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691
  • 현재 페이지 : 1/170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정보격차 측정 (Measuring the Digital Divide in the AsiaPacific Region for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ESCAP))
    •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유엔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정보격차 측정 (Measuring the Digital Divide in the AsiaPacific Region for the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ESCAP))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통신 - 방송통신
      소개 이 보고서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정보격차를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보격차에서 경제, 사회, 정치, 문화가 갖는 복잡성을 포착하고, 그 복잡성이 개인, 기업, 정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다차원적인 접근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다차원적인 영향을 포함해 정보격차의 다양한 이해에 대한 문헌을 검토한다. 또한 연구 목적에 동기를 부여하고, 아시아-태평양 정보 초고속망(Asia-Pacific Information Superhighway, AP-IS) 계획에 대한 정보격차 문제를 전후 맥락에서 살펴본다.
      출처URL https://www.unescap.org/resources/measuring-digital-divide-asia-pacific-region-united-nations-economic-and-soc...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202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발행처

      국토교통부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2018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발행처

      국토교통부

    • 발행연도

      2018

  • 최신정책동향
    2020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발행처

      국토교통부

    • 발행연도

      2020

  • 최신정책동향
    2019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발행처

      국토교통부

    • 발행연도

      2019

  • 최신정책동향
    최종보고서 : 장애인의 사회생활 참여에 대한 표본 설문조사 (Abschlussbericht: Repräsentativbefragung zur Teilhabe von Menschen mit Behinderung)
    • 발행처

      Hans Böckler Foundation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최종보고서 : 장애인의 사회생활 참여에 대한 표본 설문조사 (Abschlussbericht: Repräsentativbefragung zur Teilhabe von Menschen mit Behinderung)
      발행처 Hans Böckler Foundation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취약계층지원
      소개 "장애인의 사회생활 참여에 대한 표본 설문조사"는 다양한 삶의 영역에 장애인이 참여하는 것에 관해 조사했다. 이 조사는 비장애인과 실증 비교를 통해 장애인의 삶이 갖는 특수성과 특별한 문제를 조명한다. 이 참여설문조사는 가정집 거주자뿐만 아니라 장애인 주거시설과 요양원, 돌봄시설 등에 있는 거주자도 조사했다. 이 최종보고서는 국제 비교 가능성을 염두에 둔 실증적인 장애도 측정 개념을 설명한다. 보고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그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출처URL https://www.bmas.de/DE/Service/Publikationen/Forschungsberichte/fb-598-abschlussbericht-repraesentativbefragun...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장애가 있는 난민에게 필요한 것 : 없애야할 필요가 있는 수용절차의 문제점 (Bedarfe von geflüchteten Menschen mit Behinderungen berücksichtigen: Mängel im Aufnahmeverfahren müssen behoben werden)
    • 발행처

      Hans Böckler Foundation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장애가 있는 난민에게 필요한 것 : 없애야할 필요가 있는 수용절차의 문제점 (Bedarfe von geflüchteten Menschen mit Behinderungen berücksichtigen: Mängel im Aufnahmeverfahren müssen behoben werden)
      발행처 Hans Böckler Foundation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취약계층지원
      소개 독일에서 장애가 있는 난민이 겪는 구조적 문제는 이미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최대 규모의 난민 이동을 촉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으로 인해 현재는 특히 우크라이나 난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는 이제라도 국적에 상관없이 장애가 있는 난민에 대한 신원 확인, 숙소 및 의료서비스 제공이 인권에 맞게 이루어지도록 조치를 해야 한다. 이 보고서는 난민 수용절차의 최근 문제점을 조명하고 대책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institut-fuer-menschenrechte.de/publikationen/detail/bedarfe-von-gefluechteten-menschen-mit-behind...
      국가명 DE
  • 최신정책동향
    국책연구기관의 국제개발협력사업 연계 강화 및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
    • 발행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발행연도

      2022

  • 최신정책동향
    불평등, 차별, 배척 : 태평양 도서국 법률의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CRPD) 준수 수준 평가 (Inequality,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ssessing CRPD Compliance in Pacific Island Legislation)
    •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불평등, 차별, 배척 : 태평양 도서국 법률의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CRPD) 준수 수준 평가 (Inequality,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ssessing CRPD Compliance in Pacific Island Legislation)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취약계층지원
      소개 태평양 인구 중 장애인 비율은 약 15%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해당 지역사회 중에서 대부분 가장 가난하고 소외된 집단에 해당하며, 교육, 고용, 기본적인 서비스, 그 밖의 개발 기회에 대한 접근에 제한이 있다. 주요 인권 관련 국제 조약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은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로서 광범위한 무시, 낙인, 그리고 차별의 대상이 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보호 공백을 메우기 위해 여러 지역 체계와 국제 규범에서는 태평양 지역의 각국을 대상으로 장애인 권리 보호를 위한 포용적 입법 조치를 도입하도록 요청한 바 있다. 이 보고서는 태평양 도서국 7개국과 9개 국가 및 주를 대상으로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준수 현황을 비교 분석한다. 이 보고서가 제시하는 결과로 각종 입법의 동 협약 준수에 관한 주요 검토 결과를 확인한다. 태평양의 장애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불평등, 차별, 배제와 관련한 주요 문제를 살펴보며, 헌법과 20개가 넘는 법률 분야에 걸친 침해 사례와 모범 사례를 소개한다. 나아가 태평양의 여러 국가가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과 국내 입법을 조화시킬 수 있는 입법 방안과 기회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출처URL https://www.unescap.org/kp/2021/inequality-discrimination-and-exclusion-assessing-crpd-compliance-pacific-island-0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와 인구 고령화 : 현황, 과제 및 기회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Ageing in Asia-Pacific region: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수록잡지

      Policy Paper, 2022/01

    •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Policy Paper , 2022/01
      표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와 인구 고령화 : 현황, 과제 및 기회 (Climate Change and Population Ageing in Asia-Pacific region: Statu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발행처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ESCAP)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노인·청소년 , 환경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와 인구 고령화에 대한 최신 증거를 평가한다. 또한 기후 변화가 고령화에 관한 마드리드 국제행동계획(Madrid International Plan of Action on Ageing, MIPAA) 및 2030 의제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미칠 영향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보고서에서는 포용적이고 미래 지향적이며 일관된 정책 접근법을 채택할 것을 촉구한다. 이 접근법은 기후 영향으로부터 노인을 보호하고 온실가스 배출에서 차지하는 노인의 기여분을 감축하며 기후 행동에서 노인의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접근법이다. 보고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지역 검토에서 기후 변화와 인구 고령화 사이의 교차점을 검토할 때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를 지원할 수 있는 몇 가지 권고사항을 제시한다. 특히 노인들이 기후 행동에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출처URL https://www.unescap.org/kp/2022/climate-change-and-population-ageing-asia-pacific-region-status-challenges-and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