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935
  • 현재 페이지 : 1/94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의 발전 현황, 안전성 및 규제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 연구분야 1 및 2의 중간보고서 : 프로젝트 4721F50501 (Analyse und Bewertung des Entwicklungsstands, der Sicherheit und des regulatorischen Rahmens für 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Zwischenbericht zu AP-1 und -2: Vorhaben 4721F50501)
    •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Federal Office For Radiation Protection, Germany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의 발전 현황, 안전성 및 규제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 연구분야 1 및 2의 중간보고서 : 프로젝트 4721F50501 (Analyse und Bewertung des Entwicklungsstands, der Sicherheit und des regulatorischen Rahmens für 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Zwischenbericht zu AP-1 und -2: Vorhaben 4721F50501)
      저자 Christian von Hirschhausen, Fanny Böse, Björn Steigerwald, Lukas Gast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 Federal Office For Radiation Protection, Germany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과학기술 - 원자력기술
      소개 몇십 년 전부터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SNR)에 대한 논의와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이 보고서는 SNR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평가한 조사의 결과를 담았다. SNR 평가 시 특히 중요한 항목은 원자로 개념의 기술 발전 현황, 원전 기술의 안전 문제, 연료 공급·폐기 문제, 핵확산 위험 및 경제적 측면 등이다. 조사 결과 SNR의 몇몇 기술은 개별 평가기준에서 오늘날의 경수로에 비해 잠재적인 장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분야에서 경수로보다 뛰어나다고 평가할 만한 SNR 기술은 없었다.
      출처URL https://doris.bfs.de/jspui/handle/urn:nbn:de:0221-2023032937041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세계 고용과 사회적 전망 : 직업 세계를 변화시키는 디지털 노동 플랫폼의 역할 (World Employment and Social Outlook: The role of digital labour platforms in transforming the world of work)
    • 발행처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세계 고용과 사회적 전망 : 직업 세계를 변화시키는 디지털 노동 플랫폼의 역할 (World Employment and Social Outlook: The role of digital labour platforms in transforming the world of work)
      발행처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고용노동
      소개 이 보고서는 전 세계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다수의 근로자들 그리고 기업 대표들과 진행한 설문 조사 및 인터뷰를 바탕으로 근로자들과 여러 기업이 축적해온 온라인 및 위치 기반 플랫폼에 관한 경험을 종합해 제시한다. 또한 사업 모델로서 디지털 노동 플랫폼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전 세계의 규제 대응을 조사하며 모든 플랫폼이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ilo.org/global/research/global-reports/weso/2021/WCMS_771749/lang--en/index.htm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2019 생명공학백서
    • 발행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발행연도

      2019

  • 최신정책동향
    수생 및 수변 식물 관리: 배수로 식물 관리 (Aquatic and riparian plant management: controls for vegetation in watercourses)
    • 발행처

      UK Environment Agency(EA)

  • 최신정책동향
    항공기상업무 중장기(2021~2025) 발전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 발행처

      기상청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3차 양성평등 보고서 : 성차별 없는 디지털화 (Dritter Gleichstellungsbericht: Digitalisierung geschlechtergerecht gestalten)
    • 발행처

      Federal Ministry for Family Affairs, Senior Citizens, Women and Youth, Germany(BMFSFJ)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3차 양성평등 보고서 : 성차별 없는 디지털화 (Dritter Gleichstellungsbericht: Digitalisierung geschlechtergerecht gestalten)
      발행처 Federal Ministry for Family Affairs, Senior Citizens, Women and Youth, Germany(BMFSFJ)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보육·가족및여성
      소개 이 3차 양성평등 보고서는 독립적인 전문가위원회의 소견서, 소견서에 대한 연방정부의 의견서 및 2차 양성평등 보고서에 대한 수용분석(Rezeptionsanalys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고서는 성차별 없는 디지털화 설계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이 보고서에서 전문가위원회는 디지털 전환이 여성과 남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 기회 및 위험을 고찰하고 이것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설명한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성차별 없는 디지털화를 설계하기 위한 권고안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bmfsfj.de/bmfsfj/service/publikationen/dritter-gleichstellungsbericht-184546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전례 없는 운송 체계의 변화 시기 (A time of unprecedented change in the transport system)
    • 발행처

      UK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GO-Science)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전례 없는 운송 체계의 변화 시기 (A time of unprecedented change in the transport system)
      발행처 UK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GO-Science)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교통및물류 - 물류등기타 , 산업·통상·중소기업 - 통상
      소개 이 보고서는 영국의 운송 및 교통 체계 구성 역사를 살펴보고 현재 시스템 동향을 조사하며, 정책입안자들이 앞으로의 선택과 절충을 식별하고 흥미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살펴본다.
      출처URL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future-of-mobility
      국가명 GB
  • 최신정책동향
    순환경제의 지속발전을 위한 특정 폐기물 종류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 평가 (Evaluation der Erfassung und Verwertung ausgewählter Abfallströme zur Fortentwicklung der Kreislaufwirtschaft)
    •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순환경제의 지속발전을 위한 특정 폐기물 종류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 평가 (Evaluation der Erfassung und Verwertung ausgewählter Abfallströme zur Fortentwicklung der Kreislaufwirtschaft)
      저자 Jörg Wagner, Sonja Steinmetzer, Laura Theophil, Anna-Sophie Strues, Nicole Kösegi
      발행처 German Environment Agency(UBA)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폐기물
      소개 독일 순환경제법(Kreislaufwirtschaftsgesetz, KrWG)에 따른 제품 책임의 일환으로 특정 폐기물 종류에 대해서는 이를 분리수거하고 친환경적으로 폐기해야 할 법적 의무가 있다. 이 규정에 따라 제조업자는 해당 폐기물 처리를 위한 분리수거체계를 마련하고 일정한 재활용률 및 분리수거율을 달성할 의무가 있다. 이 연구 프로젝트에서는 분리수거 및 재활용 방법의 개선을 통해 자원 절약 및 환경보호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조사했다. 이를 위해 특정 폐기물 종류의 분리수거 및 재활용 관행을 조사한 후 자원절약형 폐기물 관리의 장애 요인을 확인해 폐기물 방지, 재사용 준비 및 재활용의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출처URL https://www.umweltbundesamt.de/publikationen/evaluation-der-erfassung-verwertung-ausgewaehlter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청색경제(Blue Economy)의 부상과 과학기술 외교의 효율적 대응전략
    • 발행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발행연도

      2013

  • 최신정책동향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 선언문 모음집, 1980년~2016년 (Compilation of UNWTO Declarations, 1980 – 2016)
    • 발행처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UNWTO)

    • 발행연도

      2016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 선언문 모음집, 1980년~2016년 (Compilation of UNWTO Declarations, 1980 – 2016)
      발행처 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UNWTO)
      발행연도 2016
      정부부처BRM 문화체육관광 - 관광
      소개 이 자료는 유엔세계관광기구(United Nations World Tourism Organization, UNWTO) 문서화 센터가 1980년부터 2016년까지 UNWTO의 선언문들을 모아 편찬한 것으로, 새로운 선언문들이 채택됨에 따라 정기적으로 갱신될 예정이다. 이 모음집은 UNWTO의 정책을 위한 기틀을 제공하고 관광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1980년 마닐라 선언문으로 시작된다. 오늘날에도 이 선언문은 국제법적 판단을 위한 기준이 되고 있다.
      출처URL http://www.e-unwto.org/doi/book/10.18111/9789284417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