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총 게시물 수 : 101
  • 현재 페이지 : 1/11
정렬기준
출력건수
인쇄하기
검색결과 좁히기
  • 최신정책동향
    유아 교육과 보육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 : 문헌 검토 (Digital technologies to suppor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literature review)
    • 수록잡지

      Working Paper , No. 295

    •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Working Paper , No. 295
      표제 유아 교육과 보육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유아를 지원하는 디지털 기술 : 문헌 검토 (Digital technologies to suppor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 literature review)
      저자 Peta Wyeth, Lisa Kervin, Susan Danby, Natalie Day, Aisha Darmansjah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사회복지 - 보육·가족및여성 , 일반공공행정 - 일반행정
      소개 이 보고서에서는 유아 교육과 보육(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유아의 지원에 사용되는 디지털 기술에 대해 최신 문헌을 검토한다. 이 지침서에서는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 AT)을 ECEC에 통합하려는 목적과 초점을 이해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 ECEC의 전문성을 활성화하고 통합하는 것, 경험과 실천의 참여 커뮤니티를 개발하는 것, 양질의 AT 설계를 촉진하고 지원하는 것 등 네 가지 핵심 영역을 살펴본다. 연구 문헌 전반에 걸쳐 추가 개발의 토대는 분명하며, 이 검토를 통해 ECEC 정책 입안자와 직원, 교육 기관 및 연합 지원 네트워크에 ECEC에서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아동을 위한 AT의 약속을 달성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권장 사항을 제시한다.
      출처URL https://www.oecd-ilibrary.org/education/digital-technologies-to-support-young-children-with-special-needs-in-e...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Operation Soteria Bluestone Year 1 Report: 2021 - 2022
    • 수록잡지

      Independent report, Dec-22

    • 발행처

      UK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MHCLG), Home Office

    • 발행연도

      2022

  • 최신정책동향
    임산물 연간 시장 평가 2017-18 (Forest Products Annual Market Review 2017-2018)
    •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 발행연도

      2018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임산물 연간 시장 평가 2017-18 (Forest Products Annual Market Review 2017-2018)
      발행처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UNECE)
      발행연도 2018
      정부부처BRM 농림 - 임업·산촌
      소개 임산물 연간 시장 평가(Forest Products Annual Market Review) 2017-18은 유엔 유럽경제위원회(UN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UNECE) 지역 시장에 관한 종합적 분석 및 UNECE 지역 밖의 주요 시장 영향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한다. 원목 및 1차 가공품에서부터 부가가치 상품 및 주택에 이르기까지 산림에서부터 최종 사용자에 이르는 제품을 포함한다. 통계에 기반하여 목재 원료, 톱밥, 제재원목, 목재 기반 패널, 종이, 판지, 목재 펄프 시장을 분석한다. 또한 본 평가는 국제 시장에서의 임산물의 역할을 조명한다. 산림 및 임산물 관련 정책 및 주 요인과 추세를 논의하고, 임산물 시장에 미치는 현 경제 상황의 영향을 분석한다.
      출처URL http://www.unece.org/index.php?id=50652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중국 조선산업 및 관련 정책에 관한 보고서 (Report on China’s shipbuilding industry and policies affecting it)
    •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 발행연도

      2021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중국 조선산업 및 관련 정책에 관한 보고서 (Report on China’s shipbuilding industry and policies affecting it)
      발행처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발행연도 2021
      정부부처BRM 교통및물류 - 해운·항만 , 산업·통상·중소기업 - 산업진흥·고도화
      소개 중국은 조선 부문에서 주요 행위자로 부상했으며 이 과정에서 중국 정부의 정책이 전 세계 조선시장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 시장 중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부문의 경우 중국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눈에 띄지 않지만 중국의 정책문서를 살펴보면 가치사슬에서 더 높은 위치로 올라가려는 중국의 야망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보고서의 목적은 중국의 조선 부문을 총체적이고 다학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며 특히 정부의 지원조치를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의 조선 산업은 2000년 이후로 계속 확대되었으며 2010년에는 중국이 세계 최대 조선국이 되기에 이르렀다. 분석 결과 중국은 조선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한 것으로 나타나며, 이 점에서 중국이 조선 부문 가치사슬에서 높은 위치로 올라가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국 정부의 조선 산업에 대한 지원이 전 세계적인 선박 용량 과잉의 원인이며, 중국 조선 산업에서 국영 거대기업이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출처URL https://www.oecd-ilibrary.org/science-and-technology/report-on-china-s-shipbuilding-industry-and-policies-affe...
      국가명 ZZ
  • 최신정책동향
    자원 효율성 : 잠재적 및 경제적 영향 : 정책 입안자를 위한 요약서 (Resource efficiency: Potent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Summary for Policy-Makers)
    •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IRP

    • 발행연도

      2016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자원 효율성 : 잠재적 및 경제적 영향 : 정책 입안자를 위한 요약서 (Resource efficiency: Potential and economic implications: Summary for Policy-Makers)
      발행처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 International Resource Panel, IRP
      발행연도 2016
      정부부처BRM 산업·통상·중소기업 - 에너지및자원개발 , 환경
      소개 이 보고서는 자원 효율성 전망에 관한 것으로 자원 효율성이 세계의 자재, 에너지, 바이오매스 및 물과 그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줄이고, 경제 성장과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출처URL http://www.unep.org/publications/
  • 최신정책동향
    아시아 지역 항공 운송 시장 분석과 공항 네트워크 경쟁력 평가 연구
    • 발행처

      한국교통연구원

    • 발행연도

      2015

  • 최신정책동향
    2009-2011 캐나다 경제적 행동계획 관련 연방오염지역행동계획(FCSAP) 보고서 (Federal Contaminated Sites Action Plan Report for Canada's Economic Action Plan Years (2009-2011))
    • 발행처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ECCC)

