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276
  • 현재 페이지 : 1/28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점진적 통일과정에서의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통합 방안(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 발행처

      통일부

  • 최신정책동향
    아시아 사회보장정책 비교연구 : 아시아 주요국 사회보장체계 비교를 중심으로
    • 발행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메가 FTA 경제효과 분석 방법론 개선방향을 위한 기초연구
    • 발행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발행연도

      2016

  • 최신정책동향
    세계화와 반세계화 (Globalisation and deglobalisation)
    • 수록잡지

      BIS Papers, No. 100

    • 발행처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BIS)

    • 발행연도

      2018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BIS Papers , No. 100
      표제 세계화와 반세계화 (Globalisation and deglobalisation)
      발행처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BIS)
      발행연도 2018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무역및투자유치
      소개 세계화는 특히 신흥시장국(Emerging Market Economies, EME)의 경제적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세계화에 대한 반발과 국가주의 정책에 대한 지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세계화와 무역, 이민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바탕으로 EME의 경험을 조사한다. 이 논문은 종합적·분배적 결과와 관련해 다양한 국가의 경험을 요약해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bis.org/publ/bppdf/bispap100.htm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동아시아 무역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조정 (Firm Adjustment to Trade Policy Changes in East Asia)
    • 수록잡지

      ADBI Working Paper Series, No. 945

    •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ADBI Working Paper Series , No. 945
      표제 동아시아 무역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조정 (Firm Adjustment to Trade Policy Changes in East Asia)
      저자 Dionisius Narjoko, Shujiro Urata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무역및투자유치
      소개 무역과 투자 자유화는 1990년대 이후 많은 개발도상국 경제 정책의 특징이다. 이 논문은 국제화된 경제 속 기업에 관한 최근의 연구를 일부 검토한다. 이를 통해 기업이 세계화 또는 무역·투자 자유화 등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역 자유화가 생산성이나 생산성을 반영하는 측정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발견했다.
      출처URL https://www.adb.org/publications/firm-adjustment-trade-policy-changes-east-asia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기업에 시장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는 무역을 위한 원조(AfT)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id for Trade Programmes Providing Market Information and Advice to Businesses)
    • 발행처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DID)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기업에 시장 정보와 조언을 제공하는 무역을 위한 원조(AfT)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iveness of Aid for Trade Programmes Providing Market Information and Advice to Businesses)
      저자 Kelbesa Megersa
      발행처 UK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DID)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원조국의 시장 정보와 기업 자문 제공은 무역을 위한 원조(Aid for Trade, AfT) 사안의 구성요소이다. 본 자료는 AfT 방식에 대해 조사하기 위해 학술지, 정책 브리핑 및 이 사안에 관한 보고서를 검토한다. 사례들을 검토한 결과, 원조국이 시행 단계뿐 아니라 기업 자문 프로그램의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 기업들과 교류할 경우 개입이 더 성공적이었다.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 모두가 개입의 효과를 좌우하지만, 다수의 연구에 따르면 회사에 시장 정보와 사업 자문을 제공했을 때의 성공 여부에는 회사 내부 요인이 더 많이 작용했다.
      출처URL https://www.gov.uk/dfid-research-outputs/effectiveness-of-aid-for-trade-programmes-providing-market-informatio...
      국가명 GB
  • 최신정책동향
    글로벌 자원 거버넌스의 협력 가능성 : G20의 원자재 전략 비교 분석 (Fragmentation or Cooperation in Global Resource Governa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aw Materials Strategies of the G20)
    •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Federal Institute for Geosciences and Natural Resources, BGR

    • 발행연도

      2013

  • 최신정책동향
    국제법 동향과 실무 Vol.21, No.1 (통권 제64호)
    • 발행처

      외교부

    • 발행연도

      2022

  • 최신정책동향
    개도국 국가혁신시스템 구축 지원 전략
    • 발행처

      산업연구원

    • 발행연도

      2015

  • 최신정책동향
    아세안 디지털 경제에 관한 성별 데이터 분석의 가용성 (Availability of Gender-Disaggregated Data on the ASEAN Digital Economy)
    • 발행처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ERIA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아세안 디지털 경제에 관한 성별 데이터 분석의 가용성 (Availability of Gender-Disaggregated Data on the ASEAN Digital Economy)
      발행처 Economic Research Institute for ASEAN and East Asia, ERIA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통신 , 과학기술
      소개 아세안 전체 회원국에서는 여성의 경제 참여 및 경제로의 완전한 통합에 관한 정책 수립에 있어 성별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세분화된 데이터 수집과 이용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 또한 시행하고 있다. 디지털 경제의 역할을 고려할 때, 성별 데이터 수집에 대한 모든 개선은 디지털 경제에 관한 데이터 생산을 반드시 포괄해야 한다. 이 보고서에서는 디지털 경제의 양성평등 목표를 위한 젠더 데이터의 중요성에 관해 논하고 아세안 지역의 디지털 접근, 기술 및 경제 활동에 관한 성별분리데이터의 현행 가용성을 요약한다.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데이터베이스 대다수에서 아세안 디지털 경제에 관한 성별분리통계 정보의 가용성은 불균일하다. 빅테이터와 같은 대체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면 이러한 데이터 격차를 메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데이터 편향, 개인 정보 보호 및 정보 보안 등 미결과제가 존재해 활용하는 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출처URL https://www.eria.org/research/availability-of-gender-disaggregated-data-on-the-asean-digital-economy/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