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3,213
  • 현재 페이지 : 1/322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2020-21 윌슨 차이나 펠로우십 논문집 : 중국의 부상과 그 함의 (The 2020-21 Wilson China Fellowship: Essays on the Rise of China and Its Implications)
    • 발행처

      Woodrow Wilson Center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20-21 윌슨 차이나 펠로우십 논문집 : 중국의 부상과 그 함의 (The 2020-21 Wilson China Fellowship: Essays on the Rise of China and Its Implications)
      저자 Darren Byler, Sara Bush Castro, Christopher Colley, Rush Doshi, Alexander Dukalskis, Sheena Chestnut Greitens, Isaac Kardon, Lami Kim, Wendy Leutert, Jessica C. Liao, Adam P. Liff, Xiao Liu, Oriana Skylar Mastro, Joshua Shifrinson, Cecilia Han Springer, Dinah Shi
      발행처 Woodrow Wilson Center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 일반공공행정 - 법제
      소개 최근 몇 년 간 중국의 부상으로 국제 체제가 큰 변화를 겪었고, 미국-중국 관계 악화로 인해 대만과 남중국해, 그리고 인권 등 각종 문제에 관한 긴장 관계가 심화된 바 있다. 관련 문제에 대응하고 맞춤형 정책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미국 학계가 적정한 정보를 바탕으로 중국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윌슨 센터(Wilson Center)에서는 여러 신진 중국 연구자를 모아 윌슨 차이나 펠로우십(WIlson China Fellowship)의 중국에 관한 연간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학계와 정책 부문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 집단의 연구 결과를 이번 발간물에 수록했다. 남중국해 문제에서 신장지구의 상황에 이르기까지, 2020-21년도 펠로우 연구자들은 중국 정책 전반을 다루는 다양한 주제를 탐구했다.
      출처URL https://www.wilsoncenter.org/publication/2020-21-wilson-china-fellowship-essays-rise-china-and-its-implications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고령층 기회 : 1차보건의료를 중심 고령 세대를 위한 통합 서비스 구축 (Silver Opportunity: Building Integrated Services for Older Adults around Primary Health Care)
    •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고령층 기회 : 1차보건의료를 중심 고령 세대를 위한 통합 서비스 구축 (Silver Opportunity: Building Integrated Services for Older Adults around Primary Health Care)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노인·청소년 , 보건
      소개 고령화 시대의 현안에 따라 이 문서에서는 국가 내 고령층에 필요한 보건 부문의 격차가 모든 소득 수준에서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고 고령층의 건강결과 개선을 위한 정책적 개혁을 이끄는 방안을 제시하며 건강하고 번영을 누리는 공동체를 창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건강한 노화를 정책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정책 입안자 및 관련 이해관계자 등을 대상해 고령층에 대한 돌봄 필요성 및 격차에 관한 현행 증거를 구조화해 제시한다. 보고서에서는 1차보건의료에 기초해 고령층을 위한 통합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이같은 1차보건의료는 먼저 고령인구의 의료 요건에 부응하는 역량부터 구축해야 한다고 밝힌다. 또한 1차보건의료 중심 통합 노인 돌봄을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조처에 필요한 독창적인 계획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openknowledge.worldbank.org/entities/publication/57f2e279-2f5f-4d0b-85b1-64dc76f0cf9f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의 발전 현황, 안전성 및 규제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 연구분야 1 및 2의 중간보고서 : 프로젝트 4721F50501 (Analyse und Bewertung des Entwicklungsstands, der Sicherheit und des regulatorischen Rahmens für 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Zwischenbericht zu AP-1 und -2: Vorhaben 4721F50501)
    •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Federal Office For Radiation Protection, Germany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의 발전 현황, 안전성 및 규제제도에 대한 분석과 평가 : 연구분야 1 및 2의 중간보고서 : 프로젝트 4721F50501 (Analyse und Bewertung des Entwicklungsstands, der Sicherheit und des regulatorischen Rahmens für 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Zwischenbericht zu AP-1 und -2: Vorhaben 4721F50501)
      저자 Christian von Hirschhausen, Fanny Böse, Björn Steigerwald, Lukas Gast
      발행처 Institute for Applied Ecology(Oeko) : Federal Office For Radiation Protection, Germany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과학기술 - 원자력기술
      소개 몇십 년 전부터 이른바 '새로운' 원자로 개념(sogenannte 'neuartige' Reaktorkonzepte, SNR)에 대한 논의와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이 보고서는 SNR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석하고 평가한 조사의 결과를 담았다. SNR 평가 시 특히 중요한 항목은 원자로 개념의 기술 발전 현황, 원전 기술의 안전 문제, 연료 공급·폐기 문제, 핵확산 위험 및 경제적 측면 등이다. 조사 결과 SNR의 몇몇 기술은 개별 평가기준에서 오늘날의 경수로에 비해 잠재적인 장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분야에서 경수로보다 뛰어나다고 평가할 만한 SNR 기술은 없었다.
      출처URL https://doris.bfs.de/jspui/handle/urn:nbn:de:0221-2023032937041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동북아 정세 변화와 북한의 전략적 선택: 미중 경쟁구도의 전개와 북한의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 수록잡지

