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
최근 몇 년 동안 일본의 자산관리산업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 2016년에는 급속히 둔화되었고, 수입과 이익은 2015 회계연도에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나, 현 자본시장 상황이 지속될 경우, 2016년에는 5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한편, 업계 자체를 재편할 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이며, 업계가 이러한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빅 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은 이미 단기 자본투자 전략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있으며, 정보 비효율성으로 인한 가격오차로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자들 사이에서 컴퓨터에 의한 투자 전략이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자본투자 전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외에도 펀드 랩 어카운트(fund wrap accounts) 증가, 로보 어드바이저 활용 증대, 확정기여형(DC) 연금제도 개혁 등 여러 변화들이 진행 중이며, 이러한 변화들은 일본 신탁 사업의 미래 방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풍부한 데이터, 연구 및 분석을 바탕으로 일본의 자산관리환경의 변화를 기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