    • 발행연도

      201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2009-2011 캐나다 경제적 행동계획 관련 연방오염지역행동계획(FCSAP) 보고서 (Federal Contaminated Sites Action Plan Report for Canada's Economic Action Plan Years (2009-2011))
      발행처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ECCC)
      발행연도 2013
      정부부처BRM 환경
      소개 2005년 캐나다 정부가 마련한 연방오염지역행동계획(Federal Contaminated Sites Action Plan FCSAP)은 15년 간 총 35억 달러가 투자되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본 프로젝트의 주된 목표는 연방 내 오염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및 건강 관련 위험을 줄이고 이들 위험과 관련된 연방 채무를 줄이는 데 있다. FCSAP 시행 1단계(2005~2011년) 동안, 캐나다 연방 부서, 기관 등은 1,400 개 오염지역을 대상으로 개선 작업에 착수해 650 개 지역에서 관련 작업을 완료했다.
      출처URL http://ec.gc.ca/Publications/default.asp?lang=En&xml=AE6628E4-0DC1-4716-9670-5287CBB6202C
  • 최신정책동향
    대외 정책 및 자기 이미지 : 터키의 전략 변화에 대한 사회적 근거 (Foreign Policy and Self-image: The Societal Basis of Strategy Shifts in Turkey)
    •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 발행연도

      2012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표제 대외 정책 및 자기 이미지 : 터키의 전략 변화에 대한 사회적 근거 (Foreign Policy and Self-image: The Societal Basis of Strategy Shifts in Turkey)
      발행처 Germa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and Security Affairs(SWP)
      발행연도 2012
      정부부처BRM 통일·외교 - 외교
      소개 터키의 새로운 대외 정책은 자기 소모식 대외 통상 전략과 집권 정부의 특정 이데올로기에 따른 배타성에서 벗어났다. 이는 새로운 경제 엘리트 계층이 성공적으로 정치 및 학계의 엘리트로 자리 잡아 이데올로기적 동맹을 형성하고 국가와 사회가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를 거친 덕분이다. 정치 엘리트의 교체와 경제/학계 엘리트 그룹 내 주요 보수 집단의 통합은 국가에 대한 인식 및 대외 정책에 대한 접근 방식을 다시 정상 궤도에 올려놓았다.
      출처URL http://www.swp-berlin.org/en/publications/swp-research-papers/swp-research-paper-detail/article/turkey_foreign...
  • 최신정책동향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 보조금 개혁의 필요성 (Is It Time To Reform Medicaid and Medicare Supplemental Payments?)
    • 수록잡지

      BRIEF, April 2023

    • 발행처

      Urban Institute(UI)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BRIEF , April 2023
      표제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 보조금 개혁의 필요성 (Is It Time To Reform Medicaid and Medicare Supplemental Payments?)
      저자 Teresa A. Coughlin, John Holahan
      발행처 Urban Institute(UI)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보건 - 건강보험 , 사회복지 - 보건의료
      소개 이 연구에서는 2020년 병원과 같은 응급 의료 기관에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 명목으로 800억 달러 이상의 추가 지급이 이루어졌다고 추정한다.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는 오래 전부터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정기적인 지급과는 별도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추가 지급을 제공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응급 의료 기관에 지급되는 주요 의료급여와 의료보험 추가 지급에 관련된 개요를 제공한다. 그다음 다양한 추가 지급과 관련된 정책 문제를 강조하면서 주요 특징을 설명한다. 보고서는 메디케이드와 메디케어 관련 추가 지급액 일부의 전용처를 새로 정하고, 필요에 따라 병원 전체에 자금을 더 공평하게 할당하거나 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보험 혜택을 확대하고 저소득층을 위한 기존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두 가지 전략에 관해 논의한다.
      출처URL https://www.urban.org/research/publication/it-time-reform-medicaid-and-medicare-supplemental-payments
      국가명 US
  • 최신정책동향
    통화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의 발단 : 수요와 공급 충격의 역할 (The origins of monetary policy disagreement: the role of supply and demand shocks)
    • 수록잡지

      BIS Working Papers, No 1118

    • 발행처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BIS)

    • 발행연도

      2023

    • 간략보기 : 표제/책임표시사항, 출처정보, 행태정보, 분류기호, 자료이용안내로 구성
      수록잡지 BIS Working Papers , No 1118
      표제 통화 정책에 대한 의견 차이의 발단 : 수요와 공급 충격의 역할 (The origins of monetary policy disagreement: the role of supply and demand shocks)
      저자 Carlos Madeira, João Madeira, Paulo Santos Monteiro
      발행처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BIS)
      발행연도 2023
      정부부처BRM 일반공공행정 - 재정·금융 , 재정·세제·금융 - 금융
      소개 통화 정책 설계 시 전문가 위원회가 중앙은행의 의사 결정을 하는 경우가 점점 더 보편화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의 반대 의견이 중간 규모의 동태 확률 일반 균형 모형을 활용하여 도출한 구조적 거시경제 충격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조사한다. 그 결과 수요 충격이 인플레이션 변동의 유력한 원인일 때 반대 의견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공급 충격이 민간 부문의 금리 경로의 불확실성을 높인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에 공급의 충격이 인플레이션과 생산 안정화 사이에 상충 관계를 일으키지만 수요 충격은 그렇지 않음을 보여준다. 보고서는 FOMC 위원 간 정책 불일치의 동인으로, 이중 임무에 대한 이질적 선택과 일치한다.
      출처URL https://www.bis.org/publ/work1118.htm
      국가명 Z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