      KINU 연구총서, 22-22

    • 발행처

      통일연구원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KINU 연구총서 , 22-22
      표제 동북아 정세 변화와 북한의 전략적 선택: 미중 경쟁구도의 전개와 북한의 대응 전략을 중심으로
      저자 김진하,박영자,홍제환,박형중,전성훈,이 석,정성철
      발행처 통일연구원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통일
      출처URL https://www.kinu.or.kr/main/module/report/view.do?idx=9&nav_code=mai1674786094
  • 최신정책동향
    기후 변화 및 북극 안보, 다중 행위자, 다양하고 분산된 자산 및 양상 (Climate Change and Arctic Security, Multi-Actor, Diverse and Distributed Assets and Modalities)
    • 수록잡지

      Journal of Arctic and Climate Security Studies, Vol. 1, No. 1 (2023)

    • 발행처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NUPI)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Journal of Arctic and Climate Security Studies , Vol. 1, No. 1 (2023)
      표제 기후 변화 및 북극 안보, 다중 행위자, 다양하고 분산된 자산 및 양상 (Climate Change and Arctic Security, Multi-Actor, Diverse and Distributed Assets and Modalities)
      저자 Per Erik Solli
      발행처 Norwegian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NUPI)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국방 - 병무행정 , 통일·외교 - 외교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기후 및 환경 변화(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CEC)가 주도하는 작전 환경 변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며, 이러한 변화는 동맹국과 적대국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전략적 우위에 대한 주요 동력으로 기술에 중점을 둔 기존 관점과는 달리 북극에서는 지식이 패권을 결정하는 독특한 시나리오가 나타난다. 우월한 지식을 보유한 국가는 이를 활용하여 분쟁을 일으키지 않아도 전략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정확한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함과 동시에 적대국의 정보 획득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적대국의 정보 수집 패턴과 이해력을 파악해야 한다. 이러한 패턴을 파악하지 못하면 적대국의 활동을 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행위자, 분산된 자산, 양상을 고려하는 틀을 소개하여 북극 안보 전략의 정확성과 효과성을 높인다.
      출처URL https://www.nupi.no/en/publications/cristin-pub/climate-change-and-arctic-security-multi-actor-diverse-and-dis...
      국가명 NO
  • 최신정책동향
    인공지능(AI)과 사법 제도를 위한 법치주의에 대한 세계의 해결책 (Global toolkit on AI and the rule of law for the judiciary)
    • 수록잡지

