 생태계 붕괴 두려움으로 증폭되고 있다. 이 문서에서는 기후 변화와 이주의 연관성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현재 정책을 주도하는 적응에 대한 안보 및 시장 지향적 접근법의 비관적인 관점을 검토한다. 이 문서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중남미 지역의 주요 학자, 활동가 및 기자들이 광범위한 분야 및 접근 방식으로 법률, 보건, 돌봄 활동, 농촌 및 도시 발전에 대해 작성한 기고문을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기후의 불안정성과 불평등이 커지는 상황에서 환경과 이주 거버넌스 계획에 공정성을 보장해야 한다는 강력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
      출처URL https://www.boell.de/en/2020/12/04/climate-justice-and-migration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캐나다의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예방 : 캐나다 암 발병률: 1983~ 2032년 동향과 전망(35권, 부록1) - 2015년 봄 (Cancer incidence in Canada: trends and projections (1983-2032) -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Prevention in Canada Volume 35 • Supplement 1 • Spring 2015)
    • 발행처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PHAC)

    • 발행연도

      2015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캐나다의 건강증진과 만성질환예방 : 캐나다 암 발병률: 1983~ 2032년 동향과 전망(35권, 부록1) - 2015년 봄 (Cancer incidence in Canada: trends and projections (1983-2032) - 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Prevention in Canada Volume 35 • Supplement 1 • Spring 2015)
      발행처 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PHAC)
      발행연도 2015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소개 이 논문은 1983년에서 2032년까지 비흑생종피부암(Non-melanoma Skin Cancers)을 제외한 캐나다 사람들의 암 발생 빈도와 그 비율에 대해 과거의 자료와 예상을 기술하였다. 이 정보는 관련 전략을 수립하고, 암 예방과 건강관리를 위한 자원과 사회기반시설을 배분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출처URL http://www.phac-aspc.gc.ca/publicat/hpcdp-pspmc/35-1-supp/index-eng.php
  • 최신정책동향
    국가 사고다발지역 프로그램 평가 : 1, 2, 3권 (Evaluation of the National Black Spot Program—Volume 1, 2 and 3)
    • 발행처

      Bureau of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Research Economics(BITRE)

    • 발행연도

      201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국가 사고다발지역 프로그램 평가 : 1, 2, 3권 (Evaluation of the National Black Spot Program—Volume 1, 2 and 3)
      발행처 Bureau of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Research Economics(BITRE)
      발행연도 2012
      정부부처BRM 교통및물류
      소개 본 자료에서 다루는 사고다발 지역은 1,599개 지역으로 1996~1997년부터 2002~2003년까지 7년간 정부가 승인하고 완료한 프로젝트 2,578개 지역 가운데 62%를 차지한다.
      출처URL http://bitre.gov.au/publications/2012/report_126.aspx
  • 최신정책동향
    2014 정보사회측정 보고서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2014)
    • 발행처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ITU)

  • 최신정책동향
    특정 동물용 약품의 잔여물 평가: 2013년 78차 회의 식품 첨가물에 대한 FAO/WHO 전문가 위원회 (Residue evaluation of certain veterinary drugs: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78th meeting 2013)
    • 발행처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FAO)

