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30
  • 현재 페이지 : 1/13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통합재정정보시스템(dBrain)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발행처

      한국행정연구원

    • 발행연도

      2012

  • 최신정책동향
    건강한 아시아를 위한 복지 (Wellness for a Healthy Asia)
    •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건강한 아시아를 위한 복지 (Wellness for a Healthy Asia)
      발행처 Asian Development Bank(ADB)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아시아인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제안한다. 복지 또는 전인적 건강의 적극적인 추구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한다. 이 보고서는 성장하는 복지 경제를 포함하여 지역 내 복지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 건강하게 구축된 환경의 창출, 육체적인 활동의 지원, 건강식의 장려, 그리고 직장 내의 복지의 증진 등, 4개의 횡단적 정책 영역에 관해 논의한다. 평생복지 정책체계 및 빈곤한 이웃 내의 공동체 체육 센터 및 건강 교육 프로그램과 같은 인프라에 대한 투자의 중요성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adb.org/publications/wellness-healthy-asia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남극조약 협의당사국 회의 : 2014년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브라질리아에서 개최된 37차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에서 채택된 조치 방안들 (The Antarctic Treaty: measures adopted at the thirty-seventh consultative meeting held at Brasilia 28 April – 07 May 2014)
    • 발행처

      UK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FCO)

    • 발행연도

      2015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남극조약 협의당사국 회의 : 2014년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브라질리아에서 개최된 37차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에서 채택된 조치 방안들 (The Antarctic Treaty: measures adopted at the thirty-seventh consultative meeting held at Brasilia 28 April – 07 May 2014)
      발행처 UK Foreign and Commonwealth Office(FCO)
      발행연도 2015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이 보고서는 37차 남극조약 협의당사국회의 (Antarctic Treaty Consultative Meeting)에서 채택된 조치 내용을 담고 있다. 조약 4조 9항에 근거해 이 조치는 당시 당사국회의에 참석한 당사국 대표들의 승인을 통해 효력이 발생하였다.
      출처URL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the-antarctic-treaty-measures-adopted-at-the-thirty-seventh-consult...
  • 최신정책동향
    2020 해외 개인정보보호 동향분석
    • 수록잡지

      , KISA-WP-2020-0012

    • 발행처

      한국인터넷진흥원

    • 발행연도

      2020

  • 최신정책동향
    21세기 광물 자원 관리 구조 : 지속가능발전을 향한 장비 추출 산업 (Mineral Resource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Gearing Extractive Industri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 발행연도

      2020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1세기 광물 자원 관리 구조 : 지속가능발전을 향한 장비 추출 산업 (Mineral Resource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Gearing Extractive Industri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발행연도 2020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이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2030 의제 이행에 초점을 둔 기존의 국제 관리 구조 체계와 계획을 제시한 자료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기여도 향상을 위해 국제 관리 구조 개선에 필요한 실질적인 조치를 제공한다.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기타 국제 정책 공약에 부합하는 합의 기반 원칙, 정책안, 모범 관행 등 추출 부문에 새로운 관리 체계를 요구한다.
      출처URL https://www.unenvironment.org/resources/report/mineral-resource-governance-21st-century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온도를 내려라 : 새로운 일반 기후에 직면하다 (Turn down the heat: confronting the new climate normal)
    •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 발행연도

      2014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온도를 내려라 : 새로운 일반 기후에 직면하다 (Turn down the heat: confronting the new climate normal)
      발행처 World Bank Group(WBG)
      발행연도 2014
      정부부처BRM 환경
      소개 본 자료는 남미와 카리브 해, 중동, 북아프리카, 그리고 일부 유럽과 중앙아시아의 개발에 기후 변화가 가하는 위험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무더위와 폭우, 가뭄, 열대 저기압과 허리케인, 해수면 상승 등 각 지역별로 기후변화의 지역적 특징을 살폈다. 청정 대기, 저 탄소 경로를 개척하기 위한 조치와 지속할 수 없는 성장 전략을 피하는 등 기후 변화에 대한 강력한 조기 대응 혜택이 그 비용을 훨씬 능가함을 주장한다.
      출처URL http://library.wmo.int/opac/index.php?lvl=notice_display&id=16802#.V2EDptKLTcs
  • 최신정책동향
    林道
    • 발행처

      산림청

    • 발행연도

      1985

  • 최신정책동향
    2022년 유엔(UN) 세계 물 개발 보고서 - 지하수 :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기 (The United Nations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22 - Groundwater: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22년 유엔(UN) 세계 물 개발 보고서 - 지하수 :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게 만들기 (The United Nations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22 - Groundwater: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발행처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UNESCO)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환경 - 상하수도·수질
      소개 지하수는 전 세계에 분포해 지구 상의 모든 액체 담수의 약 99%를 차지하며, 차이는 있지만, 기후 변화 적응을 포함하여 사회에 엄청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지하수는 이미 전 세계 인구가 가정에서 사용하는 물의 절반을 공급하고 있으며, 약 25%는 관개를 위한 것으로 전 세계 관개지 중 38%에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엄청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천연자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때가 많아서 중요성이 과소평가되고, 잘못 관리되고, 심지어 남용되기까지 한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전 세계 수자원 개발, 관리 및 거버넌스의 맥락에서 지하수의 구체적인 역할, 과제 및 기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지하수를 집중 조명하게 하는 것이다.
      출처URL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380721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신종 감염성 질환 : 모델링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Modeling )
    • 수록잡지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ume 23, Number 1—January 2017

    • 발행처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 발행연도

      2017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Volume 23, Number 1—January 2017
      표제 신종 감염성 질환 : 모델링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Modeling )
      발행처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CDC)
      발행연도 2017
      정부부처BRM 보건 - 보건의료
      소개 감염성 질환 관리에 필요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신종 감염성 질환 모델링 프레임워크와 매종 박멸을 위한 프로그램 요구사항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다룬다.
      출처URL https://wwwnc.cdc.gov/eid/past-issues/volume-23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전기와 열을 위한 자연친화적 노지 태양광 발전소 (Naturverträgliche Freiflächen-Solaranlagen für Strom und Wärme)
    • 발행처

      Bund, Friends of the Earth Germany(BUND)

    • 발행연도

      202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전기와 열을 위한 자연친화적 노지 태양광 발전소 (Naturverträgliche Freiflächen-Solaranlagen für Strom und Wärme)
      저자 Werner Neumann, KaiFrobel
      발행처 Bund, Friends of the Earth Germany(BUND)
      발행연도 2022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소개 기후보호 목표를 달성하고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독일은 태양에너지 비율을 높여야 한다. 독일환경·자연보호연맹(Bund für Umwelt und Naturschutz Deutschland, BUND)은 신축 및 기존 건물에 대한 태양광 설치 의무를 주장한다. 이때 BUND의 구호는 "태양광발전을 지붕에는 최대한 많이, 노지에는 필요한 만큼만 설치"이다. BUND에서 발표한 이 입장문은 효율적인 설치 면적과 자연보호 효과가 있는 노지 태양광 발전소를 확충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한다. 나아가 BUND는 주민과 환경단체의 참여를 보장하기 위해 설치 의무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고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출처URL https://www.bund.net/service/publikationen/detail/publication/naturvertraegliche-freiflaechen-solaranlagen-fue...
      국가명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