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95
  • 현재 페이지 : 1/10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교육부문 분석 방법론 안내: 1차 및 2차 교육을 강조하는 범분야별 분석 (Education sector analysis methodological guidelines: Sector-wide analysis, with emphasis 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수록잡지

      , Vol. 1

    •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 발행연도

      2014

  • 최신정책동향
    자발적 참여, 사회적 결속 및 시민권 (Engagement bénévole, cohésion sociale et citoyenneté)
    • 발행처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ouncil, France(CESE)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자발적 참여, 사회적 결속 및 시민권 (Engagement bénévole, cohésion sociale et citoyenneté)
      저자 Marie-Claire MARTEL, Jean-François NATON
      발행처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ouncil, France(CESE)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사회복지일반
      소개 경제사회환경위원회(Conseil économique, social et environnemental, CESE)는 이 의견서에서 자원봉사의 범위를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 자원봉사 개념을 ‘타인을 대상으로 대가를 받지 않고 활동을 하거나 공동체적 동기나 이익을 위해 개인적인 시간에 자유롭게 참여하는 사람의 활동’이라고 새롭게 정의한다. 이어서, CESE는 자원봉사의 접근성 개선, 자원봉사자의 집단적, 개인적 노력에 대한 인식 제고, 자원봉사자의 역량 교육 강화, 그리고 자원봉사의 범위와 효력 개선 등 4가지 방안을 중심으로 19가지 권고 사항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lecese.fr/travaux-publies/engagement-benevole-cohesion-sociale-et-citoyennete
      국가명 FR
  • 최신정책동향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지역의 협력과 안보 증진을 위한 환경문제 대응방안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llenges with a view to promoting co-operation and security in the OSCE area)
    • 발행처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OSCE)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지역의 협력과 안보 증진을 위한 환경문제 대응방안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hallenges with a view to promoting co-operation and security in the OSCE area)
      발행처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OSCE)
      정부부처BRM 국방
      소개 2014년 9월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제22차 유럽안보협력기구 경제환경포럼 자료로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지역의 협력과 보안 증진을 위한 환경 문제 대응 방안이다.
      출처URL http://www.osce.org/secretariat/133311
  • 최신정책동향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튀니지에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법률 변경 및 장벽 해소 (Changing Laws and Breaking Barriers for Women’s Economic Empowerment in Egypt, Jordan, Morocco and Tunisia)
    • 발행처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튀니지에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법률 변경 및 장벽 해소 (Changing Laws and Breaking Barriers for Women’s Economic Empowerment in Egypt, Jordan, Morocco and Tunisia)
      발행처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고용노동
      소개 중동 및 북아프리카(Middle East and North Africa, MENA) 지역의 많은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가속화하고 더 안정적이면서 개방된 사회 건설을 모색하는 현 시점에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성에 대한 동등한 경제적 기회 보장 측면에서 일부 국가는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분명 진전을 보이고 있으며 포용적이고 유기적인 정책 시행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이집트, 요르단, 모로코, 튀니지에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한 최근 입법, 정책, 제도 개혁을 분석하고 개혁 견인에 도움을 준 성공 요인을 분석한다.
      출처URL https://www.ilo.org/africa/information-resources/publications/WCMS_760505/lang--en/index.htm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환경 헌법에 대한 사법 핸드북 (Judicial handbook on environmental constitutionalism)
    •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 발행연도

      2017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환경 헌법에 대한 사법 핸드북 (Judicial handbook on environmental constitutionalism)
      저자 James R. May, and Erin Daly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발행연도 2017
      정부부처BRM 환경 - 자연
      소개 이 핸드북은 법률가들에게 환경 헌법의 개요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 환경 헌법이 무엇인지, 이것이 제시하는 현실적인 절차상의 문제는 무엇인지, 전 세계 법정에서 이것을 어떻게 다루는지 설명한다.
      출처URL https://www.unenvironment.org/resources/publications/judicial-handbook-environmental-constitutionalism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쟁점과 동향 (Issues and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 발행연도

      2018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쟁점과 동향 (Issues and trend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저자 Leicht, Alexander; Heiss, Julia; Won Jung Byun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발행연도 2018
      정부부처BRM 교육 - 교육일반 , 사회복지 - 취약계층지원
      소개 이 간행물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의 개요를 제시하고, ESD 정책 및 실천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조명한다.
      출처URL http://www.unesco.org/ulis/cgi-bin/ulis.pl?catno=261445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청결하고 지속가능한 식품에 대한 하원보고서 (Pour une alimentation saine et durable - Rapport pour l’Assemblée nationale)
    • 발행처

