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66
  • 현재 페이지 : 1/7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불확실성 모델에 따른 환경 정책 만족화 체계 (A Satisfcing Framework for Environmental Policy Under Model Uncertainty)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불확실성 모델에 따른 환경 정책 만족화 체계 (A Satisfcing Framework for Environmental Policy Under Model Uncertainty)
      저자 Stergios Athanasoglou, Valentina Bosetti, Laurent Drouet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이 연구는 환경 정책의 경제적 평가를 위한 새로운 틀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최적화된 모형분석 방식과 달리 만족화 방식을 채택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구별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간 간 목적함수를 기준으로 한 성과 대신 각종 정책이 미래의 특정 일자에 목표를 어느 정도로 달성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환경 정책 결정의 특성을 반영해, 이 연구에 사용된 모형은 모형 불확실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알려진 성공 확률 기준을 모형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에 맞추어 조정한 의사결정 기준을 제안한다. 연구에서는 이 기준을 기후변화의 맥락과 드루엣(Drouet) 등(2015)이 구축한 확률분포 기준에 적용해, 탄소 예산을 미래 소비와 연계했다. 수리 기하학 이론을 통해 계산을 상당히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고차원 상황에서 모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빈도론 모형 평균을 이용한 EURO-CORDEX 미래 강우기후 추정의 잠재적 정확성과 유용성 개선 (Improving the potential accuracy and usability of EURO-CORDEX estimates of future rainfall climate using frequentist model averaging)
    • 수록잡지

      Research article, Volume 28, issue 3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European Geosciences Union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Research article , Volume 28, issue 3
      표제 빈도론 모형 평균을 이용한 EURO-CORDEX 미래 강우기후 추정의 잠재적 정확성과 유용성 개선 (Improving the potential accuracy and usability of EURO-CORDEX estimates of future rainfall climate using frequentist model averaging)
      저자 Stephen Jewson, Giuliana Barbato, Paola Mercogliano, Jaroslav Mysiak, Maximiliano Sassi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European Geosciences Union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과학기술 - 과학기술진흥
      소개 미래 기후에 대한 확률 추정은 그 분포를 기후 모형 예측 앙상블(ensemble)의 구성 요소들에 부합시켜 수행할 수 있다. 앙상블 평균의 변화는 실제 기후 평균치의 변화 추정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앙상블 평균 변화와 관련된 샘플링 불확실성 수준은 경우마다 다르며 일부 경우에서는 클 수 있다. 이 연구는 앙상블 평균 변화의 불확실성을 분포 적합화 과정에서 고려하는 모형 평균화 기법 두 가지를 비교한다.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 여러 계절, 강우 변수,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시점에 따른 고해상도 EURO-CORDEX 시뮬레이션 데이터집합을 바탕으로 미래의 강수량을 예측한다. 점 예측과 확률론적 검증법을 이용한 앙상블 내 교차 검증은 조정된 앙상블 평균을 바탕으로 하는 사례예측 대부분이 미조정 앙상블 평균을 바탕으로 하는 예측보다 대부분 더 높은 잠재적 정확성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improving-the-potential-accuracy-and-usability-of-euro-cordex-estimates-of-fu...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이탈리아 지역의 단기적 대기오염물질 노출과 코로나19 감염의 상관관계 분석 (Assessing correlations between short-term exposure to atmospheric pollutants and COVID-19 spread in all Italian territorial areas)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이탈리아 지역의 단기적 대기오염물질 노출과 코로나19 감염의 상관관계 분석 (Assessing correlations between short-term exposure to atmospheric pollutants and COVID-19 spread in all Italian territorial areas)
      저자 GabrieleAccarino, StefanoLorenzetti, GiovanniAloisio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 사회복지 - 보건의료
