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실천 구상
정전체제, 분단체제, 평화체제

저자 박순성 (Park, Sun Song)
수록출판물 사회과학연구. 2018-03 25(1):27-52
발행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발행연도 2018
주제 정전협정
분단체제
평화체제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
병행전략
Korean Armistice Agreement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ization of the Korean Question
Parallel Strategy
언어 Korean
ISSN 1598-8996
데이터베이스 DBPIA
초록 이 글은 무력 충돌과 안보 위기가 반복되는 한반도에서 영구적 평화를 보장할 평화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1장은 한반도 정전협정의 실패를 무력 충돌, 군비 경쟁, 안보 위기 상존이라는 세 측면에서 살펴보고, 정전체제와 평화체제 개념을 소개한다. 2장은 분단체제의 개념을 활용하여 남북한이 주권 분열·제한의 상태에서 군사 행동을 통해 주권을 확인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반도 무력 충돌이 군사적이면서도 정치적임을 분석한다. 3장은 한반도 평화체제 형성과 관련한 남북한과 미국 사이의 논의를 역사적으로 살펴보면서 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한 제안과 합의를 정리한다. 4장은 평화체제 형성과 관련한 네 가지 쟁점들, 곧 정전과 불가침의 문제, 군비 통제와 군축의 문제, 교류·협력과 관계정상화의 문제, 평화체제 주체·형식·체계의 문제를 분석한다. 5장은 한반도에서 영구적으로 평화를 구축할 수 있는 기본 전략을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와 국제화의 병행, 군사문제와 비-군사문제의 병행, 정부차원 접근과 민간차원 접근의 병행이라는 세 가지 병행전략으로 소개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permanen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against the backdrop of recurring armed conflicts and security crises since the Korean War. In chapter 1, we define the persistent co-existence of armed conflicts, arms race, and security crises in the Korean Peninsula as failure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and introduce the concepts of armistice regime and peace regime. In chapter 2, we use the concept of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and its dual military and political aspects to analyze the persistence of armed conflicts between the two Koreas. Chapter 3 outlines the historical dialogues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US including the proposals and agreements, followed by chapter 4, where the main issues concerning the Korean peace regime are examined: effective armistice and non-aggression,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cooperation and diplomatic normalization, and the practical figuration of a peace regime. Finally, in chapter 5, we propose three basic strategies for successfully building a permanen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managing the Korean question from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points of view, dealing with military and non-military problems simultaneously, and pursuing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approaches in parallel.
내용참고 국문초록 I. 정전협정의 실패와 평화체제 Ⅱ. 분단체제와 남북한 군사충돌 Ⅲ. 평화체제 논의의 전개 과정: 제안과 합의 Ⅳ. 평화체제 형성의 핵심 쟁점 Ⅴ. 한반도 평화 실현을 위한 기본 전략 참고문헌 Abstract
등록번호 edspia.NODE07408317
원문URL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08317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