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창업지원제도를 포함한 창업환경이 창업활동 및 일자리창출에 미치는 영향 : GEM(글로벌기업가정신모니터) 자료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Including Entrepreneur Support System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Job Creation : Based on GEM Data

저자 강개석
이종건
Kang, GaeSeok
Lee, JongKeon
수록출판물 한국창업학회지, 11/30/2017, Vol. 12, Issue 5, p. 215-237
발행처 한국창업학회, 2017.
발행연도 2017
주제 창업환경
창업활동
일자리창출
글로벌기업가정신모니터
GEM
Entrepreneurial environment
Entrepreneurial activities
Job creation
언어 한국어(KOR)
ISSN 2092-8068
데이터베이스 eArticle
초록 본 연구는 GEM의 국가별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창업환경이 창업활동과 일자리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환경변수는 GEM이 조사한 국가별전문가조사(NES)를 활용하였으며, 창업기업 자금조달력, 창업관련 정부정책, 창업관련 세금 및 규제, 정부 창업 프로그램, 기초 창업교육, 성인 창업교육, 연구개발 이전, 창업지원 인프라, 내수시장 활성화, 시장진입 활성도, 물리적 인프라, 문화 사회적 인식을 포함한 총12개의 측정항목을 사용하였다. 창업활동 변수는 기회창업률, 기술창업률, 중견기업률, 창업동기비율, 혁신창업률을 활용하였다. 일자리창출 변수로는 종업원 창업활동과 대량고용창출 예측률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창업환경 변수 중에서 물리적 인프라 지원과 기초창업교육, 사회 문화적 인식이 일자리창출 변수인 대량고용창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and job Creation, based on national research data compiled by GEM. As a result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variables, the NES (National Experts Survey) of GEM twelve elements were utilized. EBO (Established Business Ownership rate), PO (Perceived Opportunities), PC (Perceived Capabilities), MI (Motivational Index) and INNO (Innovation) used variables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Job creation variables used EEA(Entrepreneurial Employee Activity) and HJCE (High Job Creation Expec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arameter PINFRA (Physical and services Infrastructure), BEDU (Basic school Entrepreneurial education) and CSN (Cultural and Social Norms) have influence on job creation variables HJCP (High Job Creation Expectation) and EEA (Entrepreneurial Employee Activity).
내용참고 <요약>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참고문헌
등록번호 edsers.319970
문서유형 Article
Text
원문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9970
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