  • 최신정책동향
    독일의 순환경제 모델 : 정책 청사진 (Modell Deutschland: Circular Economy: Politik Blueprint)
    •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독일의 순환경제 모델 : 정책 청사진 (Modell Deutschland: Circular Economy: Politik Blueprint)
      저자 Siddharth Prakash, Clara Löw, Klaus Jacob, Valentin Fiala, Helene Helleckes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산업진흥·고도화 , 환경 - 환경일반
      소개 이 문서 '독일 순환경제 모델(Modell Deutschland Circular Economy, MDCE) – 정책 청사진'의 목표는 독일 순환경제의 기본정책 설계를 위한 자극과 제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특히 국가순환경제전략의 개발과 관련되지만 이 문서의 제안은 이와 상관없이도 유효하다. MDCE 정책 청사진은 순환경제로 가는 전환의 경로를 제시하고 상호 보완적인 핵심 요소들을 서술한다. 이런 요소에는 비전과 원칙, 목적과 지표, 거버넌스, 순환경제 조치를 실행하기 위한 정책수단이 포함된다.
      출처URL https://www.oeko.de/publikationen/p-details/modell-deutschland-circular-economy-politik-blueprint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인위적 재고지도 제작 IV : 지역 자재관리 조사를 통한 재활용 최적화를 위한 건물증서 및 건물지적 방안 : 자재목록과 자재지적 방안 (Kartierung des anthropogenen Lagers IV: Erarbeitung eines Gebäudepass- und Gebäudekatasterkonzepts zur regionalisierten Erfassung des Materialhaushaltes mit dem Ziel der Optimierung des Recyclings: Konzepte für Materialinventare und -kataster)
    •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인위적 재고지도 제작 IV : 지역 자재관리 조사를 통한 재활용 최적화를 위한 건물증서 및 건물지적 방안 : 자재목록과 자재지적 방안 (Kartierung des anthropogenen Lagers IV: Erarbeitung eines Gebäudepass- und Gebäudekatasterkonzepts zur regionalisierten Erfassung des Materialhaushaltes mit dem Ziel der Optimierung des Recyclings: Konzepte für Materialinventare und -kataster)
      저자 Georg Schiller, Ines Lehmann, Karin Gruhler, Jörg Hennersdorf, Thomas Lützkendorf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폐기물 ,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인위적 자재의 대부분은 인공 구조물에 사용된다. 특히 비금속 광물이 자재가 많이 사용된다. 독일에서는 이런 자재 재고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성분도 다양해지고 있다. 미래에는 건축 자재의 양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건설 부문은 자재 재활용을 통해 원료를 보호하고 기후보호에도 기여해야 할 특별한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 투자자, 건축주 및 폐기물 관리와 폐기물·건축 자재 산업 책임자, 지속성 관련 총무업무 책임자 같은 모든 관계자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자재 흐름과 자재 재고를 기록하기 위한 2개 정책도구를 개발 및 시험하는 것이다.
      출처URL https://www.umweltbundesamt.de/publikationen/kartierung-des-anthropogenen-lagers-iv-erarbeitung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근무 환경에서의 은 나노물질이 노출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Silver Nanomaterials)
    • 발행처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근무 환경에서의 은 나노물질이 노출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Health Effect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Silver Nanomaterials)
      발행처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공공질서및안전 - 안전관리 , 보건 - 식품의약안전
      소개 나노 크기의 은 입자는 각종 소비재와 의약품에 쓰이는 나노물질로서, 해당 제품을 생산하거나 사용하는 근로자는 은 나노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근로자는 은 광석 추출, 제련에서 제품 제작, 사용, 처분,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은과 관련된 생활 주기 전반에 걸쳐 은 나노물질에 노출된다. 현재 은의 총량을 대상으로 한 권고노출기준(recommended exposure limit, REL)은 10g/m³로, 이 기준을 수립할 당시에는 은 나노물질이 평가 범위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실시된 동물연구 및 세포 연구 결과, 은의 이동 경로와 생물 내 활성은 입자 크기, 모양, 수용성, 표면 속성 등 여러 물리·화학적 특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 나노입자에 노출되는 환경이 건강에 초래하는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는 쥐를 이용한 중간 지속을 통한 아만성 흡입 연구 결과 두 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초기 폐부종과 담관 과다증식 등 폐와 간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연구는 은에 노출되는 직무상의 위험, 신체 내부 흡수량과 건강상의 영향, 각종 세포 연구, 기전 연구, 동물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은 나노물질의 위험성, REL을 평가한다.
      출처URL https://www.cdc.gov/niosh/docs/2021-112/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 비타민
    • 발행처

      보건복지부, 한국영양학회

    • 발행연도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