      소개 현재 진행 중인 폐렴 대유행 사태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는 장단기적 대기 오염물질 노출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연구는 이탈리아 전역의 PM10, PM2.5, NO2 대기오염농도 지표 와 시공간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발병 및 사망률을 분석하며 대기오염농도와 사망률의 단기적 상관관계를 확인한다. 연구 결과는 PM10, PM2.5, NO2 등 연간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규제 한도를 초과한 일수와 이탈리아 내 107개 지역의 코로나19 발병률, 사망률, 치사율 간에 보통에서 강한 수준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전체적으로 PM10과 PM2.5가 NO2에 비해 코로나19 발병률, 사망율, 치사율과 높은 수준의 비선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현재 기후 정책을 바탕으로 한 EU의 미래 : 이해관계자 중심 모형 상호비교 (Where is the EU headed given its current climate policy? A stakeholder-driven model inter-comparison)
    • 수록잡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t, Volume 793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t , Volume 793
      표제 현재 기후 정책을 바탕으로 한 EU의 미래 : 이해관계자 중심 모형 상호비교 (Where is the EU headed given its current climate policy? A stakeholder-driven model inter-comparison)
      저자 Alexandros Nikas, Alessia Elia, Baptiste Boitier, Konstantinos Koasidis, Haris Doukas, Gabriele Cassetti, Annela Anger-Kraavi, HaBui, Lorenza Campagnolo, Rocco De Miglio, Elisa Delpiazzo, Arnaud Fougeyrollas, Ajay Gambhir, Maurizio Gargiulo, Sara Giarola, Neil Grant, Adam Hawkes, Andrea Herbst, Alessandro Chiodi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기후 정책 연구에서 이해관계자를 연구 대상이 아닌 연구 협력자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최근 요구에 답한 분야는 비모델링(non-modelling) 학문이다. 모델링 분야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이해관계자들이 근본적으로 관심을 가진 것을 역추적하는 시나리오 공간은 거의 없었다. 이 연구는 11개의 통합 평가, 에너지 시스템, 부문 모형을 이용해 EU에 대한 모형 상호비교를 수행한다. 여기에서 시나리오 논리와 연구 의제는 이해관계자들의 관심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이 과정의 결과물로, 목표 달성 방법보다는 지역이 향하는 지점을 탐구하고 현재의 정책 노력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시나리오 체계가 생성되었다. 유럽은 현재 2020년 이전에 배출량을 40% 낮춘다는 목표치를 초과 달성했지만 2030년까지 배출량을 55% 낮춘다는 최근 목표와 2050년까지 배출량을 1.0-2.35 GtCO2로 유지한다는 목표에는 모자란 상황이다. 교통 전기화가 가진 중요성과는 별개로, 탄소 포획과 저장 수준은 더 강력한 배출량 저감 및 수소 확산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수소 확산은 2040년 이후에는 수소 생산 대부분을 환경 친화적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가진다. 마지막으로, 다중 모형은 에너지 안보와 일자리 측면의 탈탄소화에서 얻을 수 있는 편익과 그 외 중저강도의 재생에너지 투자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where-is-the-eu-headed-given-its-current-climate-policy-a-stakeholder-driven-...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대유행 시기의 합리적인 정책 수립 (Rational policymaking during a pandemic)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대유행 시기의 합리적인 정책 수립 (Rational policymaking during a pandemic)
      저자 Loïc Berger,  View ORCID ProfileNicolas Berger, Valentina Bosetti, Itzhak Gilboa, Lars Peter Hansen, Christopher Jarvis, Massimo Marinacci, Richard D. Smith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 일반공공행정 - 국정운영
      소개 이 보고서는 의사결정 이론에서 얻은 통찰을 활용해 정책 과제와 목표를 수립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의사결정이론의 여러 개념은 실무에서 비공식적으로만 사용하더라도 불확실성이 심각한 상황에 합리적으로 대처하는 투명한 정책결정을 위한 지침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이 보고서에서는 불확실한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을 이해하고 지침을 제공하는 체계를 설명한다. 둘째, 형식적인 의사결정 규칙이 어떻게 정책 결정에 도움이 되는지, 학교 폐쇄 사례를 통해 해당 규칙이 어떻게 쓰이는지 설명한다. 이러한 의사결정 규칙을 통해 정책 입안자는 많은 잠재적 시나리오 중 어떤 것이 ‘올바른’ 시나리오인지 모른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의 어떠한 상황이 오더라도 타당성을 유지하고 여러 선택지를 열어주는 예방적이고 확고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셋째, 과학적 발견과 지식의 불확실성 수준을 보다 투명하게 알리기 위한 접근방식을 정의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이 내용은 특히 대유행 대응을 담당하는 의사결정권자에게 의미가 클 것이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지중해 과도기 기후 체제에서 극한 토양 수분 조건에 대한 여름철 기온 반응 (Summer temperature response to extreme soil water conditions in the Mediterranean transitional climate regime)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지중해 과도기 기후 체제에서 극한 토양 수분 조건에 대한 여름철 기온 반응 (Summer temperature response to extreme soil water conditions in the Mediterranean transitional climate regime)
