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691
  • 현재 페이지 : 1/170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북한경제의 분야별 현안 분석과 대북정책에의 시사점
    • 발행처

      한국개발연구원

    • 발행연도

      2015

  • 최신정책동향
    대선공약과 국정과제 형성과정 개선방안
    • 수록잡지

      KIPA 연구보고서, 2021-01

    • 발행처

      한국행정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2021 대국민 종합 요구조사
    • 수록잡지

      협동연구총서, 21-31-01

    • 발행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발행연도

      2021

  • 최신정책동향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 4: 중남미∙중동∙아프리카∙터키
    • 발행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최신정책동향
    2018 교육 실태 (The Condition of Education 2018)
    • 발행처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IES)

    • 발행연도

      2018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18 교육 실태 (The Condition of Education 2018)
      발행처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IES)
      발행연도 2018
      정부부처BRM 교육 - 교육일반
      소개 교육 실태 자료는 최신 가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육 동향 및 주요 발전 내용을 요약한 연례 보고서이다. 2018년 교육 실태 보고서는 어린이집부터 대학 교육까지 47개의 주제별 지표와 노동인구 결과 및 국가 간 비교 등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ies.ed.gov/pubsearch/pubsinfo.asp?pubid=2018144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통일정책연구 2017, 제26권 2호
    • 발행처

      통일연구원

    • 발행연도

      2017

  • 최신정책동향
    신남방정책 평가와 개선방향
    • 수록잡지

      협동연구총서, 22-20-01

    • 발행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발행연도

      2022

  • 최신정책동향
    아시아 지역의 안정성 도모 : 미-중 간 힘의 균형에 관한 의제 (Creating a Stable Asia: An Agenda for a U.S.-China Balance of Power)
    • 발행처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CEIP)

    • 발행연도

      2016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아시아 지역의 안정성 도모 : 미-중 간 힘의 균형에 관한 의제 (Creating a Stable Asia: An Agenda for a U.S.-China Balance of Power)
      발행처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CEIP)
      발행연도 2016
      정부부처BRM 국방
      소개 본 자료에서는 몇 가지 구조적, 태도적 요인이 결합하면서 서태평양(Western Pacific) 지역 내 미-중 간 위험한 전략적 경쟁 패턴이 증가하게 되었다고 설명한다. 여기에는 경제력 및 군사력의 분산도 증가, 이 지역의 평화 및 번영 유지와 관련해 과거 미국의 절대적 역할에 대한 미국과 중국의 긴장 고조, 몇 가지 잠재적 변동성이 높은 지역 현안에 관한 중국 정부의 불만 증가 등이 포함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자료에서는 이러한 전략적 경쟁 관계가 향후 아태지역의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 또는 팍스 시니카(Pax Sinica)의 유지 또는 구축으로는 해결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그 이유는 양국 모두 자국 및 아태지역 모두에 이익이 될 수 있는 방식으로 단극체제를 유지할 역량이나 외교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출처URL http://carnegieendowment.org/2016/10/26/creating-stable-asia-agenda-for-u.s.-china-balance-of-power-pub-64943
  • 최신정책동향
    2014년도 FTA 피해보전직불금 지원 대상 농축산물 조사·분석 연차보고서
    • 발행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최신정책동향
    이란과 페르시아만 군사 균형의 변화 : 총괄 평가 지표 (Iran and the Changing Military Balance in the Gulf: Net Assessment Indicators)
    • 발행처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CSIS)

    • 발행연도

      2019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이란과 페르시아만 군사 균형의 변화 : 총괄 평가 지표 (Iran and the Changing Military Balance in the Gulf: Net Assessment Indicators)
      저자 Anthony H. Cordesman
      발행처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CSIS)
      발행연도 2019
      정부부처BRM 국방 - 병무행정
      소개 아랍/페르시아만 군사 균형 측면에서 세 가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 문서는 세 가지 주요 변화에 초점을 맞춰 페르시아만 군사 균형을 총괄 평가한다. 첫 번째는 이란과 주변 아랍 국가 간의 전략적 관계 변화와 미래에 페르시아만에서 미국 역할의 불확실성이다. 두 번째는 페르시아만에서 비대칭 전쟁(Asymmetric Warfare)에 대한 이란의 역량 확대이다. 세 번째는 이란의 재래식 무기, 정밀 유도 미사일과 더 효과적인 방공 체계 수립에 따른 영향이다. 이 평가는 군사 균형에서 해당 변화의 각 측면을 다루는 서술, 정량 데이터, 지도 및 도표를 제공한다.
      출처URL https://www.csis.org/analysis/iran-and-changing-military-balance-gulf-net-assessment-indicators
      국가명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