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881
  • 현재 페이지 : 1/89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대선공약과 국정과제 형성과정 개선방안
    • 수록잡지

      KIPA 연구보고서, 2021-01

    • 발행처

      한국행정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제2020-0715호 (Study on the Need of Cybersecurity Requirements for ICT Products – No. 2020-0715)
    • 수록잡지

      CEPS Publications, 20 Jan 2022

    • 발행처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CEPS)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CEPS Publications , 20 Jan 2022
      표제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제2020-0715호 (Study on the Need of Cybersecurity Requirements for ICT Products – No. 2020-0715)
      저자 Lorenzo Pupillo, Carolina Polito
      발행처 Centre for European Policy Studies(CEPS)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공공질서및안전 - 안전관리
      소개 최근 몇 년간 유럽연합(EU)은 제품 사이버보안에 관한 법제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취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 EU의 관련 법제는 여전히 불완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증거에 따르면 여러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제품 사이의 이질성으로 인해 ICT 제품의 위험 특성을 범주별 및/또는 부문별로 종합해서 파악하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모든 ICT 제품에 그 생애주기 전체에 걸쳐 적용되는 필수 사이버보안 요구사항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결론에서는 가장 비용 효과성이 높은 정책 방안은 수평적 입법을 통해 단일 시장(Single Market)의 보안을 증진하는 동시에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며 부문별 접근 방식과 혼합형 접근 방식은 차선책임을 제시한다. 후속 연구를 통해 방금 언급한 정책 방안을 보다 종합적으로, 그리고 양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출처URL https://www.ceps.eu/ceps-publications/study-on-the-need-of-cybersecurity-requirements-for-ict-products/
      국가명 BE
  • 최신정책동향
    Strengthening India´s Intergovernmental Fiscal Transfers: Learnings from the Asian Experience
    •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Strengthening India´s Intergovernmental Fiscal Transfers: Learnings from the Asian Experience
      저자 Abdul D. Abiad, Çiğdem Akın, Bruno Carrasco, Jurgen Conrad, Shikha Jha, Navendu Karan, Sonalini Khetrapal, Abhijit Sen Gupta, Rishav Singh, Lei Lei Song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재정·금융 , 일반공공행정 - 법제
      출처URL https://www.adb.org/publications/strengthening-indias-intergovernmental-fiscal-transfers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과도기 독일 외교 정책 : 불안정한 상황과 새로운 충돌 (Deutsche Außenpolitik im Wandel: Unstete Bedingungen, neue Impulse)
    • 수록잡지

      SWP-Studie, Nr.15

    •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SWP-Studie , Nr.15
      표제 과도기 독일 외교 정책 : 불안정한 상황과 새로운 충돌 (Deutsche Außenpolitik im Wandel: Unstete Bedingungen, neue Impulse)
      저자 Günther Maihold, Stefan Mair, Melanie Müller, Judith Vorrath, Christian Wagner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다가오는 입법 기간에 독일 연방 정부와 연방 하원은 세계 정치에서 독일의 책임 범위를 다시 정의해야 한다. 독일은 국제 권력의 이동, 서방국의 지위 상실 등의 상황을 고려하여 외교 정책을 다시 돌아봐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독일이 보여준 성과의 한계뿐만 아니라 주어진 행동 범위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교 정책 결정 과정에서 자유롭고 미래 지향적으로 중장기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 해당 방식으로 임시 결정을 내려야만 균형이 유지되고 반응형의 행동 패턴을 피할 수 있다. 독일의 대외 관계는 다양한 정책 영역에서 탄력적인 동반관계 및 새로운 형태의 책임을 공유하는 데에 기초해야 한다. 상충하는 목표의 해결 방안은 공개적이고 투명한 토론을 통해서만 협상할 수 있다.
      출처URL https://www.swp-berlin.org/publikation/deutsche-aussenpolitik-im-wandel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터키와 러시아 : 갈등이 가득한 협력의 논리 (Türkei und Russland: Die Logik einer konfliktträchtigen Zusammenarbeit)
    • 수록잡지

      SWP-Studie, Nr.16

    •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SWP-Studie , Nr.16
      표제 터키와 러시아 : 갈등이 가득한 협력의 논리 (Türkei und Russland: Die Logik einer konfliktträchtigen Zusammenarbeit)
      저자 Daria Isachenko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많은 서방국가에 터키와 러시아의 관계는 수수께끼와도 같다. 양자 간 체제가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터키와 러시아는 서로의 안보 이익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동반자의 안보 문제에 대한 상호 간 대응은 공동 프로젝트를 활용하면 이행하기 용이하며, 갈등 유지보다 더 많은 이점을 보장한다. 신뢰나 각국 대통령 간의 개인적인 관계는 부차적인 역할을 하며 오히려 러시아와 터키 상호 의존성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지역 분쟁에 대해 러시아와 터키 간의 대립이나 협력은 과거 경쟁보다는 현재의 상황을 최우선으로 생각했다고 볼 수 있다.
      출처URL https://www.swp-berlin.org/publikation/beziehungen-zwischen-tuerkei-und-russland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인도의 부상 : 진흙을 기초로 하고 있는가 (Indiens Aufstieg: auf tönernem Fundament?)
    • 수록잡지

