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o Albuquerque, Georgina Green
Working Paper, WP/22/47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2022
일반공공행정-재정·금융
이 보고서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대유행 동안 미래의 재정 상황에 대한 가계의 우려가 한계소비성향(Marginal Propensity to Consume, MPC)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 영국 가구의 대표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가상으로 500파운드를 이전하여 MPC를 계산한다. 검토 결과 가구 기대가 가구 간 MPC 차이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지 균형을 맞출 수 없다고 우려하는 가구의 MPC가 다른 가구보다 20% 높게 나타났다. 이 보고서의 결과에서는 모든 가구에 부양 자금을 지급하는 것보다 재정적으로 어려운 취약 가구를 대상으로 한 정책이 수요를 자극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P/Issues/2022/03/04/Financial-Concerns-and-the-M...
국제기구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UNRISD)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FDIC)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기획재정부
U.S. Department of Education(DOE)
선택한 정부기관 :
선택된 BRM :
정책정보포털(POINT)에서는 귀하의 개인정보를 중요시하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아래와 같이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