      저자 Stefano Materia, Constantin Ardilouze, Chloé Prodhomme, Markus G. Donat, Marianna Benassi, Francisco J. Doblas-Reyes, Daniele Peano, Louis-Philippe Caron, Paolo Ruggieri, Silvio Gualdi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과학기술 - 과학기술진흥
      소개 지표면과 대기는 수문 순환 및 에너지 순환과 연동되며 토양 수분과 공기의 결합 효과는 지표면 근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연구 보고서에서는 극한 토양 조건에 대한 여름철 온도 반응을 조사하고 물이 제한된 환경에서 지표면과 대기의 결합이 하는 역할을 해명한다. 지중해 과도기 기후 지역의 여름 온도에 대한 다양한 토양 습기 초기 조건 및 경계 조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세 쌍으로 구성된 실험을 설계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지중해 건기 동안 농작물 관개와 같은 지표수의 지속적인 원천이 유지된다면 지역 온도는 더 낮아질 것이며 극단적인 수치들이 강하게 조정될 것이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summer-temperature-response-to-extreme-soil-water-conditions-in-the-mediterra...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유럽-코덱스 공동체의 관점에서 살펴본 유럽 전역의 지역별 기후영향 상세화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over Europe: perspectives from the EURO-CORDEX community)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럽-코덱스 공동체의 관점에서 살펴본 유럽 전역의 지역별 기후영향 상세화 (Regional climate downscaling over Europe: perspectives from the EURO-CORDEX community)
      저자 Daniela Jacob, Claas Teichmann, Stefan Sobolowski, Eleni Katragkou, Ivonne Anders, Michal Belda, Rasmus Benestad, Fredrik Boberg, Erasmo Buonomo, Rita M. Cardoso, Ana Casanueva, Ole B. Christensen, Jens Hesselbjerg Christensen, Erika Coppola, Lesley De Cruz, Edouard L. Davin, Andreas Dobler, Marta Domínguez, Rowan Fealy, Jesus Fernandez, Miguel Angel Gaertner, Markel García-Díez, Filippo Giorgi, Andreas Gobiet, Klaus Goergen, Juan José Gómez-Navarro, Juan Jesús González Alemán, Claudia Gutiérrez, José M. Gu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과학기술 - 과학기술진흥 , 과학기술 - 과학기술연구
      소개 유로-코덱스(EURO-CORDEX) 계획은 유럽의 지역 기후 및 지구시스템과학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대규모 사업으로서, 세계기후연구 프로그램(World Climate Research Programme, WCRP)의 일환으로 모형 평가와 기후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고 대기대순환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을 기후 데이터 사용자가 해석하기 편하게 개선하고자 하는 광범위한 목표를 추구한다. 유로-코덱스는 전례 없는 크기와 해상도(0.11° EUR-11 과 0.44° EUR-44 도메인)를 갖춘 지역 기후 예측의 설계 및 조정을 총괄한다. 이 문서는 유로-코덱스와 이전의 계획들의 간략한 연혁, 공동체와 현재 조직의 진화, 유로-코덱스 모형 평가 체계,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과학적 발전, 그리고 이러한 진보가 미래에 대해 지니는 함의를 설명한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유럽 산림녹화의 생물지리학적 효과: 규모별 토지이용과 기후에 대한 시범 연구(LUCAS)의 지역별 기후 모형 상호 비교 결과 (Biogeophysical impacts of forestation in Europe: firstresults from the LUCAS (Land Use and Climate AcrossScales) regional climate model intercomparison)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럽 산림녹화의 생물지리학적 효과: 규모별 토지이용과 기후에 대한 시범 연구(LUCAS)의 지역별 기후 모형 상호 비교 결과 (Biogeophysical impacts of forestation in Europe: firstresults from the LUCAS (Land Use and Climate AcrossScales) regional climate model intercomparison)
      저자 Edouard L. Davin, Diana Rechid, Marcus Breil, Rita M. Cardoso, Erika Coppola, Peter Hoffmann, Lisa L. Jach, Eleni Katragkou, Nathalie de Noblet-Ducoudré, Kai Radtke, Mario Raffa, Pedro M. M. Soares, Giannis Sofiadis, Susanna Strada, Gustav Strandberg, Merja H. Tölle, Kirsten Warrach-Sagi, Volker Wulfmeyer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환경 - 자연 , 과학기술 - 과학기술진흥