      SWP-Studie, Nr.13

    •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SWP-Studie , Nr.13
      표제 인도의 부상 : 진흙을 기초로 하고 있는가 (Indiens Aufstieg: auf tönernem Fundament?)
      저자 Christian Wagner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인도는 1991년 이후의 경제 개혁과 동서 갈등에 따른 국제 질서 변화로 1990년대 이후 국제적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인도는 성장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구조적 적자로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취약하다. 경제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인도는 많은 분야에서 G20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인도의 부상은 독일과 유럽의 이목을 끌고 있다. 지구 최대의 민주주의 국가인 인도는 가치의 동반자이자 규칙에 기반한 국제질서를 수호하는 지지자이자 유망한 시장이다. 또한 인도, 독일 및 유럽은 점점 더 깊은 지정학적인 이해관계를 공유할 것이다. 인도는 미래의 독일과 인도-태평양 정책의 중요한 기둥으로 간주된다. 독일과 유럽의 정치는 현실적인 기대 이익을 위해 가치보다는 공동의 이익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
      출처URL https://www.swp-berlin.org/publikation/indiens-aufstieg-auf-toenernem-fundament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세계 해양 검토 4 : 우리 바다의 지속 가능한 사용 – 아이디어의 실행 (World Ocean Review 4: Sustainable Use of Our Oceans – Making Ideas Work)
    •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 발행연도

      2015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세계 해양 검토 4 : 우리 바다의 지속 가능한 사용 – 아이디어의 실행 (World Ocean Review 4: Sustainable Use of Our Oceans – Making Ideas Work)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발행연도 2015
      정부부처BRM 환경
      소개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이라는 개념은 오늘날 다수의 공개 토론에서 등장하는 주요 주제가 되었으며 부풀려서 이용되고 있다. 사람들은 ‘평화’나 ‘정의’, ‘보전’과 같은 단어처럼 지속 가능성의 긍정적인 면을 주로 강조하면서 가능한 모든 맥락에서 지속 가능성이라는 단어를 이용한다. 업계는 지속 가능한 생산에 대해 이야기 하고, 금융 서비스 제공자는 '지속 가능한 성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모든 분야에서 '지속 가능성'은 조금씩 다르게 이해된다. '지속 가능'이라는 개념은 명확하지 않으며, 오히려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
      출처URL http://apps.unep.org/publications/index.php?option=com_pub
  • 최신정책동향
    2020년 세계 이주 보고서 (World Migration Report 2020)
    • 발행처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IOM)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20년 세계 이주 보고서 (World Migration Report 2020)
      발행처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IOM)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국제이주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는 2000년부터 세계 이주 보고서를 작성했다. 2020년 세계 이주 보고서는 전 세계 이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이 보고서는 이주에 대한 핵심 데이터와 정보뿐만 아니라 중요한 이주 문제에 대한 주제별 장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주 및 이주민에 대한 핵심 정보와 복잡하고 새로운 이주 문제에 대한 균형 잡힌 증거 기반 분석을 다룬다.
      출처URL https://publications.iom.int/books/world-migration-report-2020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냉전시대 동안 중국과 유럽의 관계와 다극화 세계의 부상 (Sino-European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and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 발행처

      Woodrow Wilson Center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냉전시대 동안 중국과 유럽의 관계와 다극화 세계의 부상 (Sino-European Relations during the Cold War and the Rise of a Multipolar World)
      발행처 Woodrow Wilson Center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냉전과 다국적 국제체제가 급부상하던 때의 중국과 유럽 관계는 중요한 구전역사(Oral history)와 새롭게 번역한 문서소스를 결합하여 중국과 유럽 관계, 과거 및 현재, 그리고 최근 및 현재 진행 중인 세계권력 이동의 역동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출처URL http://www.wilsoncenter.org/publication/sino-european-relations-during-the-cold-war-and-the-rise-multipolar-world
  • 최신정책동향
    2015년 무역 및 개발 보고서 – 개발을 위한 국제 금융 체제 구축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15 - Mak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work for development)
    • 발행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 발행연도

      2015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15년 무역 및 개발 보고서 – 개발을 위한 국제 금융 체제 구축 (Trade and Development Report, 2015 - Mak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work for development)
      발행처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Trade and Development(UNCTAD)
      발행연도 2015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무역및투자유치
      소개 이 자료는 유동성 제공부터 금융 규제, 부채구조조정과 장기 공공재정에 이르기까지 국제 통화와 금융체제가 직면한 도전과제를 분석한 것이다.
      출처URL http://unctad.org/en/pages/PublicationWebflyer.aspx?publicationid=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