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지식 기반 무형자본이 전세계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에서 소득 분배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일부 무형자산은 국가계정(연구개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에 계상되나, 다른 무형 자산은 기존 통계(브랜드 가치 또는 조직자본 등)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보고서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간 투입산출표와 국가 소득 요소별 소득 정보를 활용하여 '측정된' (국가계정에 포함된) 무형자산과 '비측정' (잔여로 포착된) 무형자산의 전세계 가치사실 내 수익율을 추정한다. 분석 결과, 제조업 GVC의 소득에서 무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27%이며, 이 비율은 2005-2015년 기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문서에서는 또한 GVC 단계 및 유협열로 나타나는 차이를 집중 조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득 중 상당 비율이 유통 단계, 특히 구매자 주도 가치사슬에서 포착된다. 계량경제학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무역 및 투자 개방성이 GVC의 무형 자본 수익률 패턴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연구개발에 대한 직접적인 공공 자금 지원 및 지적 재산 보호의 개선이 무형 자산 수익률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