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관별 검색

  • 부처
  • 위원회
  • 기관명 찾기
  • 고용노동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교육부
  • 국방부
  • 국토교통부
  • 기획재정부
  • 농림축산식품부
  • 문화체육관광부
  • 법무부
  • 보건복지부
  • 산업통상자원부
  • 여성가족부
  • 외교부
  • 중소벤처기업부
  • 통일부
  • 해양수산부
  • 행정안전부
  • 환경부
  • 국가보훈부
  • 대통령경호처
  • 법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인사혁신처
  • 경찰청
  • 관세청
  • 국세청
  • 기상청
  • 농촌진흥청
  • 대검찰청
  • 문화재청
  • 방위사업청
  • 병무청
  • 산림청
  • 새만금개발청
  • 소방청
  • 조달청
  • 질병관리청
  • 통계청
  • 특허청
  • 해양경찰청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공정거래위원회
  • 국가인권위원회
  • 국민권익위원회
  • 금융위원회
  • 방송통신위원회
  • 원자력안전위원회

정부기능분류체계(BRM) 검색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주제가이드 선택

  • 전체
  • 공공질서및안전
  • 과학기술
  • 교육
  • 교통및물류
  • 국방
  • 농림
  • 문화체육관광
  • 보건
  • 사회복지
  • 산업·통상·중소기업
  • 일반공공행정
  • 재정·세제·금융
  • 지역개발
  • 통신
  • 통일·외교
  • 해양수산
  • 환경

POINT 정책정보포털

메뉴보기 검색하기
  • 상세검색
  • 다국어입력

상세검색

발행연도

정렬

원문유무

발행연도



상세정보

증도가자의 문화재청 검증에 대한 문제점 - 조판 실험의 광곽 크기를 중심으로
A Qeustion on the Verific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bout Jeungdoga-type - Focusing on the Printing Plate Size of the Experiment of Typesetting

저자 유부현
Yoo, Boo-Hyun
수록출판물 서지학연구, 03/31/2018, Vol. 73, p. 53-61
발행처 한국서지학회, 2018.
발행연도 2018
주제 증도가자
활자본
번각본
향례합편
문화재청
Jeungdoga-type
hwaljabon
beongakbon
Hyangryehappyu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언어 한국어(KOR)
ISSN 1225-5246
데이터베이스 eArticl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증도가자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데 중요한 근거가 된 문화재청의 조판 실험 가운데 광곽의 크기에 대한 문화재청의 주장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광곽의 크기에 대한 활자본과 번각본의 관계에 대해서 『향례합편』을 대상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청의 수치상 조판실험 가운데 가장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조판 실험(제2차 실험 가운데, 평균 크기의 활자와 번각본의 최대 광곽 변화율이 적용된 실험)에 의거한다면 증도가자의 조판은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능할 것으로 판명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향례합편』의 활자본과 번각본의 광곽 길이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는데, 활자본의 경우는 그 번각본에 비해 평균 0.52㎝가 길고, 가장 많이 긴 경우(제42장)는 0.95㎝가 길며, 가장 적게 긴 경우(제40장)는 0.15㎝가 긴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것은 번각본의 평균 광곽 길이를 가지고 활자본의 광곽 크기로 추정하는 문화재청의 『증도가』 활자본 광곽 크기의 추정 방식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sistence and questions from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bout the Printing Plate size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s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becomes important grounds for finding out the truth of Jeungdoga-type. Also, it specifical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hwaljabon and beongakbon to the Printing Plate size targeting Hyangryehappyun. The conci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proved that the Typesetting of Jeungdoga-type is not impossible but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most realistic and reasonable experiment of Typesetting, which includes the average sized hwalja and the most Printing Plate rate of change in the second experiment, among the experiments of the figure from the Administration. Secondly, it is investigated that in the case of hwaljabon, it is 0.52cm longer than the beongakbon on the average, 0.95cm longer in the longest case (chapter 42), 0.15cm longer in the least long case (chapter 40) from the investigation contents about the results of the length of Printing Plate of hwaljabon and beongakbon of Hyangryehappyun.
내용참고 <초록> 1. 서언 2. 문화재청의 증도가자 조판 검증 결과와 문제점 3. 『향례합편』의 활자본과 번각본의 광곽 크기 4. 결언 <참고문헌>
등록번호 edsers.325450
문서유형 Article
Text
원문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325450
스크랩