      France Strategy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청결하고 지속가능한 식품에 대한 하원보고서 (Pour une alimentation saine et durable - Rapport pour l’Assemblée nationale)
      저자 Julien Fosse, Peggy Furic, Cyril Gomel, Julien Rousselon, Marie Hagenburg
      발행처 France Strategy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보건 - 식품의약안전
      소개 어떻게 지속가능한 식품 시스템으로 빠르게 전환할 수 있는가? 이 보고서는 프랑스 스트레티지(France Stratégie, 총리실 산하 정책연구기관)가 제시한 다양한 범위의 권고안을 담고있다. 특히 소비자에게 최상의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이 골자이다. 우선, 생애 전반에 걸쳐 식품에 대한 교육을 제공해야한다. 소비자는 식품의 기호를 넘어서 건강 불균형에 기여하는 소비 방식 및 영양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방식을 통해 신체 활동에 신경써야한다. 그리고 소비자 측면에서 식품성분표시의 영양적, 환경적 정보를 개선시켜야 한다. 실제로, 소비자는 각종 광고수단 및 생산자의 마케팅 전략, 불량식품 판매자들과 직면해 있다. 따라서 광고는 규제되어야 한다. 또한, 행동과세(fiscalité comportementale)를 이용해야 한다. 유럽의회에서 논의된 영양가와 탄소양에 따른 식료품의 부가가치세(TVA)를 조정하는 제안에 대한 실현가능성과 이익을 평가해야 한다.
      출처URL https://www.strategie.gouv.fr/publications/une-alimentation-saine-durable-rapport-lassemblee-nationale
      국가명 FR
  • 최신정책동향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위한 프랑스 식생활 정책 분석 (Pour une alimentation saine et durable: Analyse des politiques de l’alimentation en France)
    • 발행처

      Commissariat-General for Strategy and Foresight(CGSP)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건강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위한 프랑스 식생활 정책 분석 (Pour une alimentation saine et durable: Analyse des politiques de l’alimentation en France)
      저자 Julien Fosse, Peggy Furic, Cyril Gomel, Marie Hagenburg, Julien Rousselon
      발행처 Commissariat-General for Strategy and Foresight(CGSP)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농림 - 농업·농촌
      소개 프랑스 전략연구소(France Stratégie)는 리샤르 페랑 하원의장의 요청으로 경제•사회/환경•공중보건 측면에서 본 식생활 정책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 연구는 우선 외국과의 식습관 비교 및 프랑스 국민의 고유 식습관, 최근 프랑스 국민의 식습관 변화, 국민 건강에 관한 주요 쟁점, 경제•사회상 실적, 환경에 끼치는 영향 등 프랑스 식생활 체계 현황을 점검한다. 다음으로 입법, 국민 식생활 프로그램(PNA), 국민 영양 프로그램(PNNS), 비만 예방 정책, 먹거리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공공 정책 등 프랑스 식생활 정책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공공 식생활 정책 평가를 종합하고 권고 사항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strategie.gouv.fr/publications/une-alimentation-saine-durable-rapport-lassemblee-nationale
      국가명 FR
  • 최신정책동향
    한반도와 동북아시아 군사 균형 (Web book: The military balance in the Koreas and Northeast Asia)
    • 발행처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CSIS)

    • 발행연도

      2017

  • 최신정책동향
    건축물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을 위한 적극적인 제안 (Propositions pour une politique de rénovation énergétique ambitieuse)
    • 수록잡지

      Réalités industrielles, Mai 2022

    • 발행처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IDDRI)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Réalités industrielles , Mai 2022
      표제 건축물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을 위한 적극적인 제안 (Propositions pour une politique de rénovation énergétique ambitieuse)
      저자 Andreas Rüdinger
      발행처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IDDRI)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환경일반 ,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은 프랑스 경제의 탈탄소화를 위한 우선 과제이다. 건축 분야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향후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평균 50% 감축해야 하며, 지금부터 30년 이내에 모든 건물이 평균적으로 ‘에너지 저소비 건축물(Bâtiment basse consommation, BBC)’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 이러한 엄청난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선 모든 공공 정책을 두 가지 쟁점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즉,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의 속도를 전례 없는 속도로 가속화하면서, 현재 시작 단계인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 시장을 최대한 확대해야 한다. 이 보고서는 2020년부터 지속가능발전및국제관계연구소(Institut du développement durable et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IDDRI)의 여러 전문가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략적인 에너지 개선 사업 전략을 세우기 위한 핵심 방향을 소개한다. 그리고 효율성 있는 에너지 개선 사업과 탈탄소화 중 어느 방향이 우선인지 검토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한다.
      출처URL https://www.iddri.org/fr/publications-et-evenements/autre-publication/propositions-pour-une-politique-de-renovation
      국가명 F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