      소개 규모별 토지이용과 기후에 대한 시범 연구(Land Use and Climate Across Scales Flagship Pilot Study, LUCAS FPS)는 지역기후모형(regional climate models, RCM)에 대한 토지이용변화(land use change, LUC) 반영을 개선하고 LUC가 유럽 기후에 미치는 생물지리학적 효과를 정량화하고자 하는 공동 사업이다. LUCAS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9개의 RCM을 사용해 유럽 전역에서 시행된 조림과 재식림의 생물지질학적 영향을 분석한다. 유럽에서 산림화가 진행되지 않은 지역과 최대로 산림화가 진행된 지역을 비교하여 산림녹화에 대한 지역 기후의 민감도가 공간과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계량한다. 모의실험 결과, 산림녹화에 대한 대응에서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이 나타났다. 그 중 주목할 점은 모든 모형에서 표면 반사율(albedo)이 감소하고, 감소 경향이 특히 고위도에서 겨울과 봄에 가장 뚜렷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 현상은 겨울 온난화를 초래한다. 온난화 수준은 모형에 따라 스칸디나비아 전역에서 평균 +0.2 - +1 K 범위의 값으로 나타난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기후 변화에 따른 해양 자원 이동 해결 전략 : 개념 증명 (Moving Toward a Strategy for Addressing Climate Displacement of Marine Resources: A Proof-of-Concept)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기후 변화에 따른 해양 자원 이동 해결 전략 : 개념 증명 (Moving Toward a Strategy for Addressing Climate Displacement of Marine Resources: A Proof-of-Concept)
      저자 M. Cristina Mangano, Nova Mieszkowska, Brian Helmuth, Tiago Domingos, Tania Sousa, Giuseppe Baiamonte, Giuseppe Bazan, Angela Cuttitta, Fabio Fiorentino, Antonio Giacoletti, Magnus Johnson, Giuseppe D. Lucido, Marco Marcelli, Riccardo Martellucci, Simone Mirto, Bernardo Patti, Fabio Pranovi, Gray A. Williams, Gianluca Sarà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환경 - 해양환경 , 과학기술 - 과학기술연구
      소개 기후 변화가 천연 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현실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대응 정책의 핵심이다. 그러나 현재 예측 접근법 대부분은 종 특성, 과정 중심의 생물학적 정보를 통합하지 않아 실행 가능한 전략 구상을 제한한다. 이 문서는 해양생물 환경 변화 취약성 연구에 특성 기반, 기계적 종 분포 모델 사용법을 보여주는 모델 종으로 유럽 멸치를 사용하여 개념 입증 연구를 제시하고 어업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량적 결과를 생성한다. 이 문서는 온도와 먹이 시나리오를 교차하여 최대 길이와 총 번식 개체 수 등 주요 기계적 모델 결과의 정량적 지도를 생성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번식에 실패한 경우뿐만 아니라 산란지의 형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서는 기능 특성에 기반한 모델 예측이 향후 어획량을 예측하는 데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시공간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적으로 명시된 세밀한 예측 접근법은 새로운 기후 환경에서 자원의 효과적인 관리 전략에 정보를 제공한다.
      출처URL https://www.cmcc.it/?s=Moving+Toward+a+Strategy+for+Addressing+Climate+Displacement+of+Marine+Resources%3A+A+P...
      국가명 IT
  • 최신정책동향
    기후변동성과 작물, 그리고 분쟁 : 농업생산의 지역별 집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Climate variability, crop and conflict: Exploring the impacts of spatialconcentration in agricultural production)
    •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기후변동성과 작물, 그리고 분쟁 : 농업생산의 지역별 집중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Climate variability, crop and conflict: Exploring the impacts of spatialconcentration in agricultural production)
      저자 Paola Vesco, Matija Kovacic, Malcolm Mistry, Mihai Croicu
      발행처 Euro‑Mediterranean Center on Climate Change(CMCC)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농림 - 농업·농촌
      소개 기후불안정과 식량부족이 폭력사태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은 정설로 자리 잡았으나 식량자원과 무력분쟁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보고서는 기후변화, 농업생산량, 분쟁발생 등 세 가지 요소 사이의 복잡한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이 보고서에서는 여러 국가에 걸친 작물생산의 공간적 분포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국가에 걸친 농업생산의 공간적 분포 차이가 농업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분쟁에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에 관련성이 있다는 가설을 수립한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의 영향이 여러 국가에 걸쳐 농업 생산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경향으로 이어졌다. 나아가 기상이변과 농업 생산의 특정 지역 집중으로 인한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농업 의존도가 높은 국가의 분쟁 발발 가능성이 14%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URL https://www.cmcc.it/publications-type/published-articles?f_anni&filter_topics&f_divisioni&f_inpress&f_searchke...
      국가명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