      programme and meeting document

    •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programme and meeting document ,
      표제 인공지능(AI)과 사법 제도를 위한 법치주의에 대한 세계의 해결책 (Global toolkit on AI and the rule of law for the judiciary)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공공질서및안전 - 법무및검찰 , 일반공공행정 - 국민권익·인권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사법 환경의 전환 요소로 인정하고 사법 제도를 위한 ‘AI와 법치주의에 관한 세계의 해결책’을 소개한다. 또한 사법 제도 내 의사 결정, 효율성, 접근성, 범죄 예방 등 향상에 상당한 잠재력을 보이는 AI의 중요한 고려 사항도 제시한다. 이 해결책은 사법 제도의 AI 역량 구축 수요를 나타내는 유네스코의 2022년 수요 평가에 기초하여 사법권자가 필요한 지식과 수단을 갖추도록 돕는 것이 목표이다. 판사, 검찰관, 지방 검사, 국선 변호사, 로스쿨 및 사법 교육 기관 등을 대상으로 AI의 혜택, 위험 요소, 윤리 측면을 다룬다. 해결책은 AI의 윤리적 사용의 길라잡이 역할을 하기 위해 국제 인권법, 원칙, 규칙, 신규 법제를 반영한다.
      출처URL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387331?posInSet=8&queryId=N-a823c331-2faf-492b-80dd-681fba625d28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해양에너지관리국의 환경연구 프로그램 알래스카 외변 대륙붕 참고문헌 목록, 1990-2021년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Environmental Studies Program Alaska Outer Continental Shelf Bibliography 1990–2021)
    • 수록잡지

      OCS Report, BOEM 2022-027

    • 발행처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BOEM)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OCS Report , BOEM 2022-027
      표제 해양에너지관리국의 환경연구 프로그램 알래스카 외변 대륙붕 참고문헌 목록, 1990-2021년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Environmental Studies Program Alaska Outer Continental Shelf Bibliography 1990–2021)
      저자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Alaska Regional Office
      발행처 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BOEM)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일반행정
      소개 미국 내무부 해양에너지관리국(Bureau of Ocean Energy Management, BOEM)은 의사결정 과정에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환경연구프로그램(Environmental Studies Program, ESP)을 통해 과학연구를 개발하고 자금을 조달하며 이를 관리한다. 이 BOEM 알래스카 외변대륙붕(Outer Continental Shelf, OCS) 참고문헌 목록은 알래스카 지역사무소와 환경과학부(Division of Environmental Sciences, DES)가 발간했다. 이 목록에는 454건의 ESP OCS 연구 보고서와 알래스카 OCS 및 인접 지역에 대한 외부 출판물 816권이 수록되어 있다. 1990년대 및 2000년대 외부 출판물은 환경연구프로그램 정보시스템(Environmental Studies Program Information System, ESPIS)과 BOEM 알래스카 지역사무소가 내부적으로 관리하는 목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서 입수했다. 연구 정보에는 연구 설명과 기술 요약본 그리고 최종 보고서에 대한 다운로드 가능한 전자 문서와 ESP 데이터 및 정보 명세 사항에 필요한 관련 출판물 및 디지털 자료에 대한 링크가 포함된다.
      출처URL https://www.boem.gov/sites/default/files/documents/regions/alaska-ocs-region/environment/BOEM_2022-027_FINAL.pdf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교육-노동력 지표 체계 : 자료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형평성 및 경제적 안전성을 추진 (Education-to-Workforce Indicator Framework: Using Data to Promote Equity and Economic Security for All)
    • 수록잡지

      Report, Aug-22

    • 발행처

      Mathematica Policy Research(MPR)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Report , Aug-22
      표제 교육-노동력 지표 체계 : 자료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위한 형평성 및 경제적 안전성을 추진 (Education-to-Workforce Indicator Framework: Using Data to Promote Equity and Economic Security for All)
      저자 Naihobe Gonzalez, Elizabeth Alberty, Stacey Brockman
      발행처 Mathematica Policy Research(MPR)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교육 - 교육일반
      소개 교육, 노동력, 인접 시스템은 서로 협력하여 형평성 및 증거에 기반한 대책을 개발해야 한다. 많은 주정부와 지방정부가 이미 이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 개인이 태어나서 취직하고, 그 이후까지 살아가는 여정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장소 기반 컬렉티브 임팩트(Collective Impact) 이니셔티브가 등장했다. 이와 관련해 일련의 공통 지표 및 원칙 사용을 추진하여 유아원에서 노동력까지의 연속체 전체에 걸쳐 격차를 평가하고 해결함으로써 지방정부, 주정부, 연방정부 자료 시스템 전반의 부문 간 협업 및 조정 수준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노동력 지표 체계(Education-to-Workforce Indicator Framework)(임시명)가 고안되었다. 이 체계는 자료를 실행할 수 있는 전체론적 지침을 제공해 상세한 지침을 통해 격차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
      출처URL https://www.mathematica.org/publications/education-to-workforce-indicator-framework-using-data-to-promote-equi...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동유럽의 거버넌스 발전을 위한 투쟁, 2차 개정판 (The Struggle for Good Governance in Eastern Europe, Second Edition)
    • 발행처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CEPS)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동유럽의 거버넌스 발전을 위한 투쟁, 2차 개정판 (The Struggle for Good Governance in Eastern Europe, Second Edition)
      발행처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CEPS)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국정운영 , 일반공공행정 - 일반행정 , 일반공공행정 - 국민권익·인권
      소개 전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권위주의가 부활하고 있는 현재, 우크라이나, 몰도바, 조지아, 아르메니아를 포함한 동유럽의 여러 국가는 유럽식 민주주의 발전을 통해 이러한 추세에 맞서고 있다. 이 보고서는 민주주의 및 법규범을 향한 동유럽의 극적인 투쟁의 역사를 보여주어 이후의 더욱 심층적인 분석의 기초가 되고자 한다. 여기에는 우크라이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ladimir Zelensky) 정권의 화려하지만 의문의 여지가 남는 업적들, 몰도바의 친러시아 이고르 도돈(Igor Dodon) 정권의 출현과 몰락, 과두정치 세력의 국가 포획으로 쇠퇴한 조지아 민주주의가 유럽연합(EU)의 중재로 회복한 과정, 현재 아르차흐 공화국과의 2차 전쟁에서 패배 위기에 처한 아르메니아의 니콜 파시냔(Nikol Pashinyan) 정부의 등장이 포함된다.
      출처URL https://www.ceps.eu/ceps-publications/the-struggle-for-good-governance-in-eastern-europe/
      국가명 BE
  • 최신정책동향
    중국 조선산업 및 관련 정책에 관한 보고서 (Report on China’s shipbuilding industry and policies affecting it)
    •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중국 조선산업 및 관련 정책에 관한 보고서 (Report on China’s shipbuilding industry and policies affecting it)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교통및물류 - 해운·항만 , 산업·통상·중소기업 - 산업진흥·고도화
      소개 중국은 조선 부문에서 주요 행위자로 부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 정부의 정책이 전 세계 조선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 시장 중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의 경우 중국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중국의 정책문서를 살펴보면 가치사슬에서 더 높은 위치로 올라가려는 중국의 야망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보고서의 목적은 중국의 조선 부문을 총체적이고 다학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며 특히 정부의 지원조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의 조선 산업은 2000년 이후로 계속 확대되었으며 2010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조선국이 되기에 이르렀다. 분석 결과 중국은 조선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 점에서 중국이 조선 부문 가치사슬에서 높은 위치로 올라가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정부의 조선 산업에 대한 지원이 전 세계적인 선박 용량 과잉의 원인이며, 중국 조선 산업에서 국영 거대기업이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출처URL https://www.oecd-ilibrary.org/science-and-technology/report-on-china-s-shipbuilding-industry-and